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보스턴 레드삭스/로스터)] ---- || '''{{{#ffffff 알렉스 코라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BOS_2007_WSChampion.gif|height=70]][br]'''MLB 월드 시리즈[br]우승반지''' || || '''[[2007년 월드 시리즈|{{{#ffffff 2007}}}]]''' || ---- ||
[[파일:휴스턴 애스트로스 우승 엠블럼 V1.svg|height=70]][br]'''MLB 월드 시리즈[br]우승코치''' || || '''[[2017년 월드 시리즈|{{{#eb6e1f 2017}}}]]''' || ---- ||
[[파일:2018보스턴우승로고.png|height=70]][br]'''MLB 월드 시리즈[br]우승감독''' || || '''[[2018년 월드 시리즈|{{{#ffffff 2018}}}]]''' || ---- [include(틀:보스턴 레드삭스 감독)] ---- ||<-5> '''{{{#fff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fff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3번}}}''' || || 채드 폰빌[br](1995~1997) || {{{+1 →}}} || '''{{{#005a9c 알렉스 코라[br](1998~2001)}}}''' || {{{+1 →}}} || 세사르 이스투리스[br](2002~2006) || ||<-5> '''{{{#fff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fff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13번}}}''' || || 안토니오 오수나[br](1995~2000) || {{{+1 →}}} || '''{{{#005a9c 알렉스 코라[br](2002~2004)}}}''' || {{{+1 →}}} || 오스카 로블레스[br](2005~2006) || ||<-5> '''{{{#ffffff [[클리블랜드 가디언스|{{{#ffffff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등번호 12번}}}''' || || 루 멜로니[br](2004) || {{{+1 →}}} || '''{{{#ffffff 알렉스 코라[br](2005)}}}''' || {{{+1 →}}} || 루 멜로니[br](2006) || ||<-5> '''{{{#ffffff [[보스턴 레드삭스|{{{#ffffff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23번}}}''' || || 라몬 바스케스[br](2005) || {{{+1 →}}} || '''{{{#ffffff 알렉스 코라[br](2005)}}}''' || {{{+1 →}}} || [[하비 로페즈]][br](2006) || ||<-5> '''{{{#ffffff [[보스턴 레드삭스|{{{#ffffff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13번}}}''' || || [[로베르토 페타지니]][br](2005) || {{{+1 →}}} || '''{{{#ffffff 알렉스 코라[br](2006~2008)}}}''' || {{{+1 →}}} || [[알렉스 곤잘레스(1977)|알렉스 곤잘레스]][br](2009) || ||<-5> '''{{{#ffffff [[뉴욕 메츠|{{{#ffffff 뉴욕 메츠}}}]] 등번호 3번}}}''' || || [[대미언 이즐리]][br](2007~2008) || {{{+1 →}}} || '''{{{#ffffff 알렉스 코라[br](2009)}}}''' || {{{+1 →}}} || 루이스 에르난데스[br](2010) || ||<-5> '''{{{#ffffff [[뉴욕 메츠|{{{#ffffff 뉴욕 메츠}}}]] 등번호 13번}}}''' || || [[빌리 