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 ||<-2>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1c68, #003082 20%, #003082 80%, #001c68)"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ffce00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제4대 대통령}}}]][br]{{{#ffce00 {{{+1 앙드레디외도네 콜링바}}}[br]André-Dieudonné Kolingba}}}'''}}}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ndré-Dieudonné Kolingba.jpg|width=100%]]}}} || ||<|2> {{{#ffce00 '''출생'''}}} ||[[1936년]] [[8월 12일]]|| ||[[우방기샤리]] [[방기(중앙아프리카공화국)|방기]] || ||<|2> {{{#ffce00 '''사망'''}}} ||[[2010년]] [[2월 7일]] (향년 73세)|| ||[[프랑스]] [[파리(도시)|파리]] || ||<|2> {{{#ffce00 '''재임기간'''}}} ||제7대 대통령|| ||[[1981년]] [[9월 1일]] ~ [[1993년]] [[10월 22일]] || || {{{#ffce00 '''소속 정당'''}}} ||중앙아프리카 민주연합 || || {{{#ffce00 '''직업'''}}} ||군인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앙아프리카공화국]]의 [[독재자]]이다. 1981년 무혈 쿠데타를 통해 다비드 다코를 축출하고 1993년까지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으로 재임하였다. == 생애 == 1936년 8월 12일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방기(중앙아프리카공화국)|방기]] 출생. 1979년 [[장 베델 보카사]]가 물러난 이후 [[다비드 다코]] 밑에서 참모총장이 되었다. 1981년 콜링바는 쿠데타를 일으켜서 다비드 다코를 축출하고 정권을 장악했다. 콜링바는 국가 재건을 위한 군사위원회를 열어서 자신이 사실상 군사독재를 펼쳤고 이후 중앙아프리카 민주연합을 유일한 합법 정당으로 하는 일당 독재 국가를 구축한다. 하지만 냉전이 종식된 이후 국제사회에서 콜링바 정권에 정권을 개방하도록 압력을 가한다. 게다가 경제난까지 겹치면서 결국 일당독재를 폐지하고 1993년 [[앙주펠릭스 파타세]]에게 정권을 내주게 되었으며, 중앙아프리카공화국에서는 유일하게 민주적 절차를 통해 물러난 인물이 되었다. 콜링바가 퇴임한 이후인 2001년에 쿠데타 시도가 드러났는데, 앙주펠릭스 파타세는 이 쿠데타 시도를 콜링바를 위시한 군인들이 일으키려고 했다고 비난한다. 결국 앙드레 콜링바는 [[우간다]]로 망명한다. 여기서 이후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이 되는 [[프랑수아 보지제]]가 쿠데타를 일으키려 했다는 의심을 받고 참모총장에서 해임되었다. 콜링바는 프랑수아 보지제가 2003년 쿠데타를 일으켜 앙주펠릭스 파타세를 축출한 이후 잠시 귀국했고 이후 2010년 파리에서 사망하였다. == 기타 == * 전두환 대통령 시절 방한한 적이 있다.[[https://www.joongang.co.kr/article/2051876|관련 기사]] [[분류:아프리카의 독재자]][[분류: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대통령]][[분류:1936년 출생]][[분류:2010년 사망]][[분류:중앙아프리카공화국의 군인]][[분류:군인 출신 정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