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안산시·시흥시 버스 목록)] [include(틀:폐선)] [include(틀:경기도의 폐선된 버스 목록)] {{{#!folding 목차 [펼치기/접기] [목차]}}} == 개요 == [[안산시·시흥시 버스 목록]] 중 폐선되거나 타 운수업체로 이관된 버스 노선들 그리고 계획이 취소된 노선들을 기재하였다. == 일반시내버스 == === 안산 버스 1 === || [[파일:attachment/경원여객/Example2.jpg|width=100%]] || [[파일:DS경원1.png|width=100%]] || || 일반좌석버스로 운행하던 시절의 모습.[* 2014년에 유니버스로 대차되어 110번에서 운행 중이다.] || 시내버스 전환 후. 위 차량은 9번 → 예비차로 있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안산 버스 20)] 구간이 단축되면서 노선 번호도 바뀌었다. === 안산 버스 1-1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안산 버스 2)] [[파일:DSC02377.png|width=100%]] 노선이 연장되면서 노선 번호도 바뀌었다. === [[안산 버스 2-1]] === === [[안산 버스 3-1]] === === 안산 버스 6-1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안산 버스 6)] 화정동 방향 한정으로 단원구청.단원보건소로 돌아서 가며 노선 번호는 6번으로 변경됐다. === [[안산 버스 7-4]] === [[안산 버스 7-4|해당 문서]] 참조. === 안산 버스 10 (1기노선)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현재 운행 중인 노선, rd1=안산 버스 10)] 운행 구간: 포동 - 신현동 - 신천동 - 신천삼거리 - 대야동 - 부천역 이후 10-1번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 안산 버스 10-1 === 운행 구간: 포동 - 신현동 - 신천동 - 은행단지 - 대야동 - 부천역 은행단지 완공과 더불어 신설된 노선으로 이후 10번하고 통폐합하는 과정에서 10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었으며 훗날 번호변경없이 시흥교통의마을버스로 전환, 2003년 10월 시흥교통이 시내버스업체로 승격되면서 현재의 시흥교통 31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었다. === [[시흥 버스 20]] === === 시흥 버스 20-2 === 운행 구간: 오이도 - 정왕동 - 정왕역 2011년 9월 신설, 일자 미상 폐지. === 안산 버스 27 === 운행구간 : 능곡동 - 시흥고 - 물왕저수지 - 목감동 - 범고개 - 박달동 - 안양1번가 - 금정역 - 군포역 - 대야미 - 반월역 본래 경원여객에서 개통할 예정이었으나 철회, 32번과 통합하였다. === 시흥 버스 28-1, 29-1 === 운행구간 : 정왕역 ~ 경기하늘바다축전행사장입구 경기하늘바다축전 행사 기간동안 운행했다. === 안산 버스 30-1 === 운행구간 : 구준물 - 도일 - 안산역 - 라성 - 상록수역 - 본오아파트 2000년대 초반에 폐선. 이후, 30-2의 파생노선으로 선경아파트~월피동~부곡동주민센터 구간으로 다르게 운행하였으나, 약 1년가량 운행 후 30-2번과 통합. === 안산 버스 30-3 === [[파일:구경원30-3.jpg]] ||<-6> {{{#ffffff 안산시 일반시내버스 30-3번}}} || ||<-2> 기점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시화종점) ||<-2> 종점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월피동(종점) || ||<|2> 종점행 || 첫차 || -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 || 막차 || - || ||<-2> 평일배차 || - ||<-2> 주말배차 || - || ||<-2> 운수사명 || 경원여객 ||<-2> 인가대수 || - || ||<-2> 노선 ||<-4> 시화종점 - 시화환경사업소 - 글로리아종점 - 동해케미칼.서울제약 - 대성산업 - 금호화성 - 한맥중공업 - 기보스틸 - 동남A - 대림A - 신동아1.2단지 - 신동아1단지.한일A - 한일A - 건영2단지.영남5단지 - 주공3단지.월드사거리.월드A - 영화A.