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파일:알레산드로 마르첼로.png|width=390]] || ||<-3> 18세기 초기의 동판화, 작자 미상 || ||<-3> {{{+2 '''Alessandro Ignazio Marcello''' }}} || ||||<|2> {{{#white '''출생'''}}} ||[[1673년]] [[2월 1일]][* 1669년생이라는 설도 있다.] [[수요일]] || ||[include(틀:국기, 국명=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 || ||||<|2> {{{#white '''사망'''}}} ||[[1747년]] [[6월 19일]] [[월요일]] (향년 74세) || ||[include(틀:국기, 국명=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 || ||<-2> {{{#white '''직업'''}}} ||[[작곡가]], [[작가]], [[외교관]] || [목차] || [youtube(vE2O_yfgtBU, width=470, height=230))] || || ▲ 너무나 유명한 오보에 협주곡 D단조. || || [youtube(OMlm7jUL0Zg, width=470, height=230))] || || ▲ 두 대의 오보에를 위한 협주곡집 《리라''La Cetra(1738)''》 중 2번 협주곡 E장조. || == 개요 == 베네치아의 정치가이자 아마추어 예술가. [[베네데토 마르첼로]]와는 형제지간이며, 작품 중에는 오보에 협주곡 D단조가 유명하다. == 생애 == [[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에서 부유한 시의원이었던 아고스티노 마르첼로의 아들로 태어났다. 이러한 부유한 환경에서 마르첼로는 동시대인이었던 [[토마조 알비노니]]처럼 직업인이 아닌 여가생활으로써 음악을 하는 사람 중 한 명이었다. 성 안토니오 학교(Collegio di S. Antonio)에서 공부하였다. 음악이외의 예술에도 재능이 있어서 당시 문학 아카데미였던 아카데미아 델리 아르카디아(Accademia degli Arcadi)에서 활동했으며, 에테리오 스틴팔리코(Eterio Stinfalico)라는 필명을 가지고 저술활동을 하기도 했다. 또한 [[미술]]에도 재능이 있어서, 여러 저택이나 베네치아 산 마르쿠올로 [[성당]] 등에 직접 벽화를 그리기도 하였다. 그야말로 [[먼치킨(클리셰)|먼치킨]]. 1700년부터는 [[펠로폰네소스 반도]]에서 외교활동을 하기도 하였다. 나중에는 고위직인 40인 위원회에도 입회하게 된다. 그외에도 마르첼로는 다양한 악기를 수집하는 취미를 가졌었다고 하며 그의 저택에서는 자주 연주회가 열렸다고 한다. 1747년 파두아에서 사망했다. == 음악세계 == 동생과는 달리 알레산드로 마르첼로는 다작을 한 작곡가는 아니며, 50곡이 채 되지 않은 소나타, 협주곡, 칸타타 등만을 남겼다. 하지만 알레산드로의 곡들은 후대에 이름을 남기기에 알맞는 개성적인 곡들이라 평가받는다. 대표작으로는 너무나도 유명한 오보에 협주곡 D단조와,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출판한 두 대의 [[오보에]]를 위한 협주곡집 《리라''La Cetra''》(1738)[* 비발디의 동명의 협주곡집에 영감을 받았다는 설이 있다.], 12곡의 바이올린 소나타집 등이 있다. 가명으로 활동했었기 때문에 상당수의 작품이 [[안토니오 비발디]]나 동생 [[베네데토 마르첼로]]의 작품으로 간주되었었다고 한다. 그의 협주곡들은 [[안토니오 비발디]]나 [[토마조 알비노니]] 같은 동시대 작곡가들의 작품과 같이 바로크 협주곡의 최정점이라 평가받는 작품들이다. 또 당시로써는 알비노니와 함께 신생 악기였던 [[오보에]]를 주류 악기의 반열에 올려 놓았다는데에 있어 높이 평가받는다. 이러한 감미로운 오보에의 음색을 잘 활용한 마르첼로의 곡으로는 [[https://www.youtube.com/watch?v=E0BalQMrVDU|오보에 협주곡 D단조 2악장 아다지오]]가 있다. 바로크 시대의 조율이 현대와는 다르기 때문에 반음 낮게 들려 연주의 고증이 잘 나타나있다. 자세한 내용은 [[튜닝]] 참고. === [[협주곡]] === || [youtube(lUs7xNbTU6s, width=470, height=230))] || || ▲ 《리라''La Cetra(1738)''》 중 1번 협주곡 D장조. || 오보에 협주곡 라단조. 마르첼로의 대표작으로 1716년 [[네덜란드]]의 출판사였던 에스티엔 로제 사에서 출판한 협주곡집에 수록되어 있으며, 일반인에게도 잘 알려지고 친숙한 [[바로크 음악]]일 뿐 아니라 서양음악사에 남아있는 무수한 오보에 협주곡 중에서도 유명한 곡이다. 빠름-느림-빠름의 3악장 형식을 취하고 있다.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가 오보에 협주곡을 쳄발로 협주곡인 BWV 974로 편곡하기도 했다. === [[소나타]] === === [[성악곡]] === || [youtube(QWFH0uAqyxE)] || || ▲칸타타 《분노한 이레네''Irene sdegnata''》. || == 관련 문서 == * [[클래식 관련 정보]] * [[바로크 음악]] * [[바로크 시대의 작곡가]] [[분류:바로크 시대의 작곡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