와그너]][br](2006~2009) || {{{+1 →}}} || '''{{{#ffffff 알렉스 코라[br](2010)}}}''' || {{{+1 →}}} || 마이크 니키스[br](2010~2011) || ||<-5> '''{{{#ffffff [[텍사스 레인저스|{{{#ffffff 텍사스 레인저스}}}]] 등번호 12번}}}''' || || 크리스티안 구즈만[br](2010) || {{{+1 →}}} || '''{{{#ffffff 알렉스 코라[br](2010)}}}''' || {{{+1 →}}} || 오마 퀸타니야[br](2011) || ||<-5> '''{{{#ffffff [[워싱턴 내셔널스|{{{#ffffff 워싱턴 내셔널스}}}]] 등번호 13번}}}''' || || [[알렉스 신트론]][br](2009) || {{{+1 →}}} || '''{{{#ffffff 알렉스 코라[br](2011)}}}''' || {{{+1 →}}} || 토니 비슬리[br](2012~2013) || ||<-5> '''{{{#ffffff [[휴스턴 애스트로스|{{{#ffffff 휴스턴 애스트로스}}}]] 등번호 26번}}}''' || || [[대니 워스]][br](2016) || {{{+1 →}}} || '''{{{#000000 알렉스 코라[br](2017)}}}''' || {{{+1 →}}} || [[마일스 스트로]][br](2018~2019) || ||<-5> '''{{{#ffffff [[보스턴 레드삭스|{{{#ffffff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20번}}}''' || || [[루벤 아마로 주니어]][br](2016~2017) || {{{+1 →}}} || '''{{{#ffffff 알렉스 코라[br](2018~2019)}}}''' || {{{+1 →}}} || [[지터 다운스]][br](2022) || ||<-5> '''{{{#ffffff [[보스턴 레드삭스|{{{#ffffff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13번}}}''' || || [[핸리 라미레즈]][br](2015~2018) || {{{+1 →}}} || '''{{{#ffffff 알렉스 코라[br](2021~)}}}''' || {{{+1 →}}} || 현역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lex_Cora_BOS_Manager.jpg|width=100%]]}}} || ||<-2> '''보스턴 레드삭스 No.13''' || ||<-2><#0d2b56> '''{{{+2 알렉스 코라}}}[br]Alex Cora''' || || '''본명''' ||호세 알렉산더 코라[br]Jose Alexander Cora || ||<|2> '''출생''' ||[[1975년]] [[10월 18일]] ([age(1975-10-18)]세) || ||카과스 || ||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width=25]] [[푸에르토리코]]) || || '''학력''' ||콜레지오 바티스타 - 콜레지오 바티스타 데 카과스 - [[마이애미 대학교(플로리다)|마이애미 대학교]] || || '''신체''' ||183cm / 90kg || || '''포지션''' ||[[유격수]] || || '''투타''' ||[[우투좌타]] || || '''프로입단''' ||--1993년 드래프트 12라운드 전체 345번 ([[미네소타 트윈스|MIN]])--[br]1996년 드래프트 3라운드 전체 88번 ([[로스앤젤레스 다저스|LAD]]) || || '''소속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1998~2004)'''[br][[클리블랜드 가디언스|클리블랜드 인디언스]] (2005)[br][[보스턴 레드삭스]] (2005~2008)[br][[뉴욕 메츠]] (2009~2010)[br][[텍사스 레인저스]] (2010)[br][[워싱턴 내셔널스]] (2011) || || '''지도자''' ||[[휴스턴 