삼성한신A - 시흥초교 - 계룡1차A - 한국산업은행 - 이마트 - 복지회관 - 시흥소방서 - 정왕역 - 방배슈퍼 - 정왕본동사무소 - 시화공업고교 - 군서초교 - 삼육주유소 - 정왕보건지소 - 새말부락 - 점촌부락 - 거모삼거리 - 거모동동보A - 배우물 - 군자중고입구 - 아주A - 군자우체국앞.군자파출소 - 동원A - 도일시장 - 삼익A입구 - 안산역 - 원곡본동사무소.주택단지 - 원곡고교.군자체육사 - 원곡초교 - 라성시장.벽산아파트.라성호텔 - 군자주공4단지.현대연립 - 초지시장.금호연립입구 - 화랑공원.단원구청 - 안산문화예술의전당 - 자유센타.세무서 - 보건소.안산시청 - 주공1단지 - 중앙초교.주공2단지 - 예술인아파트.성포동주공4단지 - 성포주공10단지 - 성포주공11단지.경일초교 - 선경A - 다농마트 - 월피동.한양A.현대A - 월피한양A후문 - 광덕시장 - 월피동(종점)[*출처 [[http://www.siheungjounal.co.kr/news/articleView.html?idxno=78|#]]] || 2007년 8월 14일 30번에 통합되었다. === [[안산 버스 30-7]] === 해당 문서 참조. === 안산 버스 31 (1기노선)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현재 운행중인 노선, rd1=안산 버스 31)] 운행구간 : 부천역 - 대야동 - 신천동 - 매화동 - 금이동 - 목감동 - 박달동 - 안양1번가 - 호계동 경원여객이 안양 면허 시절부터 운행하던 노선으로 안양과 부천을 잇던 노선이었으나 31-7번으로 통합되면서 사라졌다. === 안산 버스 31-1 === ||<-6> {{{#ffffff 안산시 일반시내버스 31-1번}}} || ||<-2> 기점 || 경기도 부천시 심곡본동(부천역) ||<-2> 종점 || 경기도 과천시 문원동(서울대공원) || ||<|2> 종점행 || 첫차 || -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 || 막차 || - || ||<-2> 평일배차 || - ||<-2> 주말배차 || - || ||<-2> 운수사명 || 경원여객 ||<-2> 인가대수 || - || ||<-2> 노선 ||<-4> 부천역 - 대야동 - 신천동 - 매화동 - 금이동 - 목감동 - 박달동 - 안양1번가 - 비산동 - 관양동 - 인덕원역 - 정부과천청사 - 과천역 - 서울대공원 || === [[시흥 버스 31-1]] === [[시흥 버스 31-1|해당 문서]] 참조. === 안산 버스 31-2 === 운행구간 : 부천역 - 대야동 - 신천동 - 은행동 복지아파트 부천역에서 시흥 신천동을 곳곳으로 순환하여 은행동 복지아파트로 운행하던 노선. === [[시흥 버스 31-5]] === [[시흥 버스 31-5|해당 문서]] 참조. === 안산 버스 31-6 (1기노선) === ||<-6> {{{#ffffff 안산시 시내일반버스 31-6번}}} || ||<-2> 기점 || 경기도 부천시 심곡본동(부천남부역) ||<-2> 종점 || 경기도 시흥시 계수동(계수동) || ||<|2> 종점행 || 첫차 || -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 || 막차 || - || ||<-2> 평일배차 || - ||<-2> 주말배차 || - || ||<-2> 운수사명 || 경원여객 ||<-2> 인가대수 || - || ||<-2> 노선 ||<-4> 부천남부역 - 세종병원 - 진영정보공고 - 여우고개 - 대야동 - 신천동 - 은행동 - 계수동 || === 안산 버스 31-6 (2기노선) === ||<-6> {{{#ffffff 안산시 시내일반버스 31-6번}}} || ||<-2> 기점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상록수역) ||<-2> 종점 || 경기도 군포시 산본동(금정역) || ||<|2> 종점행 || 첫차 || -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 || 막차 || - || ||<-2> 평일배차 || - ||<-2> 주말배차 || - || ||<-2> 운수사명 || 경원여객 ||<-2> 인가대수 || - || ||<-2> 노선 ||<-4> 상록수역 - 팔곡동 - 반월역 - 대야미역 - 군포 부곡동 - 당동 - 금당터널 - 흥진고등학교 - 산본역 - 군포시청 (이마트) - 광정목련아파트 - 노을사거리 - 산본사거리 - 산본시장 - 금정역 || 인가만 받고 실제로는 운행하지 않다가 폐지되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us&no=1192124|관련 게시물]]. === 안산 버스 31-8 === ||<-6> {{{#ffffff 안산시 일반시내버스 31-8번}}} || ||<-2> 기점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호계동(경원여객안양차고지) ||<-2> 종점 || 경기도 시흥시 금이동(금이1동) || ||<|2> 종점행 || 첫차 || -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 || 막차 || - || ||<-2> 평일배차 || - ||<-2> 주말배차 || - || ||<-2> 운수사명 || 경원여객 ||<-2> 인가대수 || - || ||<-2> 노선 ||<-4> 경원여객안양차고지 - 효성티앤씨.