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오스트리아 총리)]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51905, #D81E05 20%, #D81E05 80%, #B51905)" '''[[오스트리아 총리|{{{#fff 오스트리아 제28대 연방총리}}}]][br]{{{#fff {{{+1 알렉산더 샬렌베르크}}}[br]Alexander Schallenber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lexander_Schallenberg_12.10.2021_02.jpg|width=100%]]}}} || ||<|2> '''출생''' ||[[1969년]] [[6월 20일]] {{{-1 ([age(1969-06-20)]세)}}} || ||[include(틀:국기, 국명=스위스)] [[베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오스트리아)] || ||<|5> '''임기''' ||<#f5f5f5>제19대 외무부 장관 || ||[[2019년]] [[6월 3일]] ~ [[2021년]] [[10월 10일]] ^^1기^^ || ||[[2021년]] [[12월 6일]] ~ [[현직]] ^^2기^^ || ||<#f5f5f5>제28대 연방총리 || ||[[2021년]] [[10월 11일]] ~ [[2021년]] [[12월 6일]]||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빈 대학교]] ,,(법학),,[br][[파리 제2대학교]] ,,(법학),,[br]유럽대학교 ,,(법학 / [[석사|LL.M]]),, || || '''가족''' ||아내 (이혼), 자녀 4명 || || '''소속 정당''' ||[include(틀:오스트리아 인민당)] || || '''약력''' ||유럽연합 오스트리아 상설대표부 근무[br]오스트리아 외무부 대변인[br]전략 외교정책 조정실장[br]외무부 장관[br]오스트리아 제28대 연방총리 || }}}}}}}}} || [목차][clearfix] == 개요 == [[오스트리아]]의 [[외교관]], [[법조인]], [[정치인]]. [[테크노크라트]] 출신으로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오스트리아의 외무부 장관직을 지내다가 총리직에 올랐다. == 생애 == [[스위스]]에서 태어났지만 스위스인은 아니다. 그의 할아버지와 아버지 역시 외교관으로 활동했으며 대대로 정치인의 자리를 지켜온 정치 명문가이다. 오스트리아-헝가리의 귀족인 [[https://en.wikipedia.org/wiki/Schallenberg_family|샬렌베르크 가문]] 출신으로, 귀족제의 폐지를 명령한 1919년의 법령이 없었다면 "알렉산더 폰 살렌베르크 백작"으로 불렸을 것이다. 그는 외교관인 아버지를 따라서 프랑스, 스페인, 인도 등에서 자랐다. 1989년 알렉산더 샬렌베르크는 [[빈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고 이후 [[파리 제2대학교]]에도 진학해 1994년 졸업했다. 1995년 벨기에 브뤼게에 있는 유럽 대학교(Collège d'Europe)에서 LL.M[* 법학 석사학위] 학위를 받았다. 대학교를 졸업한 이후에는 [[테크노크라트]]가 되었다. 1997년 오스트리아 외무부에 들어갔고, 2000년에는 유럽연합에서 오스트리아의 법무를 대표하는 외교관으로 2005년까지 근무하였다. 2006년, 그는 보수 정당인 [[오스트리아 인민당]] 소속 외무부 장관 우르줄라 플라즈니크(Ursula Plassnik) 아래에서 외무부의 대변인으로 일했고, 플라즈니크 장관의 후임이었던 미하엘 슈핀델레거(Michael Spindelegger) 장관 아래에서 한번 더 유임되었다. 2013년에는 당시 외무부 장관이었던 [[제바스티안 쿠르츠]]에 의해 전략 외교정책 조정실장으로 임명되었다. 외교 전문가적인 면모에다가, 꾸준히 보수 계열 인사와 함께 일했던 경력 덕분에 2019년부터 [[브리지테 비어라인]] 내각에서 외무부 장관[* 공식 명칭은 Bundesministerium für europäische und internationale Angelegenheiten. 독일어 특유의 긴단어 때문에 쓸데 없이(...) 길어보이는데 대략 의역하자면 "유럽통합국제외교부 장관" 정도 된다.]을 지냈고 쿠르츠 2차 내각에서 유임되었다. [[제바스티안 쿠르츠]] 총리가 각종 횡령 혐의로 인해 검찰의 조사를 받고, 연정 파트너인 녹색당마저 총리를 비판하며 사면초가에 몰리자 2021년 10월 9일, 전격적으로 사임을 선언하였다.