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include(틀:대한민국의 국가철도 및 전용철도 노선)] {{{+1 安城線 / Ansŏng Line}}} [[파일:attachment/안성선/안성선.png|width=500]] [목차] == 개요 == 과거에 [[대한민국]]에 있었던 철도 노선. 궤간은 [[표준궤]]이다. == 상세 == [[일제강점기]]에 '조선경남철도 주식회사'의 [[사철(철도)|사철]]로 인가받아 건설되었다.[* 조선경남철도의 '경남'은 [[경상남도]]의 줄임말 慶南이 아니라 '경'기도 '남'부(京南). [[경남여객]]의 작명과 비슷한 형태이다.] 처음 개통할 당시의 구간은 [[천안역]]부터 [[안성역]]까지였다. 인가받은 날짜는 1919년 9월 30일로 이 당시의 명칭은 '경기선'이었다. 5년 뒤인 [[1924년]]에는 [[원주역]]으로 연장하는 것에 대해서도 인가를 받았다. 당연히 목적은 수탈. 천안역과 수원역 간의 거리가 그리 멀지는 않았기 때문에[* 그 당시 기준으로도 넉넉 잡아 한두시간이였다.], 수원역까지 가서 수인선을 통해 인천항으로 반출되었다. [[1925년]] [[11월 1일]] 처음 인가받은 [[천안역]]부터 [[안성역]]까지 개통되고, [[1927년]] [[4월 16일]]에 [[안성역]]부터 [[죽산역]]까지 개통되었다. 이후 [[1927년]] [[9월 15일]]에 [[죽산역]]부터 [[장호원역]]까지 연장하는 것에 대한 인가를 받았다. 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장호원역]]부터 [[원주역]]까지는 착공되지 못하였고, [[1944년]] [[4월 5일]]에는 일본 정부의 선로 공출령으로 [[안성역]]부터 [[장호원역]]까지의 모든 선로를 다 뜯어내었다. 결국 이 구간은 끝내 복구되지 못했고, 해방 이후인 1946년 5월 10일에 국가 소유로 전환되었다. [[1955년]] [[6월 14일]]에 '안성선'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고, 이 때부터 [[경부선]]에 부속된 지선 철도의 개념으로 운행되었다. [[1960년]]에 안성선을 원주까지 연장해서 [[경부선]]과 [[중앙선]]을 연결하는 '경기남부선'으로 만드려는 계획이 있었다. 그러나 1970년대부터 정부의 교통 정책이 도로 위주로 전환되면서 이 계획은 취소되고 도로가 발전하면서 이용객은 계속 줄어들었다. [[1970년]]에 [[경부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안성시]]와 [[천안시]]를 지나게 되자 안성선의 수요는 바닥을 기었다. 1977년에는 1일 2회 운행이 전부였고, 설이나 추석 등의 대수송기간에는 아예 운행을 중지하는 경우도 많았다. 결국 [[1985년]] [[4월 1일]]에 안성선의 여객취급은 완전히 중단되었고, [[입장역]]부터 [[안성역]]까지는 열차가 들어가지 않게 된다. [[천안역]]까지는 이후에도 화물열차 용 선로로 사용되다가 [[1989년]] [[1월 1일]]에 남은 구간도 모두 폐지된다. == 현재 == 폐지 이후 선로를 모두 걷어냈다. 따라서 선로는 없지만, 노반이나 교각 등 일부가 남아있긴 하다.[[https://m.blog.naver.com/sjhui98/221452185423|#]] 다만 지적도에는 번지에 '철'이 붙어 있어 여전히 그 흔적이 남아 있다. 노반은 주로 도로로 전환되었으며, 일부는 선로만 걷어낸 채로 방치 중이다. [[천안 버스 201]]번 노선이 과거 안성선의 천안~안성 구간, [[안성 버스 37]]번 노선이 안성~장호원 구간을 대신하고 있다. [[23번 지방도]]로 천안~안성까지 구간[* [[경부고속도로]]로는 [[안성IC]]가 [[평택시]]와 [[안성시]]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어, 안성 시내로 가려면 결국 38번 국도를 이용해야 한다.]을 대신하고 있으며, [[38번 국도]]가 안성~장호원 구간을 대신하고 있다. == 유사 노선 건설 계획 == 과거 형태로의 복원까지는 아니지만 [[평택시]]와 [[안성시]]를 잇는 노선을 [[안성시]] 측에서 주장하다가 [[이천시]]에 지어지는 [[경강선]]과 [[중부내륙선]]의 분기역인 [[부발역]]까지 이어지는 [[평택부발선]]으로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등재되었다. 하지만 추진이 지지부진한 상태이다. 안성선을 복원하게 된다면 공사비의 대부분을 [[평택시]]와 [[안성시]]가 내야 하는데 평택시는 딱히 필요성을 못 느껴서 시큰둥하고 안성시는 돈이 없어서 못하겠다는 상황. 