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안산휴게소'''}}}[br] 安山休憩所 | Ansan Service Area || || [[서창JC|{{{#!html인천 방면}}}]][br][[서안산IC]][br]← -.- k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8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FFFFAC 80%, #E60012 0%, #E60012 89%, #111E90 0%, #111E90 100%);" [[영동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50.svg|height=23]]{{{#!html
영동선}}}]]'''{{{#0047a0 {{{+1 SA}}}}}}'''}}} || [[강릉JC|{{{#!html강릉 방면}}}]][br][[안산IC]][br]-.- km → || ||<-3> {{{#!wiki style="margin:-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안산휴게소, 너비=100%, 높이=225px)]}}} || ||<-3> '''주소''' || ||<-3>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영동고속도로 15[br]([[선부동]] 산1-50) || ||<-3> '''운영''' || ||<-3> [[풀무원|풀무원푸드앤컬처]] || ||<-3> '''개장''' || ||<-3> [[2022년]] [[5월 2일]]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160802000024076_1.jpg|width=500]]}}} || || [[조감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3동에 위치한 [[2022년]] [[5월 2일]] 에 개업한 [[영동고속도로]] 상에 양방향 통합 [[고속도로 휴게소]]이며[*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19/11/975522/|영동고속도 안산휴게소 2022년 개소…계획보다 2년 지연]], 2019-11-23, 매일경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065203?sid=101|기사]], 휴게소 명칭은 소재한 [[안산시]]에서 유래되었다. [[수도권 전철 서해선]] [[달미역]]이 안산휴게소 서쪽에 달라 붙어 있다. == 특징 == [[덕평휴게소]]처럼 양방향 진출입 램프가 설치되어,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졌다. [[내린천휴게소]]처럼 1층은 인천 방향, 2층은 강릉 방향 운전자가 이용한다. 다음휴게소인 [[용인휴게소]] 까지 '''41km'''나 되기 때문에 멀리 가는 사람들은 이곳에서 쉬는 것을 권장한다. 건립 배경은 이전부터 쉼터가 없어 이용객들의 민원이 잦던 [[서창JC|인천]] - [[용인IC|용인]] 이용객 불편해소이다.[* 안산휴게소 개업하기 전 [[영동고속도로]]와 [[제2경인고속도로]]가 만나는 [[서창JC|서창 분기점]]에서 [[용인휴게소]]까지 거리가 '''55km'''로 상당히 긴 거리였다.] 원래는 [[동수원IC|동수원 나들목]] 부근에 있는 옛 본선요금소 부지에 '''수원휴게소'''를 지을 예정이었으나 해당 부지가 [[광교신도시]] 예정 부지로 편입됩에 따라 개발이 어려워져 대체부지로 선정 된 곳이 바로 이 곳이다. 현재는 이목, 용인 등 다양한 [[졸음쉼터]]들이 생기면서 쉼터가 없어 불편하던 시절도 옛이야기가 되어가고 있다. 실제로 인천 방향으로 조금 더 가면 [[군자TG|군자 요금소]]에 군자행복드림쉼터가 있다. [[서안산IC|서안산 나들목]]과 가까워 진출입시 유의해야 한다. 거기 입구에서 교통사고만 나면...'''[[헬게이트]]'''가 된다. 뒷문이 개방되어 있어서 차량이 없더라도 일반도로(금화로)에서 출입할 수 있으며 대중교통으로는 [[안산 버스 6|6번]]이나 [[시흥 버스 97|97번]]을 타고 화정동입구 정류장에서 내리면 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영동고속도로의 구간)] [[분류:영동고속도로]][[분류:상하행 통합 고속도로 휴게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