진영레미콘 - 명학대교 - 성결대학.문예회관.명학역 - 만안구청 - 국립식물검역소 - 우체국사거리.등기소 - 남부시장 - 중앙시장.안양역.안양1번가 - 대동서적 - 안양여중고.안양성결교회 - 박달사거리.박달1동사무소 - 박달우성A - 박달삼거리 - 한라비발디A - 한일A.삼신A - 충훈2교 - 노루표페인트.대림한숲A - 동원시스템.이스텔시스템즈 - 박달주유소 - 범고개 - 새마을연수원 - 논골주유소 - 현충탑 - 논곡동.산호A - 목감사거리.농협 - 삼호가든.삼호가든A - 남왕마을 - 조남약수터 - 양회다리 - 능골 - 장자골 - 안말 - 물왕교 - 월미입구 - 무재비농원 - 금이2동 - 금이1동[*출처 [[http://www.siheungjounal.co.kr/news/articleView.html?idxno=78|#]]] || 초창기에는 부천시에서 서울대공원을 이었는데 이후 금이동 - 호계동 구간으로 운행하다 폐지. === 안산 버스 32 === || [[파일:안산32_alynesinc.jpg|width=78%]] || [[파일:attachment/안산 버스 32/Example.jpg|width=100%]] || || BM090.[* 2010년식 그린시티 천연가스버스로 대차 후 500번 → 예비차로 운행하다가 말소되었다.] || 호구포역까지 운행하던 모습, BS090.[* 위 차량은 뉴 카운티로 대차되어 [[안산 버스 501|501A번]]으로 이동하여 운행 중이다.] || || [[파일:20150704_135619.jpg|width=100%]] || [[파일:안산32.png|width=82%]] || || 2008년식 BS090 F/L.[* 옆 차량과 동일한 차량으로 대차되었고 이후 [[안산 버스 511|511번]]으로 이동하였다.] || 2016년식 그린시티 디젤.[* 현재는 31-7번으로 이동하여 운행 중이다.] || ||<-2> '''경원여객 운행 시절.''' || [[시흥 버스 32]] 참조. [[경원여객(안산)|경원여객]]에서 [[시흥교통]]으로 이관되었다. === 안산 버스 32-1 === 운행구간 : 소래포구 - 연성지구 - 물왕저수지 - 목감동 - KTX광명역 광명역이 개업하면서 개통된 노선. 현재의 [[광명 버스 11-3|광명 11-3번]]과 유사했던 노선이나 완벽하게 동일구간을 다니던 [[광명 버스 11-2]]에 밀려 폐선되었다. 이후 11-2번의 노선 분쟁으로 인해 11-3번이 분할되면서 완벽하게 승계. === 안산 버스 32-2 === 운행구간 : 월곶동 - 연성지구 - 물왕저수지 - 목감동 - 박달동 - 안양1번가 - 안양 호계동 구 월곶부락까지 다녔으나 월곶포구로 연장됨과 동시에 32번으로 통합운행됨 === 안산 버스 33 (1기노선)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현재 운행중인 노선, rd1=안산 버스 33)] 운행구간 : 월곶 - 군자동 - 안산역 - 선부2동 - 강서고등학교 - 월피동 - 부곡동 - 수암 - 목감동 - 박달동 - 안양1번가 - 호계동 1992년 10월 14일에는 호계동 - 범계역 - 평촌신도시구간을 연장, 이후 월피동 - 목감동 - 안양1번가 - 호계동 - 범계역 - 평촌신도시구간을 단축하고 월피동 - 본오동 구간을 연장, 월곶 - 본오동 노선으로 재편하였다. === 안산 버스 33-1, 33-2 === || [[파일:attachment/안산 버스 33-1, 33-2/Ansan33-1_1.jpg|width=100%]] || [[파일:attachment/안산 버스 33-1, 33-2/Ansan33-2_1.jpg|width=100%]] || || 2011년식 그린시티.[* [[안산 버스 220|220번]] → [[안산 버스 511|511번]] → [[안산, 화성 버스 13|13번]] → [[시흥 버스 32|32번]] → [[시흥 버스 26|26번]]으로 이동했다.] || 2012년식 그린시티.[* 현재는 [[안산 버스 10-1|10-1번]]에서 운행 중이다.] || |||| '''중형 차량으로 운행하던 시절.''' || || [[파일:안산33-1.png|width=100%]] || [[파일:안산33-2.png|width=100%]] || || 33-1번 시절. || 폐선된 33-2번. || |||| 2016년식 뉴카운티 디젤.