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고생물]][[분류:암플렉토벨루아과]] ||<-2><#F60> '''{{{#FFF {{{+1 암플렉토벨루아}}}[br]Amplectobelua}}}'''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mplectobelua fossil.webp|width=100%]]}}} || ||<#F93> '''학명''' || ''' ''Amplectobelua '''[br]Hou, Bergström & Ahlberg, 1995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계통군|{{{#000 '''계통군'''}}}]] ||범절지동물군^^Panarthropoda^^||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공하강^^Dinocaridid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라디오돈트목^^Radiodont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암플렉토벨루아과 ^^Amplectobeluid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암플렉토벨루아속^^''Amplectobelua'^^'''||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FFF> * †암플렉토벨루아 (''A. symbrachiata'')^^{{{-1 [[모식종]]}}}^^ * †암플렉토벨루아 (''A. stephenensis'')||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91201_Amplectobelua_symbrachiata (1).png|width=100%]]}}} || || 최신 복원도 || [목차] == 개요 == 첸지앙과 버제스 셰일에서 발견되는 라디오돈트의 한 종. 부속지가 다른 라디오돈트와 다르게 집게처럼 되어 있으며 'GLS(Gnathobase-Like Structures)'라는 특징적 기관으로 먹이를 으스러뜨릴 수 있었다. == 구조 == [[파일:675px-20200103_Radiodonta_gnathobase‐like_structures.png]] 암플렉토벨루아의 특징적 구조인 GLS(Gnathobase-Like Structures). 이것이 사냥감을 으스러뜨러 먹기 좋은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종의 부속지도 집게 형태인지라 샤냥감을 잡기에 굉장히 효율적인 구조라고 할 수 있다.[* A.symbrachiata는 좀 더 얇고 각진 부속지인 반면 A. stephenensis종은 부속지가 좀 더 둥굴다.] == 여담 == 여느 종이 그랬듯이 복원이 잘못된 때가 있는데 이 경우 특징적 집게 같은 부속지 복원이 부실한 경우가 많다. 그냥 작은 [[아노말로카리스]] 같이 복원된 느낌. Amplectobelua라는 이름의 유례는 '포용하는 짐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