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fff 앞산순환로 관련 틀}}} }}} ''' || ||<:><^|1>{{{#!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대구광역시 순환도로)] [include(틀:달서구의 로)] [include(틀:남구(대구)의 로)]}}} || ||<-3> {{{#fff {{{+2 '''앞산순환로'''}}}[br]앞山循環路 | Apsansunhwan-ro}}} || ||<-3> {{{#!wiki style="margin: -16px -11px" ||[[앞산터널로|{{{#fff ↘ 앞산터널로 (남)}}}]] || [[상화로(수성구)|{{{#fff 상화로 (동) →}}}]]||}}} || || {{{-1 {{{#555,#aaa 기 점}}}}}} || [[22번 대구광역시도|[[파일:Cityroad_kor_22.svg|width=20]] {{{-1 {{{#fff 22번[br]대구광역시도}}}}}}]] || {{{-1 {{{#555,#aaa [[[지산동(대구)|{{{#555,#aaa 지산동}}}]] 방면}}}}}} →[br][[무학로(대구)|무학로]] || ||<-3> '''{{{#fff 노선 번호}}}''' || ||<-3> '''[[22번 대구광역시도]]'''[* 달비골삼거리~상동교] || ||<-3> '''{{{#fff 기점}}}''' || ||<-3>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 달비골삼거리 || ||<-3> '''{{{#fff 종점}}}''' || ||<-3> [[대구광역시]] [[남구(대구광역시)|남구]] [[봉덕동]] 상동고가하단교차로 || ||<-3> '''{{{#fff 연장}}}''' || ||<-3> 7.43km || ||<-3> '''{{{#fff 관리}}}''' || ||<-3>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 ||<-3> '''{{{#fff 왕복 차로 수}}}''' || || 4차로 ||<-2> 고가도로 || || 6차로 ||<-2> 월촌고가 ~ 상동교 || || 8차로 ||<-2> 달비골 ~ 월촌고가 || ||<-3> '''{{{#fff 주요 경유지}}}''' || ||<-3> 달비골삼거리 ↔ 효명네거리 ↔ 상동고가하단교차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구광역시]] [[남구(대구광역시)|남구]] 봉덕2동 상동교 서단을 기점으로 하여[* 동쪽으로는 [[상화로]]([[수성구]] 상동)와 [[앞산터널로]]로 연결된다.], [[달서구]] [[상인동|상인3동]] 장미아파트 앞에서 끝나게 되는 고속화도로.[* 평면교차로로 이루어져 있지만 평면교차로마다 고가도로 및 지하차도가 설치되어 있어, 전 구간 신호대기를 하지 않고 통과할 수 있다. [[신천대로(대구)|신천대로]]와 유사하다.] 서쪽으로는 [[상화로]][* ([[달서구]] 상인3동 장미아파트 - 대곡주공5단지 - 유천네거리)와 연결된다.]이며, [[대구광역시도]] 제22호선이다. 앞산순환로 상 고가도로는 자동차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지는 않지만 별도의 금지 표지판을 설치하여 오토바이 및 자전거 등의 이륜차 통행이 금지되어 있다.[* 자동차 전용도로가 아니므로 제한속도 역시 60km/h이다.] 앞산고가차도는 터널형 방음벽이 설치되어 있는데 주한미군 [[캠프워커]] 부대 위를 관통하기 때문에 보안상 설치한 것이다. 이 때문에 앞산고가차도는 고가 하단 도로가 존재하지 않아 이륜차는 앞산공원쪽으로 크게 우회해야 한다. 시가지의 남쪽 경계선을 따라 건설된 순환도로라는 점에선 서울의 [[남부순환로]]와도 유사하다. 제한속도 시속60Km이다. == 역사 == 과거에는 2차로의 정비되지 않은 도로였으나 [[1990년대]] 중반 왕복 6차로으로 확장하고 교차로를 입체화하는 등 지금처럼 정비해 현재에 이른다. [[1990년대]] 계획 당시에는 [[신천대로(대구)|신천대로]]처럼 [[도시고속도로]]의 역할을 하게끔 계획했으나 상동교 주변 정체와 평면교차, 구불구불한 선형과 이로 인한 낮은 제한속도, 자동차전용도로 미지정으로 인해 단순한 도심 우회도로의 역할만 하는 중이다. 이 외에도 앞산순환로와 [[신천대로(대구)|신천대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월곡로를 연결해 대구 내부순환로로 만든다는 구상이 있었으나 사실상 무산됐다.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4차순환도로]]의 일부인 [[앞산터널]]이 개통되기 전까지 [[수성구]]와 [[달서구]] [[월배지구]]를 빠르게 왕래할 수 있었던 유일한 도로였던 탓에 출퇴근 시간만 되면 교통체증이 심했다. 특히 경사가 심한 평면교차 구간인 상동교 교차로에서는 더욱 심화되었다. 지금도 앞산고가차도 ~ 상동교 구간 수성구 방면은 정체가 심하다.[* 상동교 동쪽에서 앞산순환로로 연계되는 도로망이 부족한 것도 한 몫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심신수련장입구에서 두산교를 잇는 도로와 터널 건설이 계획되어 있으나[* 두산교는 신천의 다른 다리와 달리 쌍둥이 다리 형태로 상하행이 분리되어 2개의 다리로 건설되어 있는데 이는 추후 터널 건설에 대비한 것이다.] 예산 부족으로 인해 지지부진하다. == 주변 시설 == 앞산순환로를 따라 [[대구광역시]]의 대표적인 공원 중 하나인 [[앞산공원]]을 비롯하여 현충탑, 홈스파월드, 대덕문화전당, 대구광역시립 남부도서관, 앞산카페거리, 앞산전망대, 앞산관덕정 궁도관, 대덕승마장, 대덕문화전당, 도로교통공단 등의 시설들이 있다. 앞산순환도로를 전부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은 없으나 [[대구 버스 달서4, 달서4-1|달서4(-1)번]]이 서측 대부분을 운행하고 있고 앞산공원, 봉덕동을 종점으로 하는 몇 개 노선들이 잠시 경유한다. 그러나 앞산고가차도를 경유하는 노선이 없기에 서측과 동측을 잇는 노선은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 앞산 종점에서 양방향 연계가 가능하다. 시간은.] 고가도로를 올라가 보면 우측에 [[83타워]]도 보인다. == 구간 == ||<:><-5> '''상동교 서단''' [br][[상화로]]와 직결 (종점) || ||<)> [[남구청(대구)|남구청]] 방면||←||<:> '''[[효성로]]'''[br](효명네거리) ||-|| || ||<:><-5>앞산고가차도 || ||<)> 대명동 방면||←||<:> 큰골길 ||→||[[앞산]]공원 방면 || ||<:><-5>현충고가차도 || ||<:><-5>안지랑고가차도 || ||<)> 앞산네거리 방면||←||<:> '''[[현충로]]'''[br](현충네거리) ||-|| || ||<:><-5>대명고가교 || ||<:><-5>송현고가교 || ||<:><-5>대서지하차도 || ||<)> [[월촌역]] 방면||←||<:> '''[[송현로]]'''[br](청소년수련원 교차로) ||-|| || ||<:><-5>월촌고가교 || ||<)> 진천남네거리 방면||←||<:> '''상화북로''') ||-|| || ||<)> 유천네거리 방면||←||<:> '''[[상화로]], [[앞산터널로]]''' ||→||[[범물동]] 방면 || ||<:><-5> '''달비골 교차로''' [br][[앞산터널로]]와 직결(기점) || [[분류:달서구의 도로]][[분류:남구(대구)의 도로]][[분류:대구광역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