[* 현재는 모두 [[안산 버스 88|88번]] → 310번으로 이동했다.] || [[안산 버스 34]] 참조. === 안산 버스 35 (1기노선)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현재 운행중인 노선, rd1=안산 버스 35)] 운행구간 : 월곶 - 거모동 - 안산역 - 선부동 - 중앙동 - 중앙역 - 월피동 - 양상동 - 안산동 - 목감동 - 안양1번가 - 호계동 현 35번의 초창기 노선이다. === 안산 버스 36 === 운행구간 : 양상동 - 화정동 - 강서고 - 화랑초교 - 화랑유원지 - 라성 - 원곡동 - 안산역 - 반월공단 === 시흥 버스 36 (1기노선)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현재 운행중인 노선, rd1=시흥 버스 36)] || [[파일:attachment/시흥 버스 36, 37/shb36.jpg|width=100%]] ||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20150715_132923.jpg|width=100%]] || || BS090.[* 현재는 그린시티로 대차되어 [[시흥 버스 520|520번]] → [[시흥 버스 32|32번]] → [[시흥 버스 97|97번]]으로 이동하여 운행 중이다.] || [[현대 카운티|뉴 카운티]].[* 현재는 [[시흥 버스 37|37번]]으로 이동하여 운행 중이다.] || 2015년 8월 17일 31-5번이 36번으로 바뀌었고, 옛 36번과 37번은 통합하여 새 36번으로 흡수되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시흥 버스 36, version=30, paragraph=3)] === 안산 버스 36-1 === 운행 구간: 양상동 - 화정동 - 강서고 - 화랑초교 - 화랑유원지 - 라성 - 원곡동 - 안산역 - 신길동 === 안산 버스 37 === ||<-6><:>{{{#ffffff 안산시 시내일반버스 37번}}}|| ||<-2><:>기점||<:>경기도 부천시 심곡본동(부천역)||<-2><:>종점||<:>경기도 광명시 광명동(광명경찰서)|| ||<|2><:>종점행||<:>첫차||<:>-||<|2><:>기점행||<:>첫차||<:>-|| ||<:>막차||<:>-||<:>막차||<:>-|| ||<-2><:>평일배차||<:>-||<-2><:>주말배차||<:>-|| ||<-2><:>운수사명||<:>경원여객||<-2><:>인가대수||<:>-|| ||<-2><:>노선||<-4><:>부천역 - 대야동 - 신천동- 은행동 - 매화동 - 과림동 - 옥길동 - 광명6동 - 광명사거리역 - 광명시청 - 광명경찰서|| 시흥시 관할경찰서가 광명과 안산경찰서 관할시절 필수운행노선, 화영운수와 공동배차. 이후 부천역 - 신천동구간이 단축되어 신천동 - 광명경찰서간을 운행하다가 1998년경 폐지. === 시흥 버스 37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현재 운행중인 따복버스 노선, rd1=시흥 버스 37)] [[파일:attachment/시흥 버스 36, 37/shb37.jpg|width=700]] 2014년 8월 31일의 모습.[* 2014년식 그린시티로 대차되어 [[시흥 버스 120|120번]] → [[시흥 버스 99-3|99-3번]]으로 이동했다.]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20150715_130840.jpg|width=700]] 2015년 7월 15일의 모습. 현재는 [[시흥 버스 37|신 37번]]으로 이동했다. == 노선 정보 == ||<-6><:><#33cc99>{{{#ffffff 시흥시 일반시내버스 37번}}}|| ||<-2><:>기점||<:>경기도 시흥시 은행동(은행초교)||<-2><:>종점||<:>경기도 시흥시 은행동(신명아파트.대우3차아파트)|| ||<|2><:>종점행||<:>첫차||<:>06:00||<|2><:>기점행||<:>첫차||<:>-|| ||<:>막차||<:>22:00||<:>막차||<:>-|| ||<-2><:>평일배차||<:>출퇴근 45~50분/평시 50~90분||<-2><:>주말배차||<:>45~90분|| ||<-2><:>운수사명||<:>[[시흥교통]]||<-2><:>인가대수||<:>1대|| ||<-2><:>노선||<-4><:>은행초교 → 은계초교 → 신명아파트.대우3차아파트 → 소래중.고교 → 검바위초교 → 극동아파트 → 신일초교 → 경신아파트 → 신천중 → 금강빌라 → 삼미시장[* 수인로에 있는 정류장이 아닌, 신천3길에 있는 정류장에 정차했다.] → 태광아파트 → 소래주유소 → 대흥중 → 시흥ABC행복학습타운 → 영남아파트 → 벽산1차아파트 → 신명아파트.대우3차아파트|| == 개요 == * 2014년 3월 3일에 [[시흥 버스 36|36번]]과 함께 신설되었다. * 2015년 2월부터 운행을 재개할 때 차량이 BS090에서 카운티로 교체되었다. 