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안양시의 버스)] [[파일:삼영60-1번_그린.png|width=100%]]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안양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안양시 일반시내버스 60-1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안양 60-1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의왕시 월암동(월암공영차고지) ||<-2> 종점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관양동(동편마을2단지) || ||<|2> 종점행 || 첫차 || 04:45 ||<|2> 기점행 || 첫차 || 05:35 || || 막차 || 22:40 || 막차 || 23:30 || ||<-2> 평일배차 || 25~40분 ||<-2> 주말배차 || 30~50분 || ||<-2> 운수사명 || [[삼영운수]] ||<-2> 인가대수 || 4대 || ||<-2> 노선 ||<-4> [[월암공영차고지]] - 월암IC.월암동 - 장안마을.부곡동주민센터 - [[의왕고등학교]] - 의왕보건소 - 왕곡초등학교 - [[우성고등학교]] - 오전초등학교 - 근로자복지회관 - 포도원.현대.대림아파트 - 호계3동행정복지센터 - 호계사거리 - 덕고개사거리 - 안양남초등학교 - 농수산물시장 - 나눔초등학교 - [[인덕원역]] → 동편마을입구 → 관악초등학교 → 동편마을1단지 → 동편마을2단지 → 문화공원 → 스마트플라자 → 인덕원역 → 이후 역순 || == 개요 == [[삼영운수]]에서 운행 중인 시내버스 노선으로, 월암공영차고지와 동편마을을 잇는다. 왕복 운행거리는 약 24km이다. [[http://map.naver.com/?busId=6008&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2011년 12월 19일에 [[안양 버스 60|60번]]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이로 인해 기존에 '고천 - 당정역' 구간을 다니던 60번은 '군포공영차고지 - 동편마을'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http://sbcitybus.com/index/bbs/board.php?bo_table=s4_01&wr_id=7|삼영운수 공지사항]] * 고천차고지가 폐쇄되면서 2019년 3월 29일에 '통미마을 - 원효충무아파트 - 우성고교 - 여성회관 - 글로벌도서관 - 가구단지입구' 구간이 '월암공영차고지 - 부곡체육공원 - 의왕고교 - 컨테이너기지 - 의왕보건소 - 고천.의왕시청 - 가구단지입구'로 변경, 연장되었다. [[https://gall.dcinside.com/m/transit/130729|관련 게시물]] 오전로 구간을 버리면서 [[서울 버스 441|441번]], [[서울 버스 502|502번]]과는 인덕원역까지 겹치게 되었다. * 오전동 주민들의 불편 민원이 잇따르면서([[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147065|캡처본]]) 2019년 6월 20일에 경수대로 직통에서 오전로 경유(근로자복지회관 -오전초교 - 우성고교 - 왕곡초교)로 환원되었다. [[http://sbcitybus.com/index/bbs/board.php?bo_table=s4_01&wr_id=64|삼영운수 공지사항]]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151104|관련 게시물]] * 2019년 7월에 [[안양 버스 3-1|3-1번]] 출신 차량이 투입되면서 중형화되었고, 동시에 2대가 감차되어 7대로 운행한다. * 2021년 8월에 33번이 신설되면서 1대가 또 감차되어 6대로 운행한다. * 2022년 8월에 2대가 또 감차되어 4대로 운행한다. == 특징 == * 수요가 영 좋지 않은 모양이다. 2017년 1월 기준 승차량 3,000명대인데, 이는 삼보영 대형차 노선 중 꼴찌였다. 60번은 6,000명대. * 수요가 적은 이유를 들면 '''중복되는 노선이 너무 많다.''' 월암/부곡 ~ 인덕원역 구간은 [[서울 버스 441|441번]], [[서울 버스 502|502번]]이 매우 조밀한 간격으로 다니고 있으며, 고천에서부터는 [[수원 버스 777|777번]], 호계사거리에선 [[안양 버스 8|8번]]과 [[서울 버스 540|540번]]도 합류한다. 동편마을 내에서도 [[안양 마을버스 8|마을 8번]], [[안양 버스 80|80번]]이 인덕원역 방향으로 중복되기 때문에 수요가 분산된다. 60번의 경우 범계역으로 빨리 가는 메리트가 있어서 타지만[* 마을버스 8번도 범계역으로 가지만, 인덕원부터 스마트베이까지 들렀다 가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 60-1번은 그러지도 않는 게 문제. 무엇보다 노선이 다니는 구간에 '''중고등학교가 [[대안중학교]], [[대안여자중학교]], [[우성고등학교]], [[의왕고등학교]] 밖에 없어서'''[* 덕고개사거리에서 내리면 [[모락고등학교]]도 있지만 학교 앞에 내려주는 [[의왕 버스 03|서]][[안양 버스 1-1|는]] [[안양 버스 1-5|버]][[안양 버스 5-2|스]][[안양 버스 52|가]][[안양 버스 52-1|많아]] 외면받는다.] 통학용으로도 부적격이다. 따라서 노선 자체가 수익이 나올 수 없는 구조. * 다른 고천 소속 노선들처럼 차고지에 가스충전소가 없어서 전 차량 디젤차였으나, 2018년 10월에 뉴 슈퍼 에어로시티 개선형 천연가스버스가 신차로 들어왔다. 60-1번 자체가 비수익 노선인 것을 감안하면 의외의 노선에 신차투입인 셈이다. 그리고 월암동 연장 이후 전 차량 가스차로 운행 중이다.[* 원래 1-2번에 넣고 저상을 60-1번에 투입하여 60-1번 전차량 저상화하려 했었다. 그런데 수요가 너무 없어서 애초에 저상화는 무리가 있었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인덕원역]] [[분류:안양시의 시내버스]][[분류:2011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의왕시 경유 관외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