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fff '''애니메이션 진격의 거인 엔딩 테마'''}}} || || [[충격(노래)|충격]] [br](더 파이널 1쿨) || → || [[악마의 아이]] [br](더 파이널 2쿨) || → || [[いってらっしゃい]] [br](더 파이널 완결편 회차판) || ||<-2><#191970> '''진격의 거인 더 파이널 시즌 2쿨 엔딩 테마[br]{{{+1 悪魔の子}}}[br]악마의 아이'''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악마의 아이 커버.png|width=100%]]}}}|| ||<-2><#191970> '''공식 뮤직비디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9lnh--ZOPyo, width=400, height=220)]}}} || || '''발매일''' ||[[파일:일본 국기.svg|width=28]] [[2022년]] [[1월 10일]] || || '''녹음일''' ||[[2021년]] || || '''수록 앨범''' ||악마의 아이 || || '''장르''' || || || '''작사/작곡''' ||히구치 아이(ヒグチアイ) || || '''편곡''' ||카네모토 슈(兼松衆) || || '''노래''' ||히구치 아이(ヒグチアイ) || || '''러닝 타임''' ||1:31 (TV 방영)[br]3:48 (싱글) || || '''레이블''' ||[[파일:포니캐년 로고.svg|width=20]] [[포니캐년]] || ||<-2> '''[[노래방 수록 목록|{{{#fff,#ddd 노래방 수록 정보}}}]]''' || || [[금영엔터테인먼트|[[파일:금영엔터테인먼트 심볼.svg|height=21]]]] ||44755 || || [[TJ미디어|[[파일:TJ미디어 심볼.svg|height=21]]]] ||68571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언어별 명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영어''' ||A Child of Evil || || '''독일어''' || || || '''중국어''' || || || '''일본어 독음''' ||'''Akuma no Ko''' || }}}}}}}}}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ren Yeager 悪魔の子.png|width=100%]]}}}|| 애니메이션 [[진격의 거인 The Final Season]] Part 2 엔딩으로, 히구치 아이가 담당하였다. == 상세 == === 곡의 구조 === 엔딩 가수인 히구치 아이의 [[https://twitter.com/higuchiai/status/1492897089885392897?s=21|트윗]]에 의하면 TVA 방영 기준 81화에서 [[니콜로(진격의 거인)|니콜로]]가 모두의 안에 악마가 있다고 말하는 장면을 보고 노래로 만들고 싶어서 만든 곡이라고. 영상 후반부에 각 시즌의 주요 장소인 트로스트 구(시즌 1), 우트가르드 성(시즌 2), 왕궁 내부(시즌 3 1쿨), 스토헤스 구(시즌 1 2쿨)의 모습이 지나가는데, [[파라디 섬]]이 멸망한 후의 모습으로 보인다. 다만 원작에서는 파라디 섬이 멸망한 시점은 작품의 시점보다 한참 후라서 21세기처럼 고층빌딩이 늘어서 있는데 이 모습에서는 그렇지 않다. 이것을 애니에서 원작과 다른 오리지널 엔딩이 나온다는 추측과[* 주로 나오는 주장은 [[엘런 예거|엘런]]이 땅울림을 성공하여 바깥 인류가 멸망하고 파라디 섬의 사람들이 바깥으로 나가서 살면서 파라디 섬이 방치되었다는 설이다], 그저 파라디가 멸망했다는 사실을 표현했을 뿐이라는 추측이 양립했다. 결과적으로 엔딩은 원작과 큰 틀은 동일하되 세부 묘사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옴으로서, 해당 엔딩 영상은 어디까지나 제작진의 창작에 불과했던 것으로 결론났다. 