가스차량이 아니었기 때문에 점심시간대에 강제로 오이도차고지까지 가서 충전하는 일은 없게 되었다. * 2015년 8월 17일에 36번으로 흡수되었다. * 은행단지에서 대흥중학교 및 신천고등학교, 그리고 신천동 안동네에서 은행고등학교를 가는 것이 불편한 통학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었으나 정작 등교시간과 버스 오는 시간이 서로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있었고, 수요도 31-1번 시절보다 적어졌다.[* 그렇다고 31-1번 수요가 많았던건 절대 아니었다. 당시 31-1번은 31-5번보다 운행 회수가 2회 더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수요는 31-5번과 대등한 수준이었다.] 그래서인지 방학중에는 '''아예 운행을 중단했다.''' === 안산 버스 50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현재 운행중인 노선, rd1=안산 버스 50)] 운행구간 : 반월공단 - 안산역 - 신길동 - 도일사거리 - 능곡동 - 연성1지구 - 신천동 - 대야동 - 부천역 현재 1번 노선과 비슷한 선형으로 다녔으며 61번의 전신격. === [[시흥 버스 50]] === === 안산 버스 51 === 운행구간 : 반월공단 - 안산역 - 원곡동 - 화랑유원지 - 스타프라자 - 한대앞역 - 상록수역 - 본오동 이후 52번에 흡수되었다. === 안산 버스 55 (1기) === 운행구간 : 반월공단 - 안산역 - 라성 - 스타플라자 - 한대앞역 - 상록수역 - 본오동 - 사동 === 안산 버스 55-1 === 운행구간 : 반월공단 - 안산역 - 라성 - 스타플라자 - 한대앞역 - 상록수역 - 본오아파트 - 사동 === 안산 버스 60 === ||<-6> {{{#ffffff 안산시 일반시내버스 60번}}} || ||<-2> 기점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오이도 해양단지) ||<-2> 종점 || 경기도 부천시 역곡1동(역곡역) || ||<|2> 종점행 || 첫차 || -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 || 막차 || - || ||<-2> 평일배차 || - ||<-2> 주말배차 || - || ||<-2> 운수사명 || 경원여객 ||<-2> 인가대수 || - || ||<-2> 노선 ||<-4> 오이도 해양단지 ~ 이마트 ~ 군서중학교 ~ 시화공고 사거리 ~ 군서초등학교 ~ 시흥 푸르지오6차 ~ 점촌부락 ~ 거모동 동보아파트 ~ 군자공고 ~ 큰말 ~ 황고개 약수터 ~ 중앙병원 ~ 장곡고등학교, 숲속마을 ~ 진말초등학교 ~ 대동청구아파트 ~ 시흥시청 삼거리 ~ 연성중학교 ~ 시흥고교, 태평아파트 ~ 새터말 ~ 복음자리 ~ 신천연합병원 ~ 청구아파트 ~ 신명아파트, 대우3차 아파트 ~ 영남아파트 ~ 청원가든 ~ 소사초등학교 ~ 소사종합시장 ~ SK뷰아파트 ~ 동광교회 ~ 역곡역 || 1998년 10월 20일 신설, 현재 시흥교통 26번/63번의 전신격이었으나 25번 개통과 동시에 폐지됨. 63번이 새터말에서 소래고교까지 직진하는 것과 달리, 이 노선은 신일초교-복음자리-신천연합병원-청구아파트로 운행했다. === 안산 버스 62-1 === ||<-6> {{{#ffffff 안산시 일반시내버스 62-1번}}} || ||<-2> 기점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본오 아파트) ||<-2> 종점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환경사업소) || ||<|2> 종점행 || 첫차 || -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 || 막차 || - || ||<-2> 평일배차 || - ||<-2> 주말배차 || - || ||<-2> 운수사명 || 경원여객 ||<-2> 인가대수 || - || ||<-2> 노선 ||<-4> 본오 아파트 - 사동 아파트 단지 - 한대앞역 - 성안중학교, 성안고등학교 - 고잔고등학교 - 안산시청 - 라성 - 안산역 - 시화공업고등학교 - 동남아파트 - 환경사업소 || 2003년 4월 1일 안산역 - 안산시청구간 일부 변경. 2005년 노선 통합으로 폐지. === 시흥 버스 63-1 === 1-1번 마을버스의 대체 노선 격으로 신설되었다가 폐선되었다. === 안산 버스 65 (1기노선) === 운행구간 : 와동 - 선부동 - 신길동 - 샛뿔 - 안산역 - 반월공단 1990년대 초반 안산시내버스 최초로 샛뿔 정류장에 정차. 