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알렉세이 미신 코치.jpg|width=100%]] || || '''이름'''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미신[br]Алексей Николаевич Мишин[br]Alexei Nikolayevich Mishin||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소련)]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2> '''출생''' ||[[1941년]] [[3월 8일]] ([age(1941-03-08)]세)|| ||[[소련]] [[러시아 SFSR]] [[세바스토폴]]|| || '''종목''' ||[[피겨 스케이팅]]|| || '''소속''' ||Yubileyny Sports Palace[*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다.]|| || '''파트너''' ||타마라 모스크비나|| || '''가족''' ||배우자 타티야나 미시나[* 前 [[피겨 스케이팅]] 선수][br]장남 안드레이 미신^^(1977년생)^^[br]차남 니콜라이 미신^^(1983년생)^^[br]손자^^(2014년 5월생)^^|| || '''은퇴''' ||[[1969년]]|| || '''링크''' ||[[https://instagram.com/mishincamp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목차] [clearfix] == 개요 == [[소련]]의 前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며, 現 [[러시아]]의 코치이다. == 선수 시절 == 미신은 먼저 남자 싱글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고 1964 소련선수권에서 동메달을 땄다. [[1966년]]에 처음이자 유일한 파트너인 타마라 모스크비나와 팀을 결성하여, 실험 삼아 페어 스케이팅을 시작했다. 그들은 1969 소련선수권에서, 올림픽 2회 챔피언인 [[류드밀라 벨로우소바 / 올레크 프로토포포프]]와 훗날 챔피언이 되는 [[이리나 로드니나 / 알렉세이 울라노프]]를 제치고 우승했다. 1969 세계선수권에서는 은메달을 땄다. 유럽선수권에서 1968년 은메달, 1969년 동메달을 땄다. 1966 세스트리에 동계유니버시아드에서 동메달을 땄다. [[1968 그르노블 동계올림픽]]에 참가하여 5위를 기록했다. === 수상 기록 === ||<-3>
'''{{{#white [[파일:소련 국기.svg|width=25]] 소련 대표로 참가한 대회}}}''' || ||<-3> {{{#white 세계선수권}}} || || 은메달 ||1969 콜로라도 스프링스||페어|| ||<-3> {{{#white 유럽선수권}}} || || 은메달 ||1968 베스테로스||페어|| || 동메달 ||1969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페어|| ||<-3> {{{#white 동계유니버시아드}}} || || 동메달 ||1966 세스트리에||페어|| == 코칭 경력 == 모스크비나의 출산을 위해 휴식 및 은퇴를 결정하고, 미신은 코칭 경력에 집중하기로 결정했다. 미신은 싱글 코칭에 집중했다. 미신은 은퇴했을 때 28살이었고, 어렸을 때 코칭을 시작한 것이 기쁘다고 말했다. == 주요 소속 선수 == * 글렙 루트풀린 * 마리야 드미트리예바 * [[미하일 콜랴다]] * 아나스타샤 굴랴코바 * 안드레이 라주킨 * [[예브게니 세메넨코]] * '''[[옐리자베타 툭타미셰바]]''' === 은퇴/이적 선수[* 주요 선수들의 목록으로 실제로는 이보다 더 많다.] === * [[소피야 사모두로바]] * 아르투르 가친스키 * 아트루르 드미트리예프 Jr. * [[알렉산더 페트로프]] * [[알렉세이 야구딘]] * [[알렉세이 우르마노프]] * [[알리사 페디치키나]] * '''[[예브게니 플루셴코]]''' * 옐레나 소콜로바 * [[옐리자베타 누구마노바]] * [[카롤리나 코스트너]] * [[표트르 구멘닉]] [각주] [[분류:소련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분류:1941년 출생]][[분류:세바스토폴 출신 인물]][[분류:1968 그르노블 동계올림픽 참가 선수]][[분류:1966 세스트리에 동계 유니버시아드 메달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