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알팔파모자이크 바이러스(AMV)는 브로모바이러스과 알파모바이러스속의 대표 [[바이러스]]이다. == 상세 == 지금까지 밝혀진 알팔파모자이크 바이러스의 이동기작은 명확하지 않으며, 알팔파모자이크 바이러스 [[유전체]]의 [[RNA]]1과 RNA2는 비구조[[단백질]] P1과 중합[[효소]]단백질 P2를 각각 암호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알팔파모자이크 바이러스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이동단백질]](MP)과 [[외피단백질]](CP)은 RNA3에 의해 암호화되며, 외피단백질은 서브게놈 메신저 RNA 4에 의해 번역된다. [[네덜란드]] [[라이덴대학]] 분자식물학연구소의 S nchez-Navarro와 Bol은 알팔파모자이크 바이러스 이동에서 외피단백질과 이동단백질의 역할을 조사했다. 그들은 외피단백질 [[유전자]]의 C 말단쪽의 21개 [[아미노산]]을 제거하고 녹색형광단백질유전자(GFP)를 결합시켜 식물체에서 이들을 발현시켰을 때, 바이러스 입자의 형성에는 영향을 주었지만 외피단백질의 세포간 이동 기능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한 그들은 이동단백질 유전자의 N 말단쪽 11번 아미노산 혹은 C 말단쪽 5번 아미노산을 제거하고 녹색형광단백질유전자를 결합시켜 원형질체에서 발현시켰을 때, 원형질체 표면의 관형성능력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N 과 C 말단 부위를 각각 제거했을 때는 MP의 [[관형]]성기능이 소실됐다고 보고했다. S nchez-Navarro와 Bol은 알팔파모자이크 바이러스-이동단백질의 염기서열과 높은 상동성을 보이는 [[브롬모자이크 바이러스]](BMV)의 이동단백질이 알팔파모자이크 바이러스 이동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조사했다. 그들은 알팔파모자이크 바이러스-이동단백질을 브롬모자이크 바이러스-이동단백질로 교체했을 때 알팔파모자이크 바이러스는 이동하지 못했지만, 알팔파모자이크 바이러스 이동단백질의 C 말단쪽 48개 아미노산을 브롬모자이크 바이러스-이동단백질의 C 말단쪽 44개 아미노산으로 교체했을 때 알팔파모자이크 바이러스의 세포간 이동이 원활하게 일어나는 것을 관찰했다. 이러한 자료를 기초로 그들은 알팔파모자이크 바이러스-이동단백질의 C 말단이 알팔파모자이크 바이러스의 세포간 이동에는 없어도 상관없지만 바이러스 이동과정에 어떤 특이성을 부여한다고 주장했다. [[분류:이중가닥 RNA 바이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