소리소문 없이 폐지. === 안산 버스 65 (2기노선) === 운행구간 : 화정동 - 강서고 - 화랑초교 - 고잔1동 - 초지동 2003년 소리소문없이 폐지. === 안산 버스 66 (1기노선)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현재 운행중인 노선, rd1=안산 버스 66)] 운행구간 : 와동 - 선부동 - 원곡동 - 안산역 - 반월공단 1990년대 초반 소리소문없이 폐지. === 안산 버스 70 === || [[파일:attachment/안산 버스 70/Ansan70.jpg|width=100%]]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20150518_145145.jpg|width=100%]] || || 2010년식 그린시티 천연가스버스 차량.[* 위 차량은 [[시흥 버스 32|32번]]으로 이동했다가, 2015년 7월에 시흥교통 3074호로 전환되어 [[시흥 버스 21|21번]]에 이동했다가, 2020년식 그린시티 F/L CNG로 대차되어 70번으로 이동했다.] || 2015년식 뉴 카운티 디젤 차량.[* 현재는 예비차량 → 32번 → 시흥교통 이관 후 520번으로 이동했다.] || [[안산 버스 7]] 참조. '동안산병원 - 월피한양아파트 - 월피주공2단지 - 중앙동행정복지센터 - 안산시외버스터미널 - 중앙역후문' 구간이 중앙역정문 경유와 3-1번 구간인 안산천동로 경유로 직선화 돼서 번호도 7번으로 변경되었다. === 안산 버스 72 === 운행구간 : 본오아파트 - 사동 대우아파트 - 호수공원 - 안산시청 - 중앙역 2006년 3월 신설, 2011년 1월 3일 폐지. 이 노선이 폐지되면서 88번이 신설되었다. === 안산 버스 72-1 === 운행구간 : 본오동종점 - 이호초등학교 - 이호중학교(사리운동장) - 해안로[*미정차 미정차.][* 본오아파트에는 정차하지 않았다.] - 초당초 - 시곡초 - 상록구청 - 사동 대우 6.7.9차 아파트 2006년경 신설, 2013년까지 존재한 것으로 추정, 승객감소를 이유로 소리소문 없이 폐지.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경원여객(안산), version=863, paragraph=5.6)] === 안산 버스 75 === 운행구간 : 본오아파트 - 고려선원 앞 - 상록구청 - 석호초등학교 - 성안중학교 - 한대앞역 - 중앙역 - 고잔동 2003년 소리소문없이 폐지. === 안산 버스 76 (1기) ===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운행되던 노선이나, 이후 폐선되었다. 일자 불상. === 안산 버스 76 (2기)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현재 운행중인 노선, rd1=안산 버스 76)] 운행구간 : 연성1지구 - 거모동 - 도일시장 - 안산역 - 원곡동 - 라성 - 공단역 - 한대앞역 1998년 연성1지구 완공과 더불어 개통한 노선으로 이후 소리소문없이 폐지되었으나 2003년 7월 월곶신도시 완공으로 월곶 - 한대앞역 노선으로 재개통하였다. === 안산 버스 78 === 운행구간 : 사동 대우6.7.9차 아파트 - 성안고등학교 - 한대앞역 - 사2동 주민센터 - 본오아파트 2005년 9월 12일 신설, 승객 감소를 이유로 2013년 11월 1일 폐지. 10번과 통합. === 안산 버스 78-1 === 운행구간 : 시곡중학교 - 시곡초 - 초당초 - 본오아파트 - (88번과 동일하게 운행.) - 중앙역 88번 차량으로 일 4회 학기중 평일에만 운행, 2016년 승객감소로 폐지되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경원여객(안산), version=863, paragraph=5.6)] === 안산 버스 80 (1기노선) === 운행구간 : 오이도역 - 정왕동 아파트단지 - 정왕역 2000년 7월 31일 신설, 얼마 못가 소리소문없이 폐지. === 안산 버스 80 (2기노선) === 운행구간 : 장곡동 - 시흥시청 - 연성1지구 - 물왕저수지 - 목감동 - 무지내동 - 과림동 2001년 12월 11일 신설, 이 노선도 현재 시흥교통 26번의 전신격으로 운행됐던 노선이나 소리소문 없이 폐지. === 안산 버스 88 (1기노선)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현재 운행 중인 노선, rd1=안산 버스 88)] 경원여객과 화영운수가 공동 배차로 운행하였다. [[광명시 버스 목록/폐선#s-2.3|해당 문서]] 참조. === 안산 버스 88-1 === 안산국제거리극축제와 경기안산항공전 기간에 임시로 운행했던 노선이다. === 안산 버스 99-2 === 운행구간 : 본오동 - 상록수역 - 월피동 - 안산시청 - 초지동 - 주공18단지 2000년대 초반에 99번이 노션 개편을 하면서 개통되었던 노선. 