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30&height=30]]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 || 121호 ||<|2> ← || '''122호''' ||<|2> → || 123호 || || [[만월암 석불좌상]] || '''안양암 마애관음보살좌상''' || [[아미타괘불도]] || ----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8]]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22호}}}]]''' || ||<-2> {{{#fff {{{+1 '''안양암 마애관음보살좌상'''}}}[br]{{{-1 滿月庵 石佛坐像}}}}}}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신5길 6,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신5길 6 (창신동 130-1, 안양암) || || '''{{{#fff 분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보살상 || || '''{{{#fff 수량 / 면적}}}''' || 1軀 || || '''{{{#fff 지정연도}}}''' || [[1999년]] [[11월 15일]] || || '''{{{#fff 제작시기}}}''' || [[조선시대|조선 후기]]([[1784년]]) || || '''{{{#fff 관리자[br](관리단체)}}}''' || 안양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안양암석감마애관음보살상.jpg|width=100%]]}}} || || {{{#fff ''' 안양암 마애관음보살좌상[* [[http://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36304&ccbaKdcd=21&ccbaAsno=0122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신동]]에 있는 안양암의 마애관음보살상이다. 1999년 11월 15일에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22호로 지정받았다. 처음에는 '안양암 석감마애관음보살상(安養庵 石龕磨崖觀音菩薩像)'이란 이름으로 지정받았는데, 2009년 6월 4일에 명칭에서 '석감' 자를 뺐다. == 상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안양암석감마애관음보살상1.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안양암석감마애관음보살상2.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안양암석감마애관음보살상3.jpg|width=100%]]}}} || || {{{#fff ''' 마애보살상 상단[* [[http://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36305&ccbaKdcd=21&ccbaAsno=0122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fff ''' 마애보살상 중단[* [[http://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36305&ccbaKdcd=21&ccbaAsno=0122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fff ''' 마애보살상 하단[* [[http://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36307&ccbaKdcd=21&ccbaAsno=0122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1909년([[융희]] 3년)에 만들었다. 그러니까 [[대한제국]]이 망하기 직전에 조성한 것인데, 막상 양식은 [[여말선초]] 양식이 두드러지는 특성을 보인다. 조선 후기에 만든 다른 상에 비해 입체감이 적고, 풍채가 있으며 어깨도 매우 넓은 것이 그렇다. 높이는 3.53m이다. 마애보살상은 머리에 보관을 쓰고 있고, 손은 오른손은 배에 대고 왼손은 들어 가슴 쪽에 대었으며, 통견가사를 입은 채 결가부좌를 하고 있다. 몸을 둘러싼 광배가 있는데 총 4줄이다. 마애보살상 앞에는 신도들이 [[기도]]를 드릴 수 있도록 제기가 놓여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보호각.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관음전 명문.jpg|width=100%]]}}} || || {{{#fff ''' 마애보살상을 보호하기 위해 세운 관음전[* [[http://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36308&ccbaKdcd=21&ccbaAsno=0122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fff ''' 관음전 옆 바위에 있는 명문[* [[https://ko.wikipedia.org/wiki/%EC%84%9C%EC%9A%B8_%EC%95%88%EC%96%91%EC%95%94_%EB%A7%88%EC%95%A0%EA%B4%80%EC%9D%8C%EB%B3%B4%EC%82%B4%EC%A2%8C%EC%83%81#/media/%ED%8C%8C%EC%9D%BC:Seated_Bodhisattva_Carved_on_the_Rock_at_Anyangam_temple_in_Seoul,_Korea_03.jpg|사진 출처 - 위키백과: Eggmoon.]]] '''}}} || 마애보살상을 보관하기 위해, [[바위]]에 공간을 만들고 안에 마애보살상을 조각한 뒤 그 앞에 관음전이란 1칸 짜리 전각을 세웠다. 관음전 왼쪽 바위에는 마애보살상을 제작할 때 참여한 사람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분류:마애불]][[분류:관세음보살상]][[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분류: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