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bumin [목차] == 개요 == [[라틴어]]의 [[계란]]흰자albumen에서 유래하는 이름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그룹의 이름이다. 이름처럼 달걀 흰자에서 많이 발견되며(ovalbumin), 보통 알부민이라고 하면 [[사람]] [[혈액]] 속의 [[극성#s-2.1|수용성]] 단백질을 일컫는 단어로 사용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LB_structure.png]] 위 그림에서 보듯 기본적으로 [[알파나선]]구조로만 되어 있는 형태이며, [[당]]질이 붙어있지 않다는 점에서 다른 혈중 단백질(예를 들면 [[항체]])과 차별되는 특징을 갖는다.[* 요 점 때문에 다른 사람의 알부민을 모은 [[주사]]제를 맞아도 [[면역]]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혈장 속에서 물, 온갖 종류의 양[[이온(화학)|이온]]들, [[지질]], [[호르몬]], 기타등등과 결합할 수 있는 만능의 역할을 한다. 일단 알려져 있는 가장 기본적인 [[생리학]]적 기작은 [[혈액]]의 [[삼투압]] 조절과 완충 작용 및 운반 작용이 있다. == 혈중 알부민 (serum albumin) == [[혈장]] 중에서 가장 많은 양[* 혈장 중 단백질의 50% 전후]을 차지하는 단백질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삼투압 조절 및 온갖종류의 물질들을 혈액 속에서 나르는 데 큰 역할을 하는데, 특히 비수용성 물질들(예를 들면 [[스테로이드]] 계열의 호르몬이나 대사산물, 지질, 약물[* 이 점 때문에 약의 개발 과정에서 알부민 결합능력을 중요한 요소로 파악하면서 진행한다.] 등을 포함한다)의 "택시" 노릇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주로 [[간]]에서 만들어진다. 특정한 질병(질병은 아니지만 영양실조도 포함된다.)의 경우 혈중 알부민이 감소하고, 대한민국에서 1980년대 이전에는 마치 원기 회복과 자양 강장에 엄청난 효과가 있다는 식으로 알려져 있었다. 현재 알부민은 건강기능식품 원료로도 인정되지 않는다. [[분류:단백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