||<-2>
{{{#White '''{{{+3 Adams revolver}}}'''[br]''Beaumont–Adams revolver''[br]''보몬트-애덤스 리볼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eaumont_Adams.jpg|width=100%]]}}}|| ||<-2><:> {{{#000,#ddd {{{-1 사진은 보몬트-애덤스 리볼버}}}}}} || || '''종류''' ||[[리볼버]] || || '''원산지'''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1851년]]~[[1880년]] || || '''개발''' ||로버트 애덤스[br]프레드릭 E. B. 보몬트 || || '''개발년도''' ||[[1851년]][* 보몬트-애덤스는 [[1862년]]이다.] || || '''생산''' ||Robert Adams of London || || '''생산년도''' ||[[1862년]]~[[1880년]] || || '''생산수''' ||약 250,000정 || || '''사용국'''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br][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왕립 캐나다 기마경찰]]의 전신인 [[https://en.wikipedia.org/wiki/North-West_Mounted_Police|노스웨스트 기마경찰]]에서 사용했다.][br][include(틀:국기, 국명=미국)][br][[파일:아메리카 연합국 국기(1861-1863).svg|width=23]] [[아메리카 연합국]][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제국)] || || '''사용된 전쟁''' ||[[남북전쟁]][br][[보신 전쟁]][br][[줄루 전쟁]][br][[보어 전쟁|제1차 보어 전쟁]] || ||<-2> {{{#White '''기종'''}}} || || '''파생형''' ||보몬트-애덤스 리볼버 || ||<-2> {{{#White '''세부사항'''}}} || || '''탄약'''[* 후술하겠지만 이 총기에 쓰이는 탄환은 현대의 탄두와 탄피가 일체화된 탄환이 아닌, 탄두와 화약 그리고 퍼커션 캡 까지 별개로 분리된 탄환이다.] ||.479 (38-bore)[br].442 (54-bore)[br].338 (120-bore) || || '''급탄''' ||5발들이 실린더 || || '''작동방식''' ||[[전장식]][br][[퍼커션 캡]][br][[더블 액션]][* 애덤스 리볼버는 더블 액션 온리 (DAO), 보몬트-애덤스 리볼버는 더블/싱글 액션 (DA/SA)] || || '''총열길이''' ||[[https://www.ortnergraphics.com/services/civil-war-firearms/adams-revolver.html|링크 참조]] || || '''전장''' ||286mm || || '''중량''' ||1.1kg (2.4파운드)[* 비장전시 중량] || || '''유효사거리''' ||32m (35야드) || || '''최대사거리''' ||91.44m (100야드) ||}}}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er_BF77eKk0)] [[Forgotten Weapons]]의 [[왕립 캐나다 기마경찰]] [[노스웨스트준주]]구 .450 구경 보몬트-애덤스 리볼버 리뷰 영상 영국에서 제작된 '''[[세계 최초]]의 실용적인 양산형 [[더블 액션]] 리볼버.'''[* 여담으로 세계 최초의 더블 액션 [[자동권총]]은 [[리틀 톰 권총]]이다.] == 상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cBsVaH_gew)]}}}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z1QvKVALrc)]}}} || || 애덤스 리볼버 작동 방식 영상 || 보몬트-애덤스 리볼버 작동 방식 영상 || [[1851년]]에 [[https://en.wikipedia.org/wiki/Robert_Adams_(handgun_designer)|로버트 애덤스]]가 설계했으며, 초기에는 더블 액션만 가능했으나, [[1862년]]에 [[크림 전쟁]]의 참전 용사였던 [[https://en.wikipedia.org/wiki/Frederick_Beaumont|프레드릭 E. B. 보몬트]]가 [[싱글 액션]]도 가능하도록 개량했는데, 이 개량형을 보몬트-애덤스 리볼버라고 부른다. 원형인 애덤스 리볼버도 같은 해에 나온 [[콜트 리볼버#콜트 1851 네이비|콜트 네이비]]보다 속사에 유리하면서 .36 구경이던 네이비와 달리 .442 구경이어서 저지력이 높아 크림 전쟁에서 장교들이 선호했는데, 인기가 높은 나머지 경쟁 상대였던 [[콜트(총기회사)|콜트]] 사의 [[런던]] 공장이 문을 닫을 정도였다. 제작시기가 시기인 만큼 발사하기 전에는 [[머스킷]]처럼 실린더에 화약과 총알을 일일이 채워넣고 후방 꼭지에 [[퍼커션 캡]]까지 끼워야했다.[* 금속 탄피를 채용한 본격적인 리볼버는 [[스미스 & 웨슨]]에서 제작한 [[S&W M1]]이다.] 이후 개량형들에선 45 구경 금속 탄피 탄환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변했다. [[남북전쟁]], 식민지 전쟁, [[보어 전쟁]] 등 영국이 개입된 여러 전쟁들에서 사용되었으며, [[1880년]]에 [[https://en.wikipedia.org/wiki/Enfield_revolver|엔필드 리볼버]]가 채용되면서 퇴역했으나, 결함이 많아 9년만인 [[1889년]]에 [[웨블리 리볼버]]로 교체되었다. [[분류:리볼버]][[분류:보병 무기/근대]][[분류:영국군/장비]][[분류:1870년 이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