당시 99-1번 노선과 유사한 선형으로 운행되었으나 이후 99-1번에 통합되었다. --근데 이거 [[시흥교통|자회사]]에서 부활했다--[* 과거의 99-2번이나 현재의 99-1번이나 둘 다 관련은 없고 번호만 비슷한 노선이다.] === 안산 버스 100 === 운행구간 : 안산역 - 반월공단 - 시화공단 반월공단, 시화공단 출퇴근 목적으로 주로 운행하던 노선이었으나 1994년경 소리소문없이 폐지. 현재의 시흥교통 20-1번이 어느정도 답습하고 있긴 하나 별개의 노선이다. === [[시흥 버스 120]] === 해당 문서 참조. === [[안산 버스 220]] === 해당 문서 참조. === 안산 버스 310 === 운행구간 : 거모동 - 도일시장 - 신길동 - 안산역 - 원곡동 - 선부1동 - 와동 - 월피동 - 부곡동 - 수암 - 목감동 - 노온사동 - 학온동 - 광명6동 - 광명사거리 - 개봉동 - 구로역 - 신도림역 - 문래동 - 영등포 화영운수와 공동배차로 운행하던 노선으로 1999년 4월 8일 폐지되었다. === 안산 버스 311 === 운행구간 : 부천역 - 대야동 - 신천동 - 매화동 - 금이동 - 목감동 - 박달동 - 안양1번가 - 호계동 - 범계역 - 평촌신도시 1992년 10월 14일 신설, 이후 소리소문없이 폐지. === 안산 버스 314 === ||<#fff,#1F2023><:>{{{#!folding [ 사진 모음 펼치기 · 접기 ] || [[파일:ansan_314_old1.jpg|width=100%]] || [[파일:ansan_314_old2.jpg|width=100%]] || |||| 안산동~본오A간 운행하던 시절. BS090 차량.[* 위 차량은 2012년에 그린시티로 대차되어 [[안산 버스 99|99번]]에서 운행 중.] || ||<-2> [[파일:안산314(1).jpg|width=100%]] || ||<-2> 현재 노선으로 변경된 후, 314번 시절.[* 현재는 예비차량으로 격하되었다.] ||}}}|| [[안산 버스 3]] 참조. === 안산 버스 315 === 운행구간 : 본오아파트 - 시곡중 - 성안고등학교 - 중앙역 - 양지고등학교 - 초지고등학교 - 안산공대 2000년대에 신설되었으나 2010년 무렵 폐지. 이 노선이 폐지되면서 타 노선들에 무료환승 제도가 도입되었다. === 안산 버스 320-1 === 운행구간 : 월곶신도시 - 오이도역 - 정왕동 - 신길동 - 안산역 - 원곡동 - 선부1동 - 와동 - 월피동 - 부곡동 - 수암 - 목감동 - 노온사동 - 학온동 - 광명6동 - 광명사거리 - 개봉동 - 구로역 - 신도림역 - 문래동 - 영등포 - 여의도 2003년 6월 30일 월곶신도시 완공에 따라 신설예정이었으나 이후 2003년 하반기 시흥교통 510번으로 대폭 변경하여 개통하였다. === 안산 버스 330 === 운행구간 : 시화공단 - 신길동 - 안산역 - 원곡동 - 화랑유원지 - 스타프라자 - 월피동 - 부곡동 - 수암 - 목감동 - 박달동 - 안양1번가 - 호계동 - 범계역 - 평촌신도시 1992년 10월 14일 신설, 이후 350번과 통폐합과정에서 호계동 - 범계역 - 평촌신도시구간을 단축, 350번으로 변경하였다. === 안산 버스 350 === 운행구간 : 반월공단 - 안산역 - 원곡동 - 화랑유원지 - 스타프라자 - 월피동 - 부곡동 - 수암 - 목감동 - 박달동 - 안양1번가 - 호계동 이후 330번과 통폐합하여 시화공단 - 호계동 노선으로 재편하였다. === 안산 버스 502 === 안산시티투어 노선으로 예약제로만 운행하였다. 역시 시티투어 이용객 감소로 폐지되었다. === [[시흥 버스 510]] === 해당 문서 참조. === [[시흥 버스 520]] === 해당 문서 참조. === 안산 버스 511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현재 운행 중인 노선, rd1=안산 버스 511)] || [[파일:경원여객511번OLD.jpg|width=100%]] || || 이 차량은 2014년식 그린시티 CNG로 대차되어 그대로 이 노선에서 운행하다가 2019년 11월에 [[안산 버스 76|76번]]으로 이동했다. || * 2005년 8월에 신설되었다. 당시 노선은 '중앙역 - 대우3차 - 고잔역 - 주공13~18단지 - 이마트 - 경방 - 진로발효 - 이구산업 - 대덕GDS - 초당약품 - 강남화성 - 삼화페인트 - 현우공업 - 삼지금속'이었으며 공단 내 구간 일부는 현재의 RH시간대 공단 연장 노선과 유사한 형태였다. 당시 대우버스만 출고하던 [[경원여객(안산)|경원여객]]이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를 출고해 화제가 되었다. * 노선 형태에서 알 수 있듯이 반월공단 출퇴근을 위한 노선으로 신설되었다가 수요 부족으로 인해 소리소문없이 폐선되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안산 버스 511, version=142, paragraph=3)] === 안산 버스 5601 === [[파일:안산5601번로럭2.png|width=100%]] 위 차량은 BH116 II F/L 차종으로, [[안산 버스 320|320번]]에서 임시로 차출된 것이다. 