애스트로스]] 벤치코치 (2017)[br]'''[[보스턴 레드삭스]] 감독 (2018~2019, 2021~)''' || || '''가족''' ||형 [[조이 코라]] || || '''SNS''' ||[[https://www.instagram.com/ac13alex/|[[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ac13alex, 크기=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보스턴 레드삭스]]의 감독. == 선수 경력 == 1993년 드래프트 때 [[미네소타 트윈스]]에 12라운드 지명됐지만 [[마이애미 대학교(플로리다)|마이애미 대학교]]에 진학했다. 1996년 드래프트를 앞두고 베이스볼 아메리카는 코라를 당시 대학 야구선수 중 최고의 수비수로 선정했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에 지명, 입단했다. 1998년 메이저 리그에 데뷔하였고, 2000년부터 본격적으로 메이저리그에 자리를 잡으며 이때부터 한국 야구팬들은 코라를 [[박찬호]]의 동료로 기억하게 된다. 내야수, 그 중에서도 유격수로 활동하였다. 주로 7, 8번의 하위 타순에 배치되는 선수였으며, 수비는 매우 좋았지만 방망이 실력은 좋지 못한 그저 그런 선수였다. 특히 박찬호의 다저스 마지막 시즌인 2001년 OPS는 0.591.[* 참고로 박찬호의 2000년 OPS는 0.593이다.] 14년간 선수 시절 동안 평균 타율은 0.243일 정도로 그냥 평범한 선수였다. 데뷔 초반 LA 다저스 시절에는 거의 주전 유격수 급으로 활동하며 많이 출전했으나 늘 타격 성적이 부진했고, 2005년 다저스를 떠난 이후에는 많아야 200~300타석 정도 나오는 메인 백업으로 주로 활동했다. 2007년 [[보스턴 레드삭스]] 소속일 때 한 번의 [[월드 시리즈]] 우승 경험이 있다. 14년 동안 6팀을 전전하면서도 메이저리그에서 준주전급으로 계속 활약할 정도는 되었을 실력이었으며, 2011년 [[워싱턴 내셔널스]]에서 뛰고 2012년에도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와 마이너 계약을 맺었지만 스프링 캠프 도중 방출당하며 은퇴를 하였다. == 연도별 기록 == ||<-18> {{{#005A9C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fWAR || || 1998 ||<|7> [[로스앤젤레스 다저스|LAD]] || 29 || 38 || 4 || 0 || 1 || 0 || 0 || 0 || 0 || 2 || 8 || .121 || .194 || .182 || .376 || -0.1 || || 1999 || 11 || 31 || 5 || 1 || 0 || 0 || 2 || 3 || 0 || 0 || 4 || .167 || .194 || .200 || .394 || -0.5 || || 2000 || 109 || 394 || 84 || 18 || 6 || 4 || 39 || 32 || 4 || 26 || 53 || .238 || .302 || .357 || .658 || 0.2 || || 2001 || 134 || 449 || 88 || 18 || 3 || 4 || 38 || 29 || 0 || 31 || 58 || .217 || .285 || .306 || .591 || -0.5 || || 2002 || 115 || 293 || 75 || 14 || 4 || 5 || 37 || 28 || 7 || 26 || 38 || .291 || .371 || .434 || .805 || 3.0 || || 2003 || 148 || 514 || 39 || 24 || 3 || 4 || 39 || 34 || 4 || 16 || 59 || 249 || .287 || .338 || .625 || 0.3 || || 2004 || 138 || 484 || 107 || 9 || 4 || 10 || 47 || 47 || 3 || 47 || 41 || 264 || .364 || .380 || .745 || 1.5 || || 연도 || 소속팀 || 경기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fWAR || || 2005 || [[클리블랜드 가디언스|CLE]]/[[보스턴 레드삭스|BOS]] || 96 || 273 || 58 || 8 || 4 || 3 || 25 || 24 || 7 || 11 || 30 || .232 || .275 || .332 || .607 || 1.0 || || 2006 ||<|3> [[보스턴 레드삭스|BOS]] || 96 || 264 || 31 || 7 || 2 || 1 || 31 || 18 || 6 || 19 || 29 || .238 || .312 || .298 || .609 || 0.6 || || 2007 || 83 || 232 || 51 || 10 || 5 || 3 || 30 || 18 || 1 || 7 || 23 || .246 || .298 || .386 || .684 || 0.3 || || 2008 || 75 || 179 || 41 || 8 || 2 || 0 || 14 || 9 || 1 || 16 || 13 || .270 || .371 || .349 || .719 || 0.6 || || 연도 || 소속팀 || 경기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fWAR || || 2009 || [[뉴욕 메츠|NYM]] || 82 || 308 || 68 || 11 || 1 || 1 || 31 || 18 || 8 || 25 || 28 || .251 || .320 || .310 || .630 || 0.6 || || 연도 || 소속팀 || 경기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fWAR || || 2010 || [[뉴욕 메츠|NYM]]/[[텍사스 레인저스|TEX]] || 66 || 194 || 37 || 6 || 3 || 0 || 14 || 20 || 4 || 10 || 16 || .210 || .266 || .278 || .544 || -0.4 || || 연도 || 소속팀 || 경기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fWAR || || 2011 || [[워싱턴 내셔널스|WSH]] || 91 || 172 || 35 || 6 || 1 || 0 || 12 || 6 || 2 || 12 || 23 || .224 || .287 || .276 || .562 || -0.1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14시즌)''' || 1273 || 3825 || 828 || 140 || 39 || 35 || 360 || 286 || 47 || 248 || 423 || .243 || .310 || .338 || .648 || 7.0 || == 지도자 경력 == 은퇴 후 2013년부터 4년간 ESPN에서 해설가로 활동했고, 2017년 [[휴스턴 애스트로스]]의 벤치코치로 있다가 2017 시즌 종료 후, [[보스턴 레드삭스]]의 신임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그리고 팀을 단숨에 MLB 최강팀으로 만들어냈다. 비록 [[무키 베츠]]와 [[잰더 보가츠]] 등 기존 팜 출신 코어 선수에 [[J.D. 마르티네즈]]가 영입된 타선이지만 적절한 플래툰이 다 맞아 떨어지고 무엇보다 [[크리스 세일]] 등 체력관리가 필요한 선수들은 철저하게 관리해가면서 감독 첫해에 팀을 월드 시리즈에 올렸고, 전년도에 코치로 있던 [[휴스턴 애스트로스]]에 이어서 [[보스턴 레드삭스]]의 감독이 되고 2년 연속으로 우승 반지를 손에 넣었다. 월드 시리즈 상대팀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공교롭게도 코라가 데뷔한 팀이고 가장 오래 뛰었던 팀이기도 하다. 특히 [[박찬호]]의 옛 동료이기도 했다. 