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white 고사성어}}}]]'''|| ||<:>{{{+5 '''[[安]]'''}}} ||||<:>{{{+5 '''[[分]]'''}}} ||||<:>{{{+5 '''[[知]]'''}}} ||||<:>{{{+5 '''[[足]]'''}}} || ||<:>편안할 안 ||||<:>나눌 분 ||||<:>알 지 ||||<:>넉넉할 족 || ||언어별 표기|| ||중국어|| āān fèn zhī zú || ||영어||Happiness is answering your calling.|| ||일본어||知足安分(ちそくあんぶん)|| [목차] == 뜻 == 편안한 마음으로 분수를 알고 넘치는 욕심을 내지 않으며 자신이 처한 처지를 파악하여 만족하며 살아간다. == 출전 == [[명심보감]] 안분편(安分篇), 남송 시대 명신이자 문인의 홍매(洪邁, 1123 ~ 1202)가 저술한 『용재수필容齋隨筆』에서 삼필 인당지족(三筆·人當知足), 797년에 출판된 일본 헤이안 시대의 승려 쿠카이(空海, 공해, 774 ~ 835)의 저서 3교 지귀(三教指帰) === 내용 === 명심보감 안분편 ||景行錄云 知足可樂 務貪則憂(경행록운 지족가락 무탐즉우)(생략)安分吟曰 安分身無辱 知機心自閑 雖居人世上 却是出人間(안분음왈 안분신무욕 지기심자한 수거인세상 각시출인간) <경행록>에 이르기를, "만족함을 알면 즐거울 것이요, 탐하기를 힘쓰면 곧 근심이 된다."(생략) <안분음>에 이르기를, "편안한 마음으로 제 분수를 지키면 몸에 욕됨이 없을 것이요, 세상의 돌아가는 형편을 잘 알면 마음이 절로 한가할 것이니, 비록 인간 세상에 살더라도 도리어 인간 세상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용재수필容齋隨筆』 삼필 인당지족(三筆·人當知足) ||其安分知足之意終身不渝(기안분지족지의종신불투) 편안한 마음으로 분수를 지키며 만족할 줄 앎에 뜻을 두고 평생토록 변심하지 아니해야 한다.|| 삼교지귀(三教指帰) 하편 ||乗知足意、捧鉢直征(승지족의, 봉발직정) 아는 것을 만족한다는 뜻을 안다면 가난하더라 풍족하다.|| == 창작물에서 == * 영화 [[기생충(영화)|기생충]]에 기택 가족의 반지하방에 걸려 있는 액자 속 가훈이 '안분지족(安分知足)'이다. * 드라마 [[이태원 클라쓰(드라마)|이태원 클라쓰]]에서 장회장이 오수아에게 시켜 가져간 축하화환에 '안분지족'이 쓰여 있다. 새로이에게 분수를 알라는 장회장의 디스 같은 것. == 기타 == * 부산 북구의 90년생 집단의 이름이기도 하다. *가난한 것이 안분지족이라고 생각하는 건 오해이다. 영화 유튜버 [[발없는새]]가 영화 [[기생충(영화)|기생충]] 스포일러 리뷰에서 "[[가난]]을 [[미화]]시키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돈]]이 없으면 우리가 살아가는데 [[기본]]이자 [[필수]]인 [[의식주]]조차 해결이 안 됩니다. '''만에 하나라도 가난한 사람이 더 행복해보인다면 그 이유는 딱 하나입니다. 그렇게라도 현실을 위로하고 부정해야 견딜 수 있기 때문입니다.'''"라는 [[일침]]으로 [[비판]]했다. [[https://youtu.be/PWG-tISodZ8?t=470|#]] == 유사 한자성어 == * [[만사태평]] * [[무사안일]] * [[무사태평]] * [[사능지족심상락 인도무구품자고]] * [[소욕지족]] * [[안빈낙도]] * [[유유자적]] * [[청빈낙도]] == 같이보기 == *[[각자무치]] * [[금욕]] * [[금욕주의]] *[[돈]] * [[무소유]] * [[분수#태도|분수]] * [[사토리 세대]] * [[에피쿠로스]] * [[에피쿠로스 학파]] * [[자포자기]] * [[적당주의]] * [[중용]] * [[타협]] * [[포기하면 편해]] *[[황금 티켓 증후군]] [[분류:고사성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