安炅郁 [[1963년]] [[12월 21일]] ~ ([age(1963-12-21)]세)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사회운동가 출신 [[정치인]]이다. == 생애 == [[1963년]] [[12월 21일]] [[경상북도]] [[예천군]] [[풍양면(예천)|풍양면]]에서 [[http://www.yc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93|태어났다]]. 이후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시]](現 [[대구광역시]])로 이주해 성장기를 보냈다. 1976년 [[대구수창초등학교]], 1979년 [[성광중학교]], 1983년 [[대구상원고등학교|대구상업고등학교]](54회, 現 [[대구상원고등학교]]), 1989년 [[계명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2000년 [[경북대학교/대학원|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도시행정 전공으로 [[행정학]] [[석사]] 학위[*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8114445|재개발사업에 의한 주거환경개선사업의 문제점 : 대구지역 주거환경개선사업 실시지역 중 철거반대운동이 발생했던 지역을 중심으로]](2000).]를 취득했다. 이후 2013년 6월 [[계명대학교/대학원|계명대학교 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 학위[* 박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13272279|지역특성에 따른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분석 : 대구·경북과 광주·전남을 중심으로]](2013. 6).]를 취득했다. 계명대학교 재학 시절 민족문화연구회 '녹두' 회장을 맡은 바 있고, 학생 민주화 추진위원장을 지냈다. 계명대학교 졸업 후에는 [[남선알미늄]]에 취직해 노동조합위원장을 지내며 노동운동에 투신했으나, 해고당했다. 이후 동산양말에 취직해 노동조합위원장에 취임했으나 역시 해고당했다. 이후 [[고성동]] 미불하 주민 철거대책위원장, 대구 민중진영 단일정당 추진위원회 위원장 등을 지내며 사회운동에 종사하기도 했다. 1992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대구광역시 [[북구(대구광역시)|북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자유당]] [[김용태(1936)|김용태]]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재개발문제연구소 소장, 신암 평생교육원 교사, [[우루과이 라운드]] 농산물 수입개방 저지를 위한 대구·경북 대책위원회 위원, 고성아파트 주민대책위원장, 전국철거민연합 대구준비위원장, 교육개혁을 위한 대구·경북 범시민 연대회의 위원 등을 역임했고, 진보저널 기자 겸 대구·경북지사장을 역임하며 [[언론인]]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제2대 [[대구광역시의회]] [[지방의회의원|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임기 동안에 환경 소위원장, 교통개선기획단 자문위원을 겸임했고, 대구사회연구소와 대구참여연대로부터 최우수 베스트시의원에 선정되기도 했다. 이후 [[이의익]]의 국회의원직 사퇴([[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구광역시장]] 출마)로 치러진 [[1998년 재보궐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대구광역시 [[북구 갑(대구)|북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박승국]]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같은 해 치러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대구광역시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했으나 한나라당 백명희 후보에 밀려 낙선했다. 이후 선경안전산업공사 대표이사, 대구참여연대 실행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장애우 권익문제 연구소 이사 및 감사, 새대구 경북시민회의 정책기획위원, 아파트 생활문화연구소 집행위원장, 국민정치연구회 대구경북지역본부 지방자치위원장 등을 지냈다. 한편, [[새정치국민회의]]에 입당해 중앙당 개혁위원을 역임하다가, 2000년 [[새천년민주당]]으로 확대 개편되자 당적을 옮겼다. 같은 해 치러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북구 갑(대구)|대구광역시 북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박승국]]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열린우리당]]에 입당해 대구광역시당 지방자치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고, 한·중 경제문화교류원 이사장, 정신대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 대표를 지냈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대구광역시 북구 갑 선거구에 출마했다가 후보를 사퇴했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92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북구(대구광역시)|대구 북구]]) ||<|4> [include(틀:무소속)] || 6,333표 (4.93%) || 낙선 (6위) || || || 1995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구광역시의회]] 의원) || '''13,209표 (40.04%)''' || '''당선 (1위)''' || '''초선''' || ||<|2> 1998 || [[1998년 재보궐선거]] || 9,114표 (18.63%) || 낙선 (3위) ||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구광역시의회 의원) || 12,929표 (43.50%) || 낙선 (2위) ||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북구 갑(대구)|대구 북구 갑]])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11,661표 (15.95%) || 낙선 (3위) ||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북구 갑(대구)|대구 북구 갑]]) || [include(틀:무소속)] ||<-2> 후보 사퇴 || ||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언론인]][[분류:1963년 출생]][[분류:노동운동가]][[분류:예천군 출신 인물]][[분류:사회운동가 출신 정치인]][[분류:대구상원고등학교 출신]][[분류:계명대학교 출신]][[분류:경북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계명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순흥 안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