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FFFFFF σ Sco[br]{{{+3 '''알니야트'''}}}[br]Alniyat}}} || ||||<-3>{{{#!wiki style="margin: -6px -10px -6px" [[파일:Sh2-9.jpg|width=100%]]}}}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16h 21m 11.31571s || || {{{#FFFFFF 적위}}} || −25° 35′ 34.0515″ || || {{{#FFFFFF 별자리}}} || [[전갈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Aa1: [[B형 주계열성|B1 III]][br]Aa2: [[B형 주계열성|B1V]][br]Ab:?[br]B:[[B형 주계열성|B9V]] || ||<-2> {{{#FFFFFF '''거리'''}}} || 568 [[광년]][br]174 [[파섹]] || ||<-2> {{{#FFFFFF '''반지름'''}}} || Aa1: 12.7 태양직경[br]Aa2: 11 태양직경 || ||<-2> {{{#FFFFFF '''질량'''}}} || A: 18.4 태양질량[br]B: 11.9 태양질량 || ||<-2> {{{#FFFFFF '''평균 온도'''}}} || Aa1: 26,150 [[켈빈|K]][br]Aa2:? K || ||<-2> {{{#FFFFFF '''나이'''}}} || 900만 년 || ||<|5> {{{#FFFFFF '''운동'''}}} || {{{#FFFFFF 시선속도}}} || -0.4 km/s || || {{{#FFFFFF 자전 속도}}} || Aa1: 25 km/s[br]Aa2: ? Km/s || || {{{#FFFFFF 공전 주기}}} || Aa1-Aa2= 33일[br] Aa-Ab: 100년 이상[br] A-B: ? || || {{{#FFFFFF 궤도 장반경}}} || Aa1-Aa2: 0.3 [[천문단위|AU]][br]Aa-Ab: 120 AU[br]A-B: 4500 AU || || {{{#FFFFFF 이심률}}} || Aa1-Aa2: 0.32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FFFFFF '''겉보기 등급'''}}} || 2.88 || ||<-2> {{{#FFFFFF '''절대 등급'''}}} || -4.12 || ||<-2> {{{#FFFFFF '''광도'''}}} || A: 29,000 태양광도[br]B: 16,000 태양광도 || ||<-3> {{{#FFFFFF '''명칭'''}}} || ||<-3> 알니야트, 알 니야트, Pekehāwani, σ Sco, 20 Scorpii, ADS 10009, CD -25 11485, FK5 607, HD 147165, HIP 80112, HR 6084, SAO 184336, WDS 16212-2536.7 || [목차] == 개요 == {{{+1 알니야트/σ Sco}}} 알니야트는 [[전갈자리]] 방향으로 약 568 광년 떨어져 있는 [[B형 주계열성]]이다. == 상세 == [[전갈자리-센타우루스자리 성협]]의 하위 성협인 상부 전갈자리 성협에 속해 있으며 4개의 [[B형 주계열성]]으로 이루어진 4중성계이다. 알니야트라는 명칭은 전갈자리 타우와 동일하게[* 알니야트와 전갈자리 타우의 아랍어 명칭이 동일하기 때문에 전갈자리 타우는 하와이어 명칭인 파이카우헤일이라는 명칭이 공식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아랍어로 동맥을 의미하는 النياط (al-niyāţ)에서 따왔으며 아마 여기서 동맥은 전갈자리의 동맥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알 니야트라는 명칭은 2016년에 [[국제천문연맹]]에서 공식적으로 확정되었다. 이외에도 중국어로는 心宿一(심장의 첫번째 별)으로도 불렸다. 상술했듯 4중성계로 각각 Aa1,Aa2,Ab.B라는 명칭이 붙었다. Aa1은 항성계에서 가장 밝은 항성으로 세페우스자리 베타 변광성으로 분류된다. 이 Aa1을 Aa2가 33일을 주기로 공전하고 있으며 이 Aa항성계를 Ab와 B가 각각 120 AU, 4500 AU 거리에서 공전하고 있다. [[뱀주인자리 로 분자운 복합체]]의 위쪽 끝부분에 위치해 있으며 바로 아래에는 [[M4]] 구상성단과 [[안타레스]]가 위치해 있다. 또한 알니야트에 의해 이온화되고 있는 Sh2-9 또한 항성 주위에 위치해 있다. === Sh2-9 === ||<-5><:> [[샤플리스 목록|{{{#FFFFFF '''샤플리스 천체'''}}}]] || ||<:> [[고양이 발 성운|{{{+1 '''Sh2-8'''}}}]][br]전갈자리의 발광성운 ||<:> {{{+1 ←}}} ||<:> {{{#000000 {{{+1 '''Sh2-9'''}}}[br]전갈자리의 반사성운 }}} ||<:> {{{+1 →}}} ||<:> [[Sh2-10|{{{+1 '''Sh2-10'''}}}]][br]전갈자리의 발광성운 || ||<-5><:> [[Gum 목록|{{{#FFFFFF '''Gum 천체'''}}}]] || ||<:> [[Gum 64|{{{+1 '''Gum 64a/b/c'''}}}]][br]전갈자리의 발광성운 ||<:> {{{+1 ←}}} ||<:> {{{#000000 {{{+1 '''Gum 65'''}}}[br]전갈자리의 반사성운 }}} ||<:> {{{+1 →}}} ||<:> [[전쟁과 평화 성운|{{{+1 '''Gum 66'''}}}]][br]전갈자리의 발광성운 || ||||<-3>
<:> {{{#FFFFFF {{{+3 '''Sh2-9'''}}}}}} || ||<-3> [[파일:LAq0hbmGaXY9_16536x0_YNR9jFsQ.jpg|width=100%]] || ||<-3> {{{#FFFFFF {{{-3 [* 밑쪽에 있는 구상성단이 [[메시에 4]], 위쪽의 성운과 항성이 각각 Sh2-9, 알니야트이다.] }}}}}}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16h 21m 11.31s || || {{{#FFFFFF 적위}}} || −25° 35′ 34.05" || || {{{#FFFFFF 별자리}}} || [[전갈자리|{{{#3366aa 전갈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반사성운|{{{#3366aa 반사성운}}}]][* 발광성운으로도 분류된다.] [br][[전리수소영역|{{{#3366aa 전리수소영역}}}]] || ||<-2> {{{#FFFFFF '''거리'''}}} || 568 [[광년|{{{#3366aa 광년}}}]] [br]174 [[파섹|{{{#3366aa 파섹}}}]]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겉보기 등급|{{{#FFFFFF '''겉보기 등급'''}}}]] || -[* 알려지지 않았다.] || ||<-3> {{{#FFFFFF '''규모'''}}} || ||<-2> {{{#FFFFFF '''크기'''}}} || - || ||<-3> {{{#FFFFFF '''명칭'''}}} || ||<-3> [[Sh2|]]-9, Gum 65, LBN 1101, Ced 140 || ==== 개요 ==== Sh2-7은 [[전갈자리]] 방향으로 약 568 광년 떨어져 있는 [[발광성운]]이다. ==== 상세 ==== 알니야트에 의해 이온화되고 있으며 9인치 이상의 중소망원경으로도 성운을 희미하게나마 관측이 가능하다고 한다. 특이하게도 Sh2-9의 바깥부분에는 강한 전파원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근처에 있는 암흑성운인 Kh 527과의 충돌로 인해 일어난다고 추정되는 중이다. == 관련 문서 == * [[B형 주계열성]] * [[전갈자리]] * [[전갈자리-센타우루스자리 성협]] [[분류:항성]][[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분류:성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