적장인 다저스의 [[데이브 로버츠]] 감독과는 다저스에서 2002~2004년까지 같이 동료로 활약했던 적이 있으며, 둘 다 [[클리블랜드 가디언스|클리블랜드 인디언스]]와 [[보스턴 레드삭스]]에서 뛴 경력도 있다.[* 같이 뛰지는 않았다. 로버츠는 데뷔 후 2001년까지 클리블랜드에서 뛴 후 다저스로 이적했고, 2004년 시즌 중 트레이드되어 역사에 남을 명장면을 만든 후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에 새 둥지를 틀었다. 코라는 로버츠의 트레이드 이후에도 다저스에서 뛰다가 2005년 FA로 클리블랜드로 이적한 후, 2005년 시즌 중간에 보스턴으로 트레이드되었다.] 코라는 그렇게 우승을 차지했는데, 아이러니한 것은 이 해에 AL 올해의 감독상으로 [[밥 멜빈]]이 선정되면서 받지 못하게 되었다는 것. 그 때문에 논란이 생기기도 했다. [* 그러나 이 논란을 두고 뭐라고 할수가 없는게 당시 어슬레틱스의 선수 뎁스로도 구단 자체도 스몰중에 스몰 구단인 이유도 그렇고 당시 경기 안팎의 구단의 상황도 그렇고 완전히 개판이어서 리그 꼴찌가 되어도 뭐라 못 할 상황이었는데 멜빈 감독은 그걸 그대로 이겨내며 그대로 '''와일드카드 진출'''까지 해내며 이를 두고 아직까지 외간에서 야구의 화신이 이젠 [[빌리 빈]] 전 단장에 이어 감독으로 재림한게 아니냐며 말이 나돌정도로 파급력이 쎘기 때문이다. 그리고 알다시피 감독상 투표에는 포스트시즌 전적이 반영되지 않는다.] 2019 시즌은 세일과 [[데이비드 프라이스]], [[릭 포셀로]]를 비롯한 선발진들이 부상과 부진으로 완전히 박살나며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해 사실상 실패한 시즌이 되고 말았다. 이 여파로 [[데이브 돔브로스키]] 사장이 경질되었다. 다만, 코라 본인은 2021년까지 계약이 연장돼서 당장 문제는 없다. 그러나 아래에서 후술할 2017년과 2018년에 걸쳐 코라가 [[휴스턴 애스트로스]]와 [[보스턴 레드삭스]]의 사인 훔치기 과정에 주도적으로 개입했다는 논란이 불거졌고, 휴스턴의 사인 훔치기 조사 결과가 발표된 2020년 1월 15일 상호 계약해지에 합의하면서 감독직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그런데 자격정지가 풀리고 다시 레드삭스와 면접을 봤다는 이야기가 나오면서 복귀 떡밥이 생겼다. 결국 11월 6일자로 레드삭스 감독 자리에 재신임됐다. 계약 기간은 2+2년. 그리고 선발진의 연쇄 붕괴 때문에 탱킹이 불가피하다는 2021 시즌 전 예상을 깨고, 두 차례의 8연승을 기록하며 예상 외로 동부지구 선두를 독주하고 있다. 그러나 [[탬파베이 레이스]]의 선전을 이기지 못하며 지구 2위로 밀렸고, [[2021 아메리칸 리그 와일드카드 게임]]에서 [[뉴욕 양키스]]를 꺾고 [[2021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에 진출했고 기어코 [[탬파베이 레이스]]를 꺾고 [[2021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 진출했다. 하지만 [[휴스턴 애스트로스]]와의 챔피언십 시리즈에서는 그 동안 포스트시즌에서 자주 써먹었던 선발투수 변칙 기용이 역으로 독이 되면서 시리즈를 2:1로 앞서던 상황에서 맞이한 4차전에서 2차전 선발투수였던 [[네이선 이볼디]]를 4차전의 9회초에 썼다가 9회에만 7실점 빅 이닝을 허용하고 말았고, 결국 이후 분위기를 완전히 넘겨주면서 5차전과 6차전에서 합계 단 1득점밖에 하지 못하는 빈타에 허덕인 것도 모자라 투수진까지 함께 무너지면서 2승 4패로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고배를 마시고 시즌을 마감했다. 2022 시즌에는 올스타 브레이크를 전후해 팀의 에너지 레벨이 급격하게 떨어지며 꼴찌로 마감. 하지만 2021 시즌이 운이 좋았던 것은 구단 관계자들도 알고 팬들도 알고, 코라 감독 본인도 알고 있었을 테니 크게 실망하는 반응은 없다. 구단 측도 계약 연장 옵션을 실행하며 2023 시즌도 보스턴과 함께 하게 되었다. 2023 시즌은 리툴링을 계속 하던 보스턴에게 있어서나 연장 계약 첫 해인 코라에게 있어서나 매우 중요한 시즌이 되었다. 