이후 본 노선으로 돌아갔고 2017년에 유니버스 천연가스버스 차량으로 대차되었다. [[안산 버스 50]] 참조. 노선이 연장되면서 노선 번호도 바뀌었다. == 일반좌석버스 == === 안산 버스 2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현재 운행 중인 노선, rd1=안산 버스 2)] 본오아파트 - 부천남부역 === 안산 버스 300 (1기노선) === 운행구간 : 오이도 - 화학단지 - 시화 아파트단지 - 안산역 - 원곡동 - 선부1동 - 와동 - 월피동 - 부곡동 - 수암 - 목감동 - 노온사동 - 학온동 - 광명6동 - 광명사거리역 - 개봉동 - 구로역 - 신도림역 - 문래동 - 영등포 5601번으로 변경후 노선을 변경, 현재 320번이 그 기능을 다하고 있다. === 안산 버스 717 === 대부도와 사강을 오갔던 노선. 2010년 초반에 일반시내버스로 형간전환하면서 번호를 727번으로 변경. == 직행좌석버스 == === [[안산 버스 300]] (2기노선)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현재 운행 중인 노선, rd1=안산 버스 300)] 2015년 1월 31일부터 2015년 2월 8일까지 시범운행했던 노선이다. 2017년 6월 24일 부활하였다. === 안산 버스 3000-1 === 운행구간 : 수원오목천동 - 수원역 - 팔달문 - 장안문 - 송죽동 - 한일타운 - 이목동 - 의왕TG - 선바위역 - 서초역 - 교대역 - 강남역 - 뱅뱅사거리 - 양재역 - 선바위역 [[용남고속]]에서 허가만 가지고 있던 것을 2007년 경원여객에서 인수해 2007년 7월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이 허가를 가지고 손을 봐 2007년 10월 15일 안산에서 출발하는 [[안산 버스 3100|3100번]]을 개통한다. --가만보자, [[시흥 버스 3200|이거]] 어디서 많이 봤는데...??--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경원여객(안산), version=551, paragraph=4.6)] === [[안산 버스 8847]] === 2017년 3월에 개통하려고 했지만 인력 수급이 잘 되지 못 해 [[태화상운(안산)|태화상운]] 측에서 개통을 무기한 보류시켰다. 즉, 개통 취소된 셈. === [[안산 버스 8848]] === 해당 문서 참조. == 따복버스 == === [[안산 버스 3(미운행)|안산 버스 3]] === 해당 문서 참조. == 광역급행버스 == 광역급행버스는 [[국토교통부]] 관할이지만 편의상 추가한다. === 광역급행버스 M5609 === [[파일:M5609.jpg]] 2016년 7월 15일에 [[직행좌석버스]]로 형간전환 했다. 자세한건 [[안산 버스 5609]] 참고. == 경기순환버스 == === [[경기순환버스 8407]] === ||<#fff,#1F2023><:>{{{#!folding [ 사진 모음 펼치기 · 접기 ] || [[파일:attachment/20130529_152759.jpg|width=100%]] || [[파일:8407번로럭2.png|width=100%]] || || [[자일대우버스 BS|BS106 로얄시티]] 예비차.[* 현재는 2013년식 그린시티로 대차되어 [[안산 버스 4-1|4-1번]]에 있다.] || BH116 로얄 럭셔리2.[* 현재는 2016년식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로 대차되었다.] || || [[파일:DSC01079.png|width=97%]] || [[파일:경원여객_8407_E6UI.png|width=100%]] || || FX II 116.[* 현재는 2019년식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엘레강스로 대차되어 [[안산 버스 3100|3100번]]으로 이동했다.] ||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 현재는 3102번 전용예비차량으로 격하되었다.] || }}} || 운송 수지 악화와 고양시의 준공영제 반대로 2020년 6월 15일부로 폐지되었다. 자세한 건 해당 문서 참조. [[분류:안산시의 시내버스]][[분류:시흥시의 시내버스]][[분류:나무위키 버스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