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안중달}}}'''[br]'''安重達[* 安'''{{{+1 仲}}}達'''이라고 표기한 기록도 있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안중달.jpg|width=100%]]}}} || || '''자 / 호''' ||효직(孝直) / 벽파(碧坡) || || '''본관''' ||[[순흥 안씨]][* 양공공파-사직공파 26세 중(重) 항렬.] || ||<|2> '''출생''' ||[[1924년]] [[10월 2일]][* 음력 9월 4일.] ||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가암리[* [[순흥 안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안해용]]도 이 마을 출신이다.] || ||<|2> '''사망''' ||[[1968년]] [[1월 22일]][* 음력 1967년 12월 23일.] (향년 43세)|| ||[[경상북도]] [[대구시]] (현 [[대구광역시]])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5묘역-65호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안중달은 1924년 10월 2일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가암리에서 아버지 안지용(安止容, 1908. 7. 10 ~ 1958. 12. 13)과 어머니 [[벽진 이씨]](1906. 12. 21 ~ ?) 이승오(李承五)의 딸 사이의 3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1944년 [[일본제국 육군]]에 징집되어 중국 전선에 보내졌다가 도중에 탈영하였다. 얼마 뒤 [[국민혁명군]]에 편입되었다가 1945년 1월 15일 [[한국광복군]] 제1지대 본부대에 입대하여 대원으로 활동했다. [[8.15 광복]] 후 귀국하였으며, 귀국 후에는 교육계에 투신하여 고향 인근의 벽진국민학교(현 벽진초등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하였다.[* 교사 재직 시절인 1950년 5월 31일 광복 후 5회 졸업생들과 함께 교내에 '[[https://blog.naver.com/hello7304/221944677332|대한독립기념비]](大韓獨立記念碑)'를 세웠다. 이 비석은 얼마 후에 발발한 [[6.25 전쟁]] 중에 파괴되었다가 뒤에 다시 세워졌다.] 1968년 1월 22일 경상북도 대구시에서 별세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82년 안중달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고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그리고 2015년 1월 26일 당초 성주군 벽진면 가암리 관동마을에 안장되어 있던 그의 유해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5묘역에 이장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한국광복군/군인]][[분류:대한민국의 교사]][[분류:순흥 안씨]][[분류:성주군 출신 인물]][[분류:1924년 출생]][[분류:1968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족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