체질 개선을 천명하며 하임 블룸 사장을 데려왔고 유망주들도 계속 발굴되고는 있지만 2019 시즌 이래 운이 따라줬던 2021 시즌을 제외하고는 매우 실망스러운 성적을 올린 것도 사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잰더 보가츠가 오프시즌 초반에 샌디에이고 파드리스로 이적하며 벌써부터 어깨가 무거워지게 됐다. 알렉스 코라에 대한 보스턴 팬들의 여론은 호의적이다. 그나마도 2022 시즌 중반 이후 갑작스런 폭락을 겪으며 인기가 다소 시들해진 것이지, 2021 시즌까지만 해도 리툴링 중인 팀을 이끌고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까지 올라가면서 4차전 9회까지는 한 수 위 전력인 휴스턴을 벼랑 끝까지 몰고 가는 모습을 보이며 많은 지지를 받았다. 감독의 권한이 그다지 크지 않은 메이저리그에서 감독의 스타일을 논하는 건 적절치 않지만, 코라는 감독의 선택이 승패를 좌우하는 단기전에서 본인의 전술을 잘 드러내는 감독이다. 하필이면 동시대에 지독한 탱킹과 편법을 동원[* 굳이 사인 훔치기를 언급하지 않더라도 ~~그 건은 보스턴 팬 입장에서 딱히 이야기할 자격이 없기도 하고~~, [[조지 스프링어]], 브래디 에이켄 계약 건부터 해서 무지성 탱킹 문화를 메이저 리그에 전파하면서 리그 흥행에 큰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하면서 전력을 최대치로 끌어올린 [[휴스턴 애스트로스]]가 존재하는 바람에 좀 묻히는 감이 있으나, 그래도 단기전에 강하다면 강하다고 할 수 있는 감독이다. 그 휴스턴 상대로도 상대전적 7승 8패를 기록하고 2018년에는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휴스턴 상대로 완승한 전적이 있으며, 2022 시즌 기준 휴스턴 외의 팀에게는 포스트시즌에서 패배한 전적이 없다. 코라의 감독 첫 해였던 2018년에는 양키스, 휴스턴, 다저스를 차례로 꺾고 월드 시리즈 '''우승''', 2021년에는 양키스, 레이스를 차례로 꺾고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휴스턴에게 '''패배'''. 2018년의 양키스, 휴스턴, 다저스는 모두 호락호락하지 않은 팀들이었고[* 양키스, 휴스턴은 모두 100승 고지를 밟은 팀이었고, 다저스도 피타고리안 승률로 따지면 102승을 거둘 수 있는 팀이었다.] 2021년에는 양키스를 상대할 때부터 휴스턴을 상대할 때까지 내내 언더독 취급이었다. 전문가들은 코라가 단기전에서 강한 이유를 변칙적인 투수 운용에 능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단순히 벌떼 전술을 잘 쓸뿐만 아니라 2018 월드 시리즈 3차전의 [[네이선 이볼디]], 2021 디비전 시리즈 3차전의 [[닉 피베타]] 처럼 시리즈의 승부처에서는 믿을 만한 선발 투수를 중도에 투입하여 연장 승부에서 물러나지 않는 모습도 보인다. 2018년에는 기존에 새가슴이라고 평가받던 [[데이비드 프라이스]]도 어찌저찌 잘 살려서 써먹는 등 선수들과의 케미스트리도 나쁘지 않아 보이며, 그 덕인지 사인 훔치기 스캔들이라는 불미스러운 일을 겪고도 원래 소속팀인 보스턴으로 복귀할 수 있었다. == 여담 == * 10살 위의 친형인 [[조이 코라]]도 메이저 리그에서 11년간 2루수, 유격수로 선수 생활을 했다. [[형만한 아우 없다]]라는 말이 있듯이 선수 시절엔 형인 조이가 더욱 좋은 선수로 평가 받았다. [[피츠버그 파이리츠]]의 3루 주루코치를 맡았으며,현재는 [[뉴욕 메츠]]의 3루 주루코치를 맡고 있다. 2005년 [[시카고 화이트삭스]]에서 3루 주루코치일 때 월드 시리즈 우승 경험이 있다.[* 당시 화이트 삭스에서 불펜 캐처를 맡았던 [[이만수]]도 [[조이 코라]] 코치와 같이 우승반지를 받았다.] 