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안테오사우루스}}}[br]Anteosaurus}}}''' || ||<-2> [[파일:external/www.athenapub.com/md_anteosaurus1b.jpg|width=100%]] || ||<#F93> '''학명''' || ''' ''Anteosaurus magnificus'' '''[br]Watson 1921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000 '''계통군'''}}} ||[[단궁류]]^^Synapsid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수궁목^^Therapsid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아목'''}}}]] ||†디노케팔루스아목^^Dinocephali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안테오사우루스과^^Anteosauridae^^|| || [[생물 분류 단계#과|{{{#000 '''아과'''}}}]] ||†안테오사우루스아과^^Anteosaurin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안테오사우루스속^^''Anteosaurus''^^'''||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FFF> * †안테오사우루스 마그니피쿠스(''A. magnificus'')^^{{{-1 [[모식종]]}}}^^||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nteosaurus_magnificus.jpg|width=500]] || || 복원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생대]] [[페름기]] 후기에 [[남아프리카]]에서 살았던 육식성 [[단궁류]]의 일종. 속명의 뜻은 '[[안타이오스]]의 도마뱀'. == 특징 == 몸길이는 5m 정도이며, 80cm 정도 되는 두개골을 갖고 있으며, 나이에 따른 변이 또한 관찰되었다. [[이빨]]의 구조는 다른 단궁류와 마찬가지로 앞니, 송곳니, 어금니의 분화가 뚜렷하며,앞쪽으로 갈수록 크기가 커진다. [[리카이놉스]]나 [[에오티타노수쿠스]]와 같은 [[검치]]를 지니고 있었다. 다리 관절의 형태로 보아 [[악어]]와 같이 낮게 수그린 자세를 취했던 것으로 보이며, 일설에 의하면 반수생 포식자였을 가능성 또한 제시되고 있다. [[모스콥스]]와 비슷하게 매우 두꺼운 두개골을 지니고 있다. 이로 인해 이 종이 번식기에 머리를 들이받으며 싸웠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으나, 박치기를 하는 구조가 아니라는 연구결과가 최근 발표되었다.[[https://sputnik.kr/news/view/3425|#]] 한편 이러한 두개골의 형태를 근거로 반수생 동물이 아니라 완전히 육상에서 살았다는 의견도 있다. 모스콥스, [[케라토케팔루스]], [[스티라코케팔루스]], [[리스트로사우루스]], [[티타노수쿠스]], [[욘케리아]], 리카에놉스, [[고르고놉스]], [[디노고르곤]], [[에우캄베르시아]], [[파충류]], [[양서류]]인 [[리네수쿠스]]등과 함께 남아프리카 카루 분지의 페름기 동물상의 일원이었으며, 당시 생태계에서는 티타노수쿠스와 함께 비교적 상위 포식자였을 것으로 보이지만, [[페름기 대멸종]]까지 살아남지는 못했다. 근연종으로는 같은 안테오사우루스아과(Anteosaurinae)의 [[시노포네우스]]와 [[티타노포네우스]], 시오돈아과(Syodontinae)의 [[팜파포네우스]]와 [[아우스트랄로시오돈]]이 있다. [[분류:안테오사우루스아과]][[분류:고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