거기에 [[백성운수]]의 [[안성 버스 37|37]], [[안성 버스 70|70]], [[안성 버스 370|370번]] 등이 멀쩡히 잘 다니면서 대체하고 있기에 딱히 필요하지도 않다. == 역 목록 == 아래의 역 등급은 폐선 직전 당시의 등급이다. |||||||| 안성선 역 목록 || || 기점거리(km) |||| 역명 || 등급 || 분기노선 || || 0 || [[천안역|천 안]] || 天 安 || 보통역 || [[경부선]][br][[장항선]][br][[천안직결선]] || || 2.4 || [[신부역|신 부]] || 新 富 || 임시승강장 || || || 7.0 || [[석교역|석 교]] || 石 橋 || 무배치간이역 || || || 9.7 || [[성거역|성 거]] || 聖 居 || 무배치간이역 || || || 14.1 || [[입장역|입 장]] || 笠 場 || 무배치간이역 || || || 19.7 || [[고지역|고 지]] || 古 池 || 무배치간이역 || || || 22.9 || [[미양역|미 양]] || 薇 陽 || 무배치간이역 || || || 28.4 || [[안성역|안 성]] || 安 城 || 배치간이역 || || || 29.6 || [[안성읍내역|안성읍내]] || 安城邑內 || 무배치간이역 || || || 36.4 || [[마전역(안성선)|마 전]] || 麻 田 || 무배치간이역 || || || 41.7 || [[삼죽역|삼 죽]] || 三 竹 || 무배치간이역 || || || 44.6 || [[용월역|용 월]] || 龍 月 || 무배치간이역 || || || 47.0 || [[죽산역|죽 산]] || 竹 山 || 보통역 || || || 48.0 || [[죽산읍내역|죽산읍내]] || 竹山邑內 || 무배치간이역 || || || 51.2 || [[매산역|매 산]] || 梅 山 || 무배치간이역 || || || 55.9 || [[주천역|주 천]] || 注 川 || 보통역 || || || 59.8 || [[행죽역|행 죽]] || 行 竹 || 무배치간이역 || || || 63.3 || [[대서역|대 서]] || 大 西 || 무배치간이역 || || || 69.8 || [[장호원역|장호원]] || 長湖院 || 보통역 || || == 기타 == * 안성선이 폐선 된 가장 큰 이유는 노선의 형태. 일제강점기에야 일본 방면 항구로 쌀을 실어나르는데 최적화된 노선이었지만 광복 이후 서울을 중심으로 하는 교통체계에서는 그야말로 있으나마나 한 노선이었다. 그나마 도로사정이 안 좋던 시절에야 어느 정도 메리트가 있었지만 고속도로가 뚫리고 나니 어지간히 차멀미가 심하다거나 하지 않는 이상에야 굳이 천안까지 내려가 기차를 탈 이유가 전혀 없었다. 또한 2000년대 이후와 달리, 1980년대 시점에서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은 수원까지만 다녔었으며, 천안과 아산에서도 1호선 전철이 다닐지는 상상도 못하던 시절이었다. 만약 평택에서 분기되는 형태였으면 어떻게든 살아남았을지도 모른다. 이후 90년대 들어 경부선의 용량포화 문제가 극심해지자 안성선을 살려두어 [[중앙선]]과 접속시켰으면 [[충북선]]과 같은 화물열차 우회로 역할을 맡겼을 수도 있지 않았냐는 후회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수원~여주간 [[수여선]]철도 복원을 하게 될경우 용인과도 연결되었을지도 모른다. 더 나아가 원주에서 [[경강선]]과 연결도 가능해져 [[오송역]]의 설치 근거가 됐던, 호남고속선의 분기 근거가 됐던 강호축 개발, 국토 X축 개발이 훨씬 빨리 이루어졌을 것이다. 그러나 평택에서 분기되었더라면 평택항을 가진 평택시가 개입할 거대한 명분이 생기니 지금만큼 청주시가 떵떵거리지는 못했을 것이다. * [[삼성그룹]]이 [[에버랜드]]의 전신 자연농원을 안성에 건립하려다 무산되어 용인에 건립하였는데, 만약 안성에 에버랜드가 건립되었다면 안성선이 폐선되지 않았을 수도 있었다는 주장이 있다. 안성시민들 사이에서는 안성에도 예전엔 철도가 있었지만 사람들이 싫어해서 없어졌고, [[에버랜드]]가 공도읍 대림동산에 건립될 수 있었는데 사람들이 반대해서 무산되었다는 설이 대대로 전해진다. 여기에 대림동산에 에버랜드가 생겼으면 안성선으로 승객을 실어날랐을 것이라는 DLC(?)도 있다. 하지만 안성선의 노선 형태를 생각하면 전혀 가능성 없는 이야기다. 사실 안성 자연농원설도 말만 요란하지 물증은 전혀 없어서 삼성이나 대림그룹의 의도적인 블러핑이 아니었냐는 추측도 있다. (현재 용인땅인 한택식물원 부지에 자연농원을 건립하려다 무산되었다는 설도 있다) == 관련 문서 == * [[철도 노선 정보/대한민국]]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폐지된 철도 노선]][[분류:안성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