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learfix] == 개요 == 安思順, 695?~756년 [[소그드인]] 출신으로, [[당현종]] 시기 저명한 [[당나라]]의 번장. [[안록산]]의 일족이다. 당의 국경 방어에 주력하는 등 당의 충신이었으나, 안사지란이 일어나자 호부상서로 불려갔고 동관을 지키던 [[가서한]]의 무고로 인해 목숨을 잃는다. == 생애 == 당(唐) 현종(玄宗) 개원(開元) 초년(712)을 전후해 [[돌궐]] 부락에서 몰락한 안사순은 백부 안연언과 형제사촌을 따라 탈출하여 친족 안정절에게로 귀순하였는데, 이때 당나라 하동도 람주에서 별가하였다. 그 이후 안정절은 안연언이 형을 구해준 것에 감격해 두 집안의 아들뻘을 형제로 삼을 것을 약속했다.[* 당시 안록산은 10세 안팎의 소년으로 [[사촌]] 안사순과 혈연은 없지만 어릴 때부터 정이 좋았다.] 이후 군에 입대해 당나라와 [[토번]]이 오랫동안 대치하던 농우 전선에 이르러 곧 두각을 나타냈다. 개원 2년(714년) 7월, 토번군은 10만의 무리로 임조군을 침범하여 [[난주]], 위주를 침공해 당나라의 목감 마필을 약탈하였고 이에 맞서 [[설눌]]의 지휘 아래 토번군을 대파하였다.[* 당시 설눌의 통제 하에 있었던 당군 장수는 안사순 이외에도 왕준, 두빈객, 곽지운, 왕해빈(왕충사의 아버지)이 있었다고 한다.] 개원 9년(721년) 10월 안사순은 우감문위장군(右監門衛將軍), 임조군사(臨军軍使)로 조주 자사가 되어 막문군사를 겸하고 은 200단, 3백 냥을 하사받았고, 막문군은 조주성에서 군사 5500명, 말 200필을 거느렸다.[* 안사순은 752년까지 하서, 농우 전선에서 지내게 된다.] 천보 오재(746년), 대장 [[왕충사]](王忠嗣)가 하서와 농우의 양군을 절제한 이래 안사순은 대투군사(大鬪軍使)로 승진했고, [[가서한]][* 사촌인 안록산과 마찬가지로, 가서한과는 사이가 좋지 않았다.]은 부사(副使)가 됐다. 747년 왕충사가 [[이임보]]의 모함으로 하옥되자 안사순은 [[하서절도사]]가 되었고, 가서한은 [[농우절도사]]가 되었다. 천보 9재(750년) 8월 삭방절도사 장제구는 군량미 지급이 여의치 않자 군사들이 판관들을 집단으로 때려 제음태수로 좌천되고 하서절수로 있었던 안사순이 [[삭방절도사]]를 지냈다. 10년(751년) 정월, 이임보가 [[안북도호부|안북부대도호]]·삭방절도사를 거느리고 호부시랑(戶部侍郞) 장균(張均)으로 절도유후 이사를 맡게 했다. 그 해 4월 안서절도사 [[고선지]]가 [[탈라스 전투]]에서 대패해, 하서절도사로 유임되었고[* 고선지의 후임 안서절도사는 봉상청이 담당하였고, 봉상청은 대발률국을 공격하는 등 안서도호부의 강역을 넓혔다.], 안사순은 [[삭방절도사]]의 관직을 그대로 맡았다. 752년에는 아포사[* 하사받은 이름은 이헌충.]가 모반하여 막북으로 돌아가자, 이임보의 추천으로 모반 진압을 맡았다. 아포사는 남하하였으나, 그해 9월 중, 서수항성 사이의 영청책 수비장 장원궤(張元軌)에게 저지당했다. 이듬해 5월, 아포사가 회흘에 의해 격파당하자, 안록산은 그 틈을 타 부락을 격파한 뒤, 아포사는 잔당들을 이끌고 [[서돌궐]]의 [[카를룩]] 부로 도망쳤다. 이에 안사순이 북정도호 [[정천리]]와 함께 아포사를 격파한다. 이후 아포사가 [[북정도호부]]에서 생포되자, 13년(754) 3월, 정천리에 의해 장안으로 압송되어 처형당하고 만다.[* 안사순은 그로 인해 삭방절도사를 연임할 수 있었다.] 755년에는 그의 아버지 안파주가 태자태사로 추증되나 동년 11월 9일 안록산이 간신 [[양국충]]을 [[안록산의 난|토벌한다는 명분으로 결국 반란을 일으키고]], 당시 삭방절도사로 있었던 안사순은 [[장안]]으로 소환되어 형부상서로 임명된다.[* 그러나 [[연좌제]]로 죽지는 않았다. 안록산이 난을 일으키기 전, 안록산이 반란의 낌새가 있다고 매번 고하였기 때문이다. 사촌인 안록산에 비해 충군의 개념이 있었던 사람이었다.] 이후 [[가서한]]이 처형당한 고선지, [[봉상청]]을 대신하여 [[동관]]을 지키고 있었던 와중 양국충이 안사순으로 하여금 가서한을 모함하게 하였는데, 가서한이 역으로 안사순이 역모를 꾸민다고 무고하여 그 동생 안원정과 함께 죽었다. 양국충이 안사순으로 하여금 가서한을 모함하게 하였지만 가서한이 이를 눈치채고 안록산의 필적을 모방해 안사순을 모함하여 체포한다. 이후 가서한은 안사순의 죄 7가지를 나열해 당 현종에게 안사순의 주살을 청하였고, 결국 756년 3월 안사순은 그 동생 안원정과 함께 죽은 뒤 그 일족들은 영외로 이주당하였으며, 천하가 그 죽음을 억울해하였다. 안사순의 죽음으로 인해 양국충은 가서한이 제2의 안록산이 될 것을 두려워하게 된다. == 사후 == 그러나 이후 안사순의 밑에 있었던 [[곽자의]]가 삭방군을 이끌고 [[안사의 난]]을 평정한 직후 누명을 벗길 것을 청하자, 누명을 벗을 수 있었다. == 기타 == * 사촌인 [[안록산]]과 마찬가지로 동료였던 [[가서한]]과는 사이가 좋지 않았다. * 역적이었던 안록산과는 달리[* 현종 시기 명재상 중 하나였던 [[장구령]]이 안록산의 야심을 간파했고, [[왕충사]]도 현종에게 안록산을 죽여야 한다고 간했으며, 비록 모함이었지만 당대의 간신이었던 [[양국충]]조차도 안록산이 모반할 것이라고 했으며 사촌이었던 안사순 본인도 안사순이 난을 일으킬 낌새가 보인다고 여러 차례 고하였다.], 당나라의 국경 방어에 주력하는 등[* 설눌의 휘하에서 토번을 방어한 데 이어 왕충사 실각 뒤 하서절도사에 있었고, 고선지가 하서절도사로 임명된 후에는 삭방절도사로서 국경 수비에 헌신했다.] 당나라의 충신이었다. * 안사순이 삭방절도사로 있던 시절, 안사의 난을 평정한 명장인 [[곽자의]]와 [[이광필]]이 그의 수하였다. [각주] [[분류:수당시대/인물]][[분류:당나라의 장수]][[분류:695년 출생]][[분류:756년 사망]][[분류:살해된 인물]][[분류: 이란계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