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명 ||안효제(安孝濟) || || 본관 ||[[안(성씨)|탐진 안씨]] || || 생몰 ||[[1850년]] [[3월 3일]] ~ [[1916년]] [[12월 17일]] || || [[출생지]] ||[[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 입산리[* [[안(성씨)|탐진 안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안창제]]·[[안희제]]와 제헌 국회의원 [[안준상]], [[안호상]] 초대 문교부 장관도 이 마을 출신이다.] || || 사망지 ||[[만주]] 안동현 접리수 || || 추서 ||건국훈장 애족장 || [목차] == 개요 ==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안효제는 1850년 3월 3일 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 입산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사간원 정언을 지냈으며, [[명성황후]]의 총애를 등에 업고 막대한 부를 축적하던 무당 [[진령군]]을 탄핵했다가 [[추자도]]로 귀양갔고, 3년 후 유배가 풀린 뒤 벼슬이 내려졌지만 사양하고 낙향했다. 1896년 8월 [[을미사변]] 소식을 접한 그는 즉시 상경하여 당시 참판을 역임하고 있던 [[최익현]]과 만나 국권을 회복하는 문제를 논의했다. 하지만 이후에는 임금을 상대로 싸울 수는 없다며 의병을 거부하고 자택에 은거하며 학문에 정진했다. 1910년 [[한일병합]]이 선포되었다는 소식을 접하자 세상에 다시 나오지 않을 것을 맹세하고 입산했다. 그해 11월 일제가 은사금을 줘 그를 회유하려 하자, 그는 대한의 신하로서 나라가 망하였는데도 죽지 못한 것이 죄스럽다 하고 거부했다가 창령경찰서에 구금되어 고초를 겪었다. 1912년 서제(庶弟) [[안창제]]의 뒤를 이어 만주 안동현 접리수로 망명하여 [[노상익]], [[신백우]] 등과 함께 접리수에 한인촌을 조성하고 이주 한인들의 권익 보호 및 생활 향상을 위해 노력하다가 1916년 12월 17일에 병사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82년 안효제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고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분류:나무위키 독립운동가 프로젝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탐진 안씨]][[분류:의령군 출신 인물]][[분류:1850년 출생]][[분류:1916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