동생에 비해서 선수 시절 월드 시리즈 우승 경험은 없으나, [[시애틀 매리너스]]에서 시즌 평균 타율 .300을 기록했던 1997년에 올스타에 뽑힌 경력이 있다. [[https://www.mlb.com/news/alex-cora-joey-cora-share-deep-bond/c-269895796|코라 형제 스토리]] 한편, 2016년 오프시즌 때 [[SK 와이번스]]의 감독 후보군으로 [[트레이 힐만]], [[스캇 쿨바]] 등과 함께 거론되기도 했다. * 영어에 능숙하고[* 엑센트가 거의 없다. 같은 푸에르토리코 출신 중 [[마이크 로웰]]도 비슷한 레벨의 영어가 되긴 한다.] 인터뷰 솜씨가 상당히 좋다. 딱딱해 보이는 이미지와는 달리 인터뷰를 보면 꽤 위트가 있는데 2007년도와 2018년도 팀을 비교해 보라는 질문에 '2007년에 꽤 좋은 유틸리티 선수가 있었다'라며 자기를 칭하고 기자가 이름을 물어보자 '호세 코라 였던가?' 라는 식으로 능청을 떨어서 다들 웃게 만들었다. * 많이 알려지지 않는 훈훈한 스토리가 있는데, 레드삭스의 감독으로 임명될 때 코라는 2018년 현 시점을 기준으로도 상당히 저렴한 연봉에 계약을 했다. 협상 도중 코라가 요구했던 건 연봉 인상 같은게 아니라 '''"연봉은 올릴 필요없습니다. 대신 지진으로 피해받고 있는 제 고향 사람들을 도와주세요."''' 였다. 레드삭스는 흔쾌히 응했고 코라의 고향 사람들은 상당한 물자를 지원받았다.[* 2018년 현 시점에서 과거 연 600만 달러 가량을 받던 [[마이크 소시아]], [[조 매든]] 등에 비해 메이저 리그 감독들의 연봉이 많이 줄어들었지만 [[2018년 월드 시리즈]] 당시 적장으로 만난 [[데이브 로버츠]]도 초임 연봉이 100만 달러고,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의 감독인 [[브라이언 스니커]]의 연봉이 80만 달러 정도인 것을 생각하면 코라의 이 결정은 상당히 이례적인 케이스다. 참고로 [[네드 요스트]]나 [[브루스 보치]] 등 기 경력자의 연봉은 3~400만 달러 선.] * 선수 시절 [[한국]]에서는 [[박찬호]]의 동료로 수비만 좀 하는 무툴에 주력도 생각보다 별로고 주전 턱걸이 선수라는 이미지가 박혀있지만 이 당시 한국프로야구에 외국인 선수 제도가 생기기 얼마 안된 시기에 끽해야 더블A ~ 트리플A 급들이 리그 상위권의 성적을 내자 메이저 무툴인 알렉스 코라도 한국프로야구에 오면 [[알렉스 로드리게스]]가 될 거라는 [[떡밥]] 논쟁이 있었다. 마이너 백업이 저정도인데 메이저 주전이 한국오면 엄청날 거라는 논리. 실제로 커리어 통산 WAR을 보면 한국에서 활약한 [[다린 러프]]나 [[로베르토 페타지니]], [[에릭 테임즈]], [[로저 버나디나]]보다 훨씬 낫기에 한국에 잘 적응한다는 가정 하에 상당히 좋은 성적을 냈을 거라는 추측은 가능하다. 더구나 코라는 위에서 언급된 선수들 중 페타지니를 제외한 나머지 선수들보다 시기상 이전에 뛰었던 선수고, 코라가 뛰었을 당시에는 KBO와 MLB의 격차가 2020년대 현재보다도 더 컸기에 진짜로 알렉스 로드리게스마냥 홈런 40개 넘게 치는 홈런타자가 됐을지도 모른다. *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는 [[푸에르토리코 야구 국가대표팀]] 선수로 출전하였다. * 다저스 시절이던 2004년 5월 19일 [[시카고 컵스]]의 맷 클레멘트를 상대로 18구 [[용규놀이]] 끝에 홈런을 쳤다. 여담으로 이 경기를 해설하던 [[빈 스컬리]]는 박장대소하였다. [youtube(E9EiIbUg0pI)] 당시 타석 영상. 홈런 치고 돌아와서 맞아주는 파란색 유니폼 입은 사람이 [[데이브 로버츠]](4분 50초 부근)다. == 논란 == 2017 시즌 휴스턴 애스트로스의 사인 훔치기 스캔들에 [[카를로스 벨트란]][* 당시 애스트로스 선수]과 함께 가장 깊게 관여한 인물 중 하나라는 증언이 나왔다. [[https://www.si.com/.amp/mlb/2019/11/14/astros-sign-stealing-alex-cora-carlos-beltran|#]] 2018년 레드삭스 관련 조사가 진행 중이기에 아직 MLB 차원의 징계는 내려지지 않았으나, 2017년 당시 애스트로스의 벤치 코치였던 코라가 사인 훔치기에서 적극적이고 핵심적인 역할을 한 것은 2020년 1월 13일에 발표된 휴스턴 애스트로스에 관한 MLB 사무국의 공식 조사 결과 발표문에서 확인되었다. 