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3 [[安]]}}}''' '''{{{+3 [[姜]]/康}}}''' '''{{{+3 [[崔]]}}}''' 고집이 세다는 성씨. 차례로 안씨, 강씨, 최씨이며 앞에 나올수록 강하다는 말이 있는가하면 '안강최'라는 말은 안씨, 강씨, 최씨를 말하는게 아니라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안강읍]] 최씨'를 뜻한다는 말도있다. 그렇게 되면 안강최(安姜崔)가 아니라 안강최(安康崔)이다. == 유래 == === 안씨 === [[조선]] [[세조(조선)|세조]] 시대 [[순흥 안씨]] 가문이 충절을 지키다가 멸문지화를 당한 것에서 유래되었다는 말이 있다. [[조선]] [[이방원|태종]]의 [[후궁]] [[선빈 안씨]], 그리고 [[이홍위|단종]]을 끝까지 추종하여 가문의 온 일원들이 학살되고 최고의 명문가에서 [[천민]]으로 전락된 [[순흥 안씨]] 집안의 멸문지화에서 유래되었다. [[이홍위|단종]] 복위와 관련된 [[https://ko.m.wikipedia.org/wiki/정축지변|정축지변]]이 대표적이다. 또 [[기묘사화]]에 이은 신사무옥에서 안당과 그의 아들 안처겸이 처형당했으며, [[을사사화]] 때는 안명세가 참화를 당했다. 그중 가장 큰 화는 [[단종(조선)|단종]] 복위 사건과 관련된 정축지변인데, 당시 순흥에 유배되어 왔던 [[금성대군]](세조의 동생)이 [[영월]]에 유배되어 있는 단종과 연계하여 복위를 꾀하려다 발각된 사건이다. 이 사건으로 단종과 금성대군이 죽임을 당하고, [[순흥도호부]]에 세거하고 있던 700명에 달하는 [[순흥 안씨]]가 멸문지화를 당하여 전국 뿔뿔이 흩어지게 되었다. 이렇게 [[조선시대]]에는 정치적으로 낙인이 찍혀버려 크게 활약한 인물이 별로 없지만, [[대한제국]]이 망해버린 뒤 [[독립운동가]]들 중에는 안씨의 비율이 상당히 높다. --반골기질-- === 강씨 === [[고려]] 말의 충신 강회중에게서 유래했다고 하는데, 그는 [[고려]]의 유신으로 [[조선]]의 [[이성계|태조]]가 여러차례 벼슬을 권하였으나, 끝내 물리치고 [[고려]]에 대한 의리를 지킨 것에서 그 [[애국]]의 [[마음]]과 기개가 사람들에게 강씨고집이라는 이름으로 남게 되었다고 한다. 그렇지만 조선 건국 후 이색과 난을 꾀하였다는 죄로 유배를 당했다. 1398년 10월 태조 집권기에 좌우사간대부(左右司諫大夫)가 되었다. 1418년(태종 18) 경기도관찰사와 성부유후(開城府留後), 인수부윤(仁壽府尹)을 역임하였고, 다음해 한성부윤(漢城)과 공조참판(工曹參判), 충청도관찰사를 지냈다. 1421년(세종 3) 4월 4일 총제(摠制)로 재직 중 사망하였다. 결론적으로 위의 이야기는 세간의 말일뿐. ----속설 별로 믿을게 없다. 다 주장을 하고 갖다붙이기식 일 뿐이다.---- === 최씨 === 고려 말의 충신 [[최영]] 장군에서 유래했다는 것이 정설이다. 실제로 [[최영]]의 고집은 대단했다고 한다. 현재 이들의 직계 후손은 [[동주 최씨]](東州 崔氏) 이다.[* 허나 신라계 최씨라고 하여 경주(월성), 해주(대녕), 삭영(삭녕)과 같이 본이 다를지라도 동주 최씨와 동조동근 관계인 성씨가 존재한다.] == 관련 표현 == >'''산 김씨 3명이 죽은 최씨 1명을 못 이기고[* 실제로 수성 최씨의 시조는 원래 김씨였다.즉 최씨랑은 관련이 없다.], 최씨 셋이 모여도 강씨 1명을 못 당하고, 강씨 셋이 모여도 안씨 앉은 자리를 못 넘본다.''' - 갈수록 3배씩 강해지는 걸 알 수 있다. >'''최씨 앉은 자리엔 풀도 안 난다.''' - [[최영]] 장군의 유언에서 파생된 말인 듯하다. >'''최씨는 [[코렁탕|코로 고춧가루물 한 주전자 마시고]] 물 밑으로 십리를 헤엄친다.''' >'''안씨 뿔이 하나, 강씨는 2개, 최씨는 3개. 최뿔따구 강고집.''' - 각 성의 한자(安, 姜, 崔)에서 유래한 표현. 뿔이 많을수록 강하다, 뿔이 많으면 하수다 2가지 해석이 있다. == 여담 == '그러나 그 최씨도 0씨는[* 한, 권 등등, 황소고집 황씨, 손씨는 내장이 쏟아져도 들고 십리를 간다는 등] 못 당한다.', '숨은 고집 어디 0씨에겐 최씨도 울고간다.'는 식으로 어떤 사람의 고집을 표현할 때 밑밥이 되기도 한다. 변(卞)씨도 고집 심하다는 얘기가 있다. 실제로 변씨 어르신들은 "고집이 세야 우리 변씨 집안이다!"라고 당당하게 얘기할 정도. --하지만 알아주는 사람이 없다.-- [[최진실]]과 [[변진섭]]이 연애하던 당시, 한 예능프로에서 사회자가 "최씨 고집을 어찌 이기고 사실려고..."라고 하자 최진실이 "변씨 고집에 비하겠어요~"라고 했다는 얘기도 있다. [[분류:성씨/한국]][[분류:도시전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