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안산시의 버스)] [[파일:_MG_9853.jpg]] [목차] == 노선 정보 == ||<-6><#3c9> [[파일:안산시 CI_White.svg|width=25]] {{{#fff 안산시 일반형버스 350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안산 350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호계동(경원여객안양차고지) ||<-2> 종점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함상전망대) || ||<|2> 종점행 || 첫차 || 04:50 ||<|2> 기점행 || 첫차 || 05:40(평)/06:10(토,공) || || 막차 || 23:00[* 오이도행 막차는 21:50(평)/21:40(토,공)에 출발한다.] || 막차 || 23:00 || ||<-2> 평일배차 || 50~60분 ||<-2> 주말배차 || 60~80분 || ||<-2> 운수사명 || [[경원여객(안산)|경원여객]] ||<-2> 인가대수 || 11대[* 평일 5대, 주말 4대로 운행한다.] || ||<-2> 노선 ||<-4> 경원여객안양차고지 - [[성결대학교]].안양아트센터.명학역 - 서안양우체국.국제나은병원 - [[안양1번가]] - 안양여중고 - 한라비발디아파트.박달2동행정복지센터 - 박달주유소 - 목감도서관 - 수암파출소 - 부곡동행정복지센터 - 선경아파트 - 안산시청 - 단원구청.단원보건소 - 원곡초교 - [[안산역]] - 서울프라자 - 삼립식품 - 시화공구상가 - 오이도입구 - 오이도해양단지.옥터초교입구 - 함상전망대 || ||<-2><#B2EBF4> '''중간 종료 정류소''' || || '''오이도''' 방향 || 안산역[* 안양 기준 23:00 출발. 안산역에서 종착 후 안양영업소로 공차 회송.] || || '''호계동''' 방향 || 없음 || == 개요 == [[경원여객(안산)|경원여객]]에서 운행하는 일반형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83km다. [[https://m.map.naver.com/bus/lane.naver?busID=6516|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1990년대 중반, 반월공단 - 안양 구간을 운행하던 330번 좌석버스에서 분리돼 신설되었다. * 2013년 11월 11일에 일반시내버스로 형간전환했다. 동시에 노선도 일부 변경해 논곡동 대신 목감지구를 경유하게 되었다. 단, 목감지구 도로공사로 인해 안산으로 갈 때는 논곡동과 목감동을 모두 경유하지 않는다. * 목감지구 도로공사가 완료되면서 2015년 7월 1일부터 양방향 모두 목감지구를 경유하게 되었다. * 2017년 6월 21일부터 부곡동에서 안양 방면으로 출발하는 06:00 차가 폐지됐다. * 2018년 5월 30일 1대가 증차되었다. == 특징 == * 안양과 안산을 잇는 유일한 버스편이지만[* 같은 회사의 [[안산 버스 35|35번]]도 있었는데 현재는 폐선되었다.] 그런 특징은 부각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시간과 요금이 넘사벽인 전철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전철역에서 먼 동네(부곡동이나 박달동 등)에서 이용객들이 좀 있는 편이다. 이외에도 시화공단이나, 오이도해양단지를 가려는 사람들도 이 버스를 이용하는 편으로, 안산역에서 오이도해양단지까지 비교적 빠르게 가는 특징이 있다.[* 같은 회사의 [[안산 버스 30-2|30-2번]]도 오이도해양단지를 가지만 350번에 비해 돌아간다. 게다가 공단지역을 지나기에 출퇴근 시간 말고는 비교적 빠른 편인 350번과 달리, 30-2번은 주거지역을 많이 지나므로, 승하차 승객 또한 대단히 많다.] 시화 구간은 거의 직선코스에 가깝게 되어있으나, 유천아파트-코포모 구간은 제외한다. * 예전에는 10~15분 간격이었다고 하는데 전철의 영향 때문인지 감차되어 40~50분 간격, 주말에는 1시간대 이상까지도 벌어지기도 한다. * 노선만으로 봐서는 본사나 오이도 소속으로 보일 수 있겠으나, 실제로는 안양차고지 소속이며 알림에 표기되는 전화번호 역시 안양차고지 전화번호이다. 다만, 배차 순번 상 2대의 차량이 오이도에서 주박하기는 하는데, 이거는 오이도 가는 막차가 다음날 오이도발 안양행 첫차로 운행하기 위해 그렇게 한다. 350번 가스차들은 [[시흥교통]] 32번과 같이 오이도차고지에서 가스를 넣고 있다. * 같은 회사의 [[안산 버스 50|50번]]의 배차간격이 길어지게 되면서 이 노선의 역할이 좀 더 중요해졌다. 목감동에서 예술인아파트, [[안산종합버스터미널]] 근처로 내려오는 노선이 이거밖에 없는 거나 다름없어졌기 때문. 또한 안산에서 [[광명역]]을 갈 때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 노선을 이용하여 박달동 노루표페인트에 내린 다음 길 건너에서 [[안양 버스 3|3번]], [[광명 버스 12|12번]] 등을 타면 금방 광명역으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이다.[* 3번이나 12번은 '''[[빗자루질(교통)|자주 오는 노선]]'''이며 노루표페인트에서 광명역까지는 '''10분도 안 걸린다.'''] 50번 시간이 안 맞으면 이 방법이 유용하다. 라성시장-예술인아파트, 화훼단지-서울프라자[* 두산아파트-오이도 구간에서는 광명사거리로 나갈 경우, [[광명 버스 1|1번]] 버스로 환승할 수 있는 대체노선이 있다.] 구간에서 광명사거리, 개봉역, 구로, 영등포 방면으로 갈 경우, 이 노선을 이용한 뒤, 월피동-목감 사이의 중간 정류장에서 [[안산 버스 301|301번]]이나 [[안산 버스 320|320번]]으로 환승하면 된다. * 안산시 구간의 선형은 나름대로 괜찮은 편이나, 수리산을 빙 돌아 목감동을 향하여 돌아오는 선형이다. * 2018년 1월 16일 출근시간대에 버스기사 막말 사건이 터졌다. [[http://www.bobaedream.co.kr/view?code=accident&No=484161|영상 링크1]], [[https://www.bobaedream.co.kr/view?code=accident&No=484249&rtn=%2Fmycommunity%3Fcid%3Db3BocjBvcGhxbW9waHFob3BocXFvcGhxaG9waHFqb3Boc2w%3D|영상 링크2]] 사건의 전개는 버스기사가 운전을 험하게 하는 가운데 한 승객이 난폭운전에 대해 지적하자 기사가 승객에게 욕설을 퍼부었으며 그 뒤 해고 당했다고 한다. * [[시계외요금|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 시간표 === ##2022년 11월 01일 기준이다. [[http://www.kwbus.co.kr/index/bbs/board.php?bo_table=comm_01&wr_id=2055|시간표]] 2023년 8월 21일 기준 [[http://www.kwbus.co.kr/index/bbs/board.php?bo_table=comm_01&wr_id=2163&sca=&sfl=wr_subject&stx=350&sop=and|시간표]]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명학역]], [[안양역]][* 안양1번가.안양고용센터 안양중앙시장 하차.]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초지역]][*A 푸르지오메트로 하차 후 도보.], [[안산역]] * [[파일:Seohae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서해선]]: 초지역[*A] * [[파일:SB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초지역[*A], 안산역 * 일반 철도역: 안양역(무궁화호) == 둘러보기 == [include(틀:안산시-시흥시 간 버스)] [include(틀:안양시-시흥시 간 버스)] [[분류:안산시의 시내버스]][[분류:안양시 경유 관외 노선]][[분류:시흥시 경유 관외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