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알베르트 괴링}}}[br]Albert Göri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static.guim.co.uk/albert-goering-001.jpg|width=100%]]}}} || || '''본명''' ||알베르트 귄터 괴링[br]Albert Günther Göring|| ||<|2> '''출생''' ||1895년 3월 9일|| ||[[독일 제국|독일국]] [[프로이센 주]] [[베를린]]|| ||<|2> '''사망''' ||1966년 12월 20일 (향년 71세)|| ||[[서독|독일연방공화국]] [[바이에른 주]] [[뮌헨]]||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제국)] ^^(1895~1918)^^ →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width=25]] [[바이마르 공화국]] ^^(1918~33)^^ → [include(틀:국기, 국명=나치 독일, 출력=나치 독일)] ^^(1933~45)^^ →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출력=독일연방공화국)] ^^(1945~66)^^|| || '''직업''' ||사업가, 기술자|| || '''학력''' ||[[뮌헨 공과대학교]] || || '''가족''' ||아버지 하인리히 에른스트 괴링 ^^(1838~1913)^^[br]형 [[헤르만 괴링]] ^^(1893~1946)^^|| || '''자녀''' ||페터 괴링 ^^(1922~1941)^^[* 공군에 입대하여 [[아돌프 갈란트]]의 윙맨으로 도버 해협에서 첫 출격을 했으나 첫 전과를 올리고 바로 전사.][br]엘리자베트 괴링[* 전후 [[페루]]로 이주해서 살았다.]|| [목차] [clearfix] == 개요 == [[독일]]의 사업가이자 기술자이다. [[나치 독일]]의 2인자 [[헤르만 괴링]]의 동생이었다. 형과 동생의 체형이 다른 건 형 헤르만이 중간에 약물중독에 빠져살았기 때문이다. 형이 약물로 인해 뚱땡이가 되고 동생은 탈모로 [[대머리]]이긴 하지만 실제로 두 형제 모두 미남형의 얼굴이다. 실제로 헤르만의 청년기 때에 찍힌 사진을 보면 중년 때의 그 사람이라고는 생각하기 힘들 정도로 진중한 신사의 느낌이 날 정도다. == 생애 == 알베르트 괴링은 베를린 교외에 1895년 3월 9일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남서아프리카#s-2|독일령 남서아프리카]] 식민지 초대 총독이었던 하인리히 에른스트 괴링이다.[* 여담으로 [[나미비아]]에는 '괴링로(路)'라는 길이 존재한다. <[[총, 균, 쇠]]>에서 서술된 에피소드인데 [[재레드 다이아몬드|저자]]는 이걸 보고 그야말로 기겁을 했다고 한다.] 형 헤르만 괴링과 달리 알베르트 괴링은 나치 집권기 이전까지 평범한 삶을 살았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공군에 입대하여 에이스 파일럿으로 이름을 날린 헤르만 괴링과 달리 서부전선의 참호전에서 육군으로 복무했다. [[뮌헨 공과대학교]]에서 [[기계공학]]을 전공했으며, 나치 집권기 이전까지는 영화계에 종사했다. 사생활은 다소 복잡했던 듯한데, 4번 결혼하고 3번 이혼했다. === 2차 세계 대전 당시의 업적 === 이렇게 평범한 삶을 살던 알베르트는 나치가 집권하면서 나치의 반([[反]])유대정책과 폭력성을 경멸하고 혐오하게 된다. 이런 알베르트의 나치에 대한 태도는 다음과 같은 일화에서 잘 나타나는데, [[1962년]] [[오스트리아]] 시나리오 작가 에른스트 노히바흐가 한 주간지에 기고한 글에 따르면 나치 독일 당시 [[빈(오스트리아)|빈]]의 한 상점에서 그의 노모가 수모를 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는데, [[독일 국방군|독일군]] [[병사]]가 75세가 된 그의 노모에게 '더러운 [[유대인]]'이라는 팻말을 건 채로 상점의 진열대에 앉아 있게 한 것이다. 그때 '''알베르트가 괴링의 성이 기입된 자신의 신분증을 보여주어 그의 노모를 구해주었다.''' 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 장성이자 [[합스부르크 가문]] 황족이었던 [[요제프 페르디난트 폰 외스터라이히토스카나]] 대공도 알베르트가 보여준 선행의 수혜자였다. 알베르트는 나치에 반대하다 다하우 수용소에 수감되었던 페르디난트 대공을 구하기 위해 형 헤르만 괴링에게 직접 그를 풀어달라고 직언했고, 헤르만은 동생의 부탁을 들어주었다. 그가 일했던 회사의 전 사장이었던 유대인 오스카 필처가 체포되기 전에 빼돌렸고 반(反)나치 인사들의 탈출을 위해 형의 사인을 위조하여 통행증을 만들었고 발각되어 체포되었을 때는 형의 배경을 이용하여 풀려났다. 이렇듯 나치의 유대정책에 반감을 가지고 있었던 그는 곧 독일을 떠나 오스트리아로 향한다. 그리고 본격적으로 반 나치·반 히틀러를 주장하기 시작했지만 [[1938년]] 독일의 [[오스트리아 합병]]으로 위기에 빠진다. 