애스트로스의 2017년 사인 훔치기 작업에 직접 개입하지는 않았으나 인지는 하고 있던 르나우 단장과 [[A.J. 힌치]] 감독은 적극적으로 이를 막는 조치를 하지 않은 책임을 지고 이날 자격정지 1년 징계 발표 직후 현직에서 해고되었는데, 이 둘과 비교해서 일련의 과정에 가장 깊숙하게 개입한 코칭스태프이면서 이후 레드삭스 감독으로 부임한 후에도 같은 짓을 저지른 혐의가 짙은 코라는 감독 해임 이후 보다 더 엄중한 처벌이 내려질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이후 코라에게도 1년 자격 정지 처분이 내려지며 2019년을 기점으로 보스턴 감독직에서 물러났으나, 자격 정지가 해제된 2021년에 다시 보스턴 감독으로 복귀하며 많은 논란을 샀다. 2023년 2월 3일, 미국 매체 '보스턴 헤럴드' 소속 기자였던 에반 드렐리치가 쓴 책이 출판되었고, 책의 내용에는 코라가 2018년 레드삭스 감독으로 부임한 이후, 휴스턴 소속이던 2017년에 있었던 싸인 훔치기 스캔들을 자랑하고 다녔으며 특히 늦은 심야 시간에 술을 마실 때 특히 그랬다는 내용이 밝혀졌다. 한 익명의 레드삭스 관계자에 따르면 드릴리치에게 "우리는 휴스턴의 싸인 훔치기를 알았다. 이는 코라에게 들었으며, 그는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의 [[2017년 월드 시리즈]]에서 '우리는 베이스에 오르기도 전에 이미 투수가 무엇을 던질지 알고 있었기에 출루할 필요가 없었다.'라고 말했고 우리는 '도대체 그게 무슨 뜻이야?'라고 생각했다."라고 밝혔다. == 감독 성적 == ||<-8> {{{#ffffff '''역대 감독 전적'''}}}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승률 || 정규시즌 || 포스트시즌 || || 2018 ||<|5> '''[[보스턴 레드삭스|BOS]]''' || 162 || 108 || 54 || .667 || '''지구 1위''' || '''WS 우승''' || || 2019 || 162 || 84 || 78 || .519 || '''지구 3위''' || '''-''' || || 2021 || 162 || 92 || 70 || .568 || '''지구 2위[* [[뉴욕 양키스]]와 공동 2위.]''' || '''CS 탈락''' || || 2022 || 162 || 78 || 84 || .481 || '''지구 5위''' || '''-''' || || 2023 || 162 || 78 || 84 || .481 || '''지구 5위''' || '''-''' || ||<-2> '''총계''' || '''810''' || '''440''' || '''370''' || '''.543''' ||<-2> '''1WS 1CS''' ­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 둘러보기 == [include(틀:MLB 감독)]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푸에르토리코의 야구 선수]][[분류:미국의 야구감독]][[분류:푸에르토리코의 야구감독]][[분류:1975년 출생]][[분류:1998년 데뷔]][[분류:2012년 은퇴]][[분류:카과스 출신 인물]][[분류:내야수]][[분류:우투좌타]][[분류: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은퇴, 이적]][[분류:클리블랜드 가디언스/은퇴, 이적]][[분류:보스턴 레드삭스/은퇴, 이적]][[분류:뉴욕 메츠/은퇴, 이적]][[분류:텍사스 레인저스/은퇴, 이적]][[분류:워싱턴 내셔널스/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