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안재훈(애니메이션 감독)]] ||<-2> '''{{{+2 안재훈}}}[br]Jae Hunn Ah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안재훈 감독 프로필 사진.jpg |width=100%]]}}} || ||<|2> '''출생''' ||[[1969년]] [[9월 22일]] ([age(1969-09-22)]세)|| ||[[대한민국]], [[충청남도]]||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데뷔''' ||1998년 영화 '[[히치콕의 어떤하루]]' 연출|| || '''사이트''' ||[[http://studio-mwp.com/walkthrough|공식사이트]]|| || '''소속''' ||[[연필로 명상하기]]|| || '''배우자''' ||[[한혜진(애니메이션 감독)|한혜진]]|| || '''직업''' ||[[애니메이션 감독]], [[각본가]]||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애니메이션 감독. [[연필로 명상하기]]의 감독. == 활동과 상세 정보 ==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들에게서 얻은 영감을 통해 그들의 삶이 더 의미 있고, 스스로를 믿는데 도움이 되는 그림으로 영화를 만들고자 연필로 명상하기에서 함께하고 있다. 필름시대를 거쳐 디지털 작업에 이르는 한국애니메이션의 과정을 겪어온 감독이며, 단편애니메이션에서 TV시리즈.OVA.극장용 등의 전 장르를 모두 연출한 감독이기도 하다. 1998년 첫 단편 애니메이션 『히치콕의 어떤 하루』를 시작으로 단편애니메이션과 상업애니메이션 양쪽에서 모두 활발한 작품 활동을 했다. 2011년 첫 번째 극장용 애니메이션 <소중한 날의 꿈>이 전국 개봉했고, 현재 여섯 번째 장편 애니메이션 <아가미>를 연출 중이다. 또한 첫 번째 극장용 애니메이션인<소중한 날의 꿈>과 시대정신을 함께하는 <살아오름, 천년의 동행>을 2024년 완성 목표로 준비 중이다. <살아오름, 천년의 동행>은 그의 다섯 번째 장편 애니메이션이며, 동시에 시대 삼부작 중 두 번째인 현재에 해당하는 작품이다. == 작품 활동 == * [[히치콕의 어떤하루]](1998) * [[순수한 기쁨]](2000) * [[겨울연가/애니메이션]](2006) * [[소중한 날의 꿈]](2011) * [[메밀꽃 필 무렵/애니메이션]](2012) * [[미안하다, 사랑한다]](2014) * [[메밀꽃, 운수 좋은 날, 그리고 봄봄]](2014) * [[운수 좋은 날]](2014) * [[봄·봄/애니메이션|봄·봄]](2014) * [[소나기(애니메이션)]](2017) * [[무녀도(애니메이션)]](2021) * [[살아오름: 천년의 동행]](2022) * [[아가미(애니메이션)|아가미]](2023) == 출간 == 2022 <홀로 견디는 이들과 책상 산책> == 수상 내역 == 2020 제 44회 안시국제애니메이션영화제 콩트르샹 심사위원특별상 무녀도 2018 제 22회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 장편 심사위원특별상 소나기 == 경력 사항 == 연필로 명상하기 감독 1998 서울무비 춘천애니메이션 연구소 1996 동양동화 KEY 애니메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