하지만 그의 형은 다름아닌 나치 독일의 제2인자이자 [[게슈타포]]의 창립자였던 만큼 게슈타포도 그에게는 손을 쓰지 못했다. 이후 [[체코슬로바키아]]의 [[스코다]] 사에서 수출감독을 맡게 되었는데 여기서도 그는 유대인 노동자의 [[사보타주]]를 독려하는가 하면 [[체코]]의 [[레지스탕스]]와 몰래 접촉하여 그들을 지원하였다.의외로 형 헤르만은 측근들의 보고로 알베르트의 반나치 지하운동을 알고 있음에도 묵인했으며, 알베르트도 형이 자신의 행동을 눈감아 준다는 걸 알고 있었고 여차하면 도움을 청했는데 헤르만은 이걸 도와주었다. 거기에 한술 더 떠서 수용소에서 유대인과 [[소련군]] 포로들을 데려와서는 [[중립국]]인 [[스위스]]와 [[모나코]]에 풀어주기까지 하였다. == 전후 생활 == 전후 알베르트는 연합국과 체코 정부에 의해 두 번의 재판을 받게 되지만, 그가 구해주었던 수많은 사람들의 증언으로 그는 무사히 풀려났다. 그리고 알베르트는 형이 자신의 반 나치 활동을 도와준 것을 증좌(證左)[* 참고가 될만한 증거.]로 구명 활동을 했다. 하지만 형의 죄질이 너무나도 나빴기 때문에[* 정확히는 전쟁을 일으키고 교사한 죄와 슈츠슈타펠, 다하우 강제수용소 건설에 관여한 죄, 나치라는 막장 집단의 수장이었다는 상징성 등 스케일이 너무나도 컸다. 심지어 그냥 중심도 아니고 나치의 2인자가 그의 직위였으니 뉘른베르크 재판 피고 중 최고위층으로서 사형은 100% 확정이었다. 결국 군인다운 명예로운 총살형이 아닌 치욕스러운 교수형을 선고받았다. 1947년에는 유대인을 절멸하는 것으로 방향성을 결정한 [[반제 회의]]의 의장이었다는 증거까지 발견되었다.] 구명은 실패했다. 그 후 형이 [[자살]]하기 직전에 면회를 한번 올 수 있었는데, '''가족들을 잘 부탁한다'''는[* [[여자]]를 수시로 갈아치우다시피 했던 [[괴벨스]]와는 달리 헤르만은 가족들에게만큼은 충실했었다. 다만 괴벨스는 제국의 다산 정책에 충실해 애는 많이 얻었고, 나중에 가서는 부인과 관계도 그리 나쁘진 않았다. 그리고 부인 마그다 괴벨스가 열렬한 나치, 총통 추종자로 [[아돌프 히틀러]]에게 호감을 사고 있었고 이는 괴벨스의 위치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만일 허튼 짓이라도 했다가는 바로 히틀러의 신경질적인 불호령이 떨어지므로 여자를 갈아치우고 어쩌고 할 처지가 아니었다.] 말을 듣고 나서 크게 슬퍼했다고 한다. 하지만 괴링이라는 성씨는 전후 혐오의 대상이 되었고, 그 때문에 알베르트는 어려운 삶을 살게 된다. 독일 정부가 지급하는 연금으로 생활을 하던 그는 작가, 번역가로 일했다. 알베르트는 생전에 결혼을 할 경우, 자신이 사망하게 되면 자신의 연금이 아내에게 전해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는 가정부를 한 명 두고 있었는데, 자신의 사후에 연금을 받을 수 있도록 그 동안의 감사의 표시로 [[1966년]]에 자신의 가정부와 결혼한다. 일주일 후, 그는 자신의 전시 활동을 공개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눈을 감았다. 향년 71세. == 유대인 사생아 설 == 알베르트 괴링의 친부는 [[헤르만 괴링]]의 [[대부]]이자 어머니의 애인이었던 헤르만 에펜슈타인 [[백작]]이라는 의혹이 있는데 이는 전문 역사학자도 아닌 영국 정보부 출신이자 영화계 관계자였던 Roger Manvell 등의 영국측 프로파간다에 근거한 허구이다. 정작 알베르트 괴링을 임신했을 시기에 그의 모친은 남편의 임지였던 [[아이티]]에 있었으므로 그럴 가능성은 없다. 참고로 에펜슈타인 백작은 유대계여서 만약 그가 알베르트의 친부였다면 알베르트는 동족을 구한 셈이 되기에 이런 근거없는 주장이 일부의 지지를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 관련 문서 == * [[헤르만 괴링]] * [[못된 형과 착한 아우]] * [[하인츠 지크프리트 하이드리히]] - 아이러니하게도''' 이 양반도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의 남동생'''이었다. 게다가 이 사람은 진짜 [[슈츠슈타펠]] 출신이었다. 예전에 알베르트 괴링이 [[무장친위대]]라고 했던 사람이 있었는데, 아마도 이 분과 헷갈린 것 같다. 하인츠는 군인용 신문이었던 Die Panzerfaust의 편집장이었는데, 그렇게 우애가 깊었던 형이 [[홀로코스트]]의 책임자였다는 걸 알게 된 뒤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큰 충격을 받았다. 그 후에 신문사의 인쇄기를 이용해서 유대인들의 신분 증명서를 위조하여 그들의 탈출을 도왔는데, 1944년 11월 신문사에 대한 조사가 이뤄지자 가족을 보호하기 위해 자살해버렸다. 안타깝게도 그 조사가 들어온 이유는 하인츠의 행적이 아니라 그저 인쇄용지가 부족한 이유를 알아보기 위함이었다. [[분류:베를린 출신 인물]][[분류:제3제국/인물]][[분류:1895년 출생]][[분류:1966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