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사회수석비서관)] ||<-2> '''{{{#fff {{{#ffffff 윤석열 정부 초대 사회수석비서관}}} [br] {{{+1 안상훈}}}[br]安祥薰 | Ahn Sang-ho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안상훈 프로필.jpg|width=100%]]}}} || ||<|2> '''출생''' ||[[1969년]] [[5월 15일]] ([age(1969-05-15)]세) || ||[[서울특별시]] || || '''본관''' ||[[광주 안씨]][* 중랑장후(中郞將后)-상호군공파(上護軍公派) 39세 '''훈(薰)''' 훈(勳) 항렬.] || || '''현직'''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교수 || ||<|2> '''재임기간''' ||[[윤석열 정부]] 초대 [[사회수석비서관]] || ||[[2022년]] [[5월 10일]] ~ [[2023년]] [[12월 3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족''' ||아버지 [[안병규]][br]장인 [[김기춘]] || ||<:>'''학력'''||[[현대고등학교(서울)|현대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2 ([[사회복지학]] / [[학사]])}}}[br][[스톡홀름 대학교|스톡홀름 대학교 국제대학원]] {{{-2 ([[국제학]] / [[석사]])}}}[br][[웁살라 대학교|웁살라 대학교 대학원]] {{{-2 ([[사회학]] / [[박사]])}}} || || '''약력''' ||스톡홀름 대학교 사회학과 연구원 [br]웁살라 대학교 사회학과 전임연구원 [br]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박사후연수연구원 [br] Journal of Societal and Social Policy 공동편집장 [br] 한국사회복지학회 총무분과위원장 [br] [[보건복지부]] 보건복지정책자문위원 [br]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과장 [br]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br] 대통령자문 사람입국일자리위원회 전문위원 [br] 보건복지부 주요정책과제 평가위원회 위원 [br]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기획부학장 [br]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고용유인형사회안전망위원회 위원 [br]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인수위원 (고용복지분과) [br] 사회보장위원회 민간위원 [br] 한국사회정책학회 편집위원장 [br] 국민경제자문회의 민생경제분과 위원장 [br] 국민경제자문회의 민생경제분과 위원장 [br]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일‧가정양립을위한일자리위원회위원 [br] 국가보훈위원회 위원 [br][[기획재정부]] 재정정책자문회의 민간위원[br][[고용노동부]] 고용정책심의회 위원 [br]서울대학교 글로벌사회공헌단 단장 [br]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원장[br]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인수위원[br][[대통령비서실]] [[사회수석비서관]] {{{-2 ([[윤석열 정부]])}}}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사회학자, [[윤석열 정부]]의 초대 [[사회수석비서관]]. == 생애 == 1969년 5월 15일 [[서울특별시]]에서 제11~13대 국회의원을 지낸 아버지 [[안병규]]와 어머니 [[동래 정씨]](1941 ~ )[* 정진현(鄭鎭鉉)의 딸이다.]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현대고등학교(서울)|서울 현대고등학교]], [[서울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s-3.7|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하고 [[스웨덴]]으로 유학해 [[스톡홀름 대학교|스톡홀름 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국제학]] [[석사]] 학위, [[웁살라 대학교|웁살라 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각각 취득했다. [[2001년]]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교수로 부임하였다. 2013년에는 제18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고용복지분과 위원으로 위촉되어 활동했다. 2022년 5월, 윤석열 정부의 [[대통령비서실]] 사회수석비서관으로 임명되었다. 2023년 1월, [[나경원]]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이 제시한 저출산 대책에 대해 이례적으로 직접 브리핑을 자청하여, "자녀 수에 따라 대출금을 탕감하거나 면제하는 정책 방향은 나경원 본인의 개인 의견일 뿐 정부의 정책과는 무관하다"고 밝혔다. [[http://weekly.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23874|#]] [[국민의힘]] [[국민의힘/제3차 전당대회|전당대회]]와 맞물려 총대를 메고 나경원을 공개 저격했다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결국 나경원은 전당대회 대표 경선에 나서지 못했다. 2023년 11월부터는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출마를 결심한다면 후임은 [[장상윤]] 교육부 차관 또는 [[이기일]] 보건복지부 제1차관 중에서 임명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2023년 11월 30일, [[장상윤]] 교육차관이 후임 수석으로 임명되어 직에서 퇴임하였다. == 여담 == * [[김기춘]] 전 대통령비서실장의 둘째 사위이다. * 서울대학교 교수 재직 시절, 하루에 16시간을 공부한다는 소문이 사회대 대학원에 퍼진 적이 있다. 진위는 밝혀지지 않았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통령비서실)]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사회과학 교수]][[분류:1969년 출생]][[분류:광주 안씨]][[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사회과학 교수]][[분류:서울대학교 재직]][[분류:현대고등학교(서울)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스톡홀름 대학교 출신]][[분류:웁살라 대학교 출신]][[분류:윤석열 정부/인사]][[분류:사회수석비서관]][[분류:정치인 자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