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신안군의 면]] [include(틀:신안군의 읍면)] ||<-2> '''[[파일:신안군 CI.svg|height=15]] [[신안군|{{{#000000,#dddddd 신안군}}}]]의 [[면(행정구역)|{{{#000000,#dddddd 면}}}]]'''[br]'''{{{+1 안좌면}}}'''[br]安佐面 | Anjwa-mye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신안군 안좌면&zoom=10,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전라남도 || || '''기초자치단체''' || 신안군 || || '''행정표준코드''' || 5010058 || || '''관할 법정리''' || 25리 || || '''하위 행정구역''' || 31행정리 73반 || || '''면적''' || 59.96㎢ || || '''인구''' || 3,238명[* 2023년 8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54.00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1 영암군·무안군·신안군}}}'''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서삼석]] ,,(재선),, || ||<-2> '''전라남도의원 | 제2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최미숙 ,,(초선),, || ||<-2> '''신안군의원 | 라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용배 ,,(재선),, || || [include(틀:무소속/행정구역)] || [[박용찬(1955)|박용찬]] ,,(3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중부로 872 (읍동리 1131-1) || || [[https://www.shinan.go.kr/home/www/about/village_info/village_info_12/|안좌면사무소]] || [목차][clearfix] == 개요 == 면소재지는 안좌도에 있는 읍동리, 관할 법정리는 24개이다.[* 구대리·금산리·남강리·내호리·대리·대우리·대척리·마명리·박지리·박호리·반월리·방월리·산두리·소곡리·시서리·신촌리·여흘리·읍동리·자라리·존포리·창마리·탄동리·한운리·향목리] 주섬인 안좌도는 1917년 안창도(安昌島)와 기좌도(基佐島) 사이 [[갯벌]]을 [[간척]]해서 하나로 연결된 섬으로 두 섬의 이름에서 한 글자씩 따와 안좌도라고 하였다.[* 지도에서 안좌도를 보면 섬 중앙의 평지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수로가 보이는데 이 수로가 두 섬을 간척으로 연결한 흔적이다.] 면적은 59.88㎢이다. 팔금면과 신안1교[* 신안군 최초의 연도교. [[1990년]]에 완공되었는데, 안좌 쪽에서는 '안팔교', 팔금 쪽에서는 '팔안교'로 이름을 하자고 해서 피터지게 [[병림픽]]을 벌였으나, 보다 못한 군청 쪽에서 아예 어느 쪽의 지명도 넣지 않은 '신안1교'라는 이름으로 정해버렸다. 몇 년 후, 비슷한 일이 비금-도초 사이에도 터지는데...]로 연결되어 있다. [[목포항]]에서 출발하는 카페리선은 읍동의 안좌농협카페리호와 대흥페리호, 복호의 남신안농협이 있다. 소요 시간은 1시간 10분(안좌농협카페리호)[* 운행 속도를 최대로 하여 1시간이 소요되었던 적도 있었지만, 기름값 때문에 10분 늦췄다.], 1시간 20분(대흥페리호), 1시간 내외(남신안농협) 걸린다. 안좌면 관할도서로는 가장 큰 섬인 안좌도를 비롯하여 증산도·자라도[* 연도교로 연결되어 있다]·휴암도·부소도[* 안좌도와 둑길로 연결되어 있다.]·박지도·반월도[* 박지도와 반월도는 퍼플섬 사업을 하면서 서로 인도교로 연결되었다.]·상사치도·하사치도[* 두 섬은 연도교로 연결되어 있다. 한운리 소속이다. 대흥페리3호가 짝수일마다 사치도를 경유한다.] 등이 있다. 이 중 반월도와 박지도는 목교부터 시작하여 마을 지붕 등을 [[보라색]]으로 칠해놓고 일명 퍼플섬이라 하여 관광지로 홍보하고 있다.[* 다만 이 곳에서도 무려 5살부터 44년동안 노예살이를 한 사람이 있다는 기사가 나오면서 논란이 되었다. [[http://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93124&replyAll=&reply_sc_order_by=C|시사저널 2004년 6월 29일자 기사]] 참고로 이 사건 취재기자는 당시 [[시사저널]] 소속이었던 [[주진우(1973)|주진우]].] == 역사 == 조선시대: 전라도 나주목 안창면, 기좌면 1896년: [[지도군]] 신설로 지도군에 편입 1903년: [[진도군]]에 편입 1914년: [[부군면 통폐합]]으로 [[무안군]]에 편입 1917년: 무안군 안창면, 기좌면, 팔금면을 안좌면으로 통합 1969년: [[신안군]] 신설로 신안군에 편입 1983년: 팔금도가 팔금면으로 재분리 == 출신 인물 == * [[김배길]](읍동리) * [[김환기]](읍동리) * [[최성홍]] == 여담 ==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화가 [[김환기]]의 고향이기도 하다, 그래서 신안군에서는 [[김환기]] 화가의 생가를 관광지로 활용하고 있다. 또한 여기에 속한 사치도에서 일어난 실화로 만든 영화가 있으니, [[섬개구리 만세]].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신안군/행정, version=187, paragraph=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