[[https://kurier.at/politik/inland/regierungskrise-kurz-gibt-stellungnahme-zu-zukunft-der-regierung-ab/401764701|#]] 쿠르츠 총리는 여당의 당수직을 유지하는 대신 샬렌베르크 장관을 [[오스트리아]]의 새 총리 후보로 추천하기로 하면서, 그는 현재 오스트리아의 차기 총리가 될 확률이 높은 상태이다. [[2021년]] [[12월 6일]] 후임 [[카를 네함머]] 내각이 새롭게 출범하자 다시 외무장관으로 복귀하게 되었다. === 연방총리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om95B2w_ok)]}}}|| || {{{#D81E05 '''총리로서의 임기를 시작하는 샬렌베르크'''}}} || 2021년 10월 11일, [[알렉산더 판데어벨렌]] 대통령이 샬렌베르크 후보자를 후임 총리로 공식 임명하고 선서를 하면서 공식적으로 임기를 시작했다.[[https://www.ots.at/presseaussendung/OTS_20211010_OTS0036/aviso-morgen-1300-uhr-ernennung-und-angelobung-von-bundeskanzler-alexander-schallenberg-durch-bundespraesident-alexander-van-der-bellen|#]] 내각 구성원은 자신이 있던 외무부 장관으로 새롭게 미하엘 린하트(Michael Linhart)를 임명한 것 외에는 쿠르츠 2차 내각과 완전히 동일하다. 이런 점과 정계 입문 이력 때문인지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사민당]] 등 야당에서는 샬렌베르크를 쿠르츠가 비판을 피하기 위해 내세운 [[허수아비]] 총리라고 평가절하하고 있다.[[https://www.reuters.com/world/europe/austrias-ambassador-france-will-be-next-foreign-minister-spokeswoman-2021-10-11/|#]][[https://www.reuters.com/world/europe/new-austrian-leader-under-fire-parliament-mocked-kurzs-puppet-2021-10-12/|##]] 의회에 의해 면책 특권까지 박탈당한 쿠르츠가 당 대표직에서도 사임하고 정계 은퇴를 선언하자 샬렌베르크 역시 총리가 된 지 2달 만에 전격적으로 사의를 발표했다. 샬렌베르크 총리는 사퇴의 변을 밝히면서 "정부 수반과 당 대표를 같은 사람이 맡아야한다고 믿는다."며 인민당의 신임 대표 선출 절차가 마무리되는대로 직에서 물러날 것이라고 말했다.[[https://m.yna.co.kr/view/AKR20211202185352088?section=international/all|#]] 이 여파로 게르노트 브뤼멜 재무장관 역시 자리에서 물러났는데, 게르노트 브뤼멜은 쿠르츠의 최측근 인물이다.[[https://www.yna.co.kr/view/AKR20211203140400088|#]] 워낙 임기가 짧은 지라 총리로서 무언가를 특별하게 해보진 못했는데, 그나마 2021년 11월에 [[코로나19]] 백신 접종 의무화를 유럽 국가 최초로 시행한 정도가 있다.[[https://www.politico.eu/article/austria-mandatory-coronavirus-vaccination-february/|#]] == 정치 성향 == 2019년부터 2021년까지는 무소속이었으나 2021년 [[오스트리아 인민당]]에 입당하였으며, 오랫동안 보수 인사들과 일해왔던 사람이다. 이를 미루어봤을때 성향은 중도보수 정도로 추정된다. 그는 친[[이스라엘]] 인사이며 외무부장관으로 재적하면서 [[난민]] 수용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https://biz.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1/10/12/7H5Y2PLNRZF6VAZZ6SM6QOE564/|#]] 또한 [[제바스티안 쿠르츠]]가 외무부 장관이었던 시절 외무부 직원이기도 했던 만큼, 정계 입문 이후로는 쿠르츠의 측근으로도 분류된다. 이때문에 쿠르츠가 총리직에서 물러나면서 샬렌베르크를 후임자로 지명했을 때, [[바지사장]]으로 선택됐다는 비아냥을 받기도 했다.[[https://kurier.at/politik/inland/ploetzlich-kanzler-schallenberg-vom-aussenminister-zum-regierungschef/401764710|#]] == 소속 정당 == || '''소속''' || '''기간''' || '''비고''' || || [include(틀:무소속)] || 2019 - 2021 || 정계 입문 || || [include(틀:오스트리아 인민당)] || 2021 - || 입당 || == 여담 == * 그는 4명의 아이를 두었지만 현재는 이혼한 상태다. * 턱수염을 기르고 있다. 이는 샬렌베르크는 전후 총리 중 [[카를 레너]] 이후 최초로 턱수염을 기르는 총리가 된다. [[분류:오스트리아 총리]][[분류:1969년 출생]][[분류:오스트리아의 외교관]][[분류:베른 출신 인물]][[분류:정치인 자녀]][[분류:외교관 출신 정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