다만 무언가 if 루트를 상상하고 만든 것일지도 모른다는 추측은 존재한다. || '''영상 후반부 등장 장소''' || '''이전 모습''' || '''영상 모습''' || ||<:>[[방벽(진격의 거인)|방벽]] [[월 로제]] 트로스트 구 ||<:> [[파일:Old Trost image 1.jpg|height=120]] ||<:> [[파일:New Trost image 1.jpg|height=120]] || ||<:>[[방벽(진격의 거인)|방벽]] [[월 로제]] 우트가르드 성 ||<:> [[파일:Old Utgard Castle image 1.jpg|height=120]] ||<:> [[파일:New Utgard Castle image 1.jpg|height=120]] || ||<:>[[방벽(진격의 거인)|방벽]] [[월 시나]] 왕도 미트라스 ||<:> [[파일:Old Palace image 1.jpg|height=120]] ||<:> [[파일:New Palace image 1.jpg|height=120]] || ||<:>[[방벽(진격의 거인)|방벽]] [[월 시나]] 스토헤스 구 ||<:> [[파일:Old Stohess District image 1.png|height=120]] ||<:> [[파일:New Stohess District image 1.jpg|height=120]] || === TV판 등장 인물과 등장 장소 === TV판 영상에 등장하는 인물과 장소는 아래에 있다. || '''영상 시간''' || '''영상 등장인물''' || '''영상 등장 장소''' || ||<:>0:00 ~ 0:50 ||<:> [[엘런 예거]] ||<:> [[방벽(진격의 거인)|방벽]] || ||<:>0:51 ~ 1:01 ||<:> [[엘런 예거]] ||<:> 무너진 [[방벽(진격의 거인)|방벽]] || ||<:>1:02 ~ 1:03 ||<:> ||<:> [[방벽(진격의 거인)|방벽]] [[월 로제]] 트로스트 구 || ||<:>1:04 ~ 1:06 ||<:> ||<:> [[방벽(진격의 거인)|방벽]] [[월 로제]] 우트가르드 성 || ||<:>1:07 ~ 1:08 ||<:> ||<:> [[방벽(진격의 거인)|방벽]] [[월 시나]] 왕도 미트라스 || ||<:>1:09 ~ 1:11 ||<:> ||<:> [[방벽(진격의 거인)|방벽]] [[월 시나]] 스토헤스 구 || ||<:>1:12 ~ 1:31 ||<:> [[엘런 예거]] ||<:> 무너진 [[방벽(진격의 거인)|방벽]] || == 가사 == === TVA Ver. === ||<#191970>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9lnh--ZOPyo)]}}} || ||<#191970> {{{+1 {{{#ffdf3e '''ED 【悪魔の子】''' }}}}}} || ||<#ffffff,#1f2023> {{{#3871a6 [ruby(鉄, ruby=てつ)]の[ruby(弾, ruby=たま)]が [ruby(正, ruby=せい)][ruby(義, ruby=ぎ)]の[ruby(証, ruby=しょう)][ruby(明, ruby=めい)] 테츠노 타마가 세이기노 쇼오메이 철의 탄환이 정의의 증명 [ruby(貫, ruby=つらぬ)]けば [ruby(英, ruby=えい)][ruby(雄, ruby=ゆう)]に[ruby(近, ruby=ちか)]づいた 츠라누케바 에이유우니 치카즈이타 꿰뚫으면 영웅에 가까워졌어 その[ruby(目, ruby=め)]を[ruby(閉, ruby=と)]じて [ruby(触, ruby=ふ)]れてみれば 소노 메오 토지테 후레테 미레바 그 눈을 감고 만져 본다면 [ruby(同, ruby=おな)]じ[ruby(形, ruby=かたち)] [ruby(同, ruby=おな)]じ[ruby(体, ruby=たい)][ruby(温, ruby=おん)]の[ruby(悪, ruby=あく)][ruby(魔, ruby=ま)] 오나지 카타치 오나지 타이온노 아쿠마 [[인간|{{{#191970 같은 모양 같은 체온의 악마}}}]] [ruby(僕, ruby=ぼく)]はダメで あいつはいいの? 보쿠와 다메데 아이츠와 이이노 [[엘런 예거|{{{#191970 나}}}]]는 안 되는데 [[라이너 브라운|{{{#191970 저 녀석}}}]]은 돼? そこに[ruby(壁, ruby=かべ)]があっただけなのに 소코니 카베가 앗타다케나노니 그곳에 [[방벽(진격의 거인)|{{{#191970 벽}}}]]이 있었을 뿐인데 [ruby(生, ruby=う)]まれてしまった[ruby(運命,ruby=さだめ)] [ruby(嘆, ruby=なげ)]くな 우마레테시맛타 사다메 나게쿠나 태어나 버린 운명에 한탄하지 마 [ruby(僕, ruby=ぼく)]らはみんな [ruby(自, ruby=じ)][ruby(由, ruby=ゆう)]なんだから 보쿠라와 민나 지유우난다카라 우리는 모두 자유니까 [ruby(鳥, ruby=とり)]のように [ruby(羽, ruby=はね)]があれば 토리노요오니 하네가 아레바 새처럼 날개가 있다면 どこへだって[ruby(行, ruby=ゆ)]けるけど 도코에닷테 유케루케도 어디든지 갈 수 있지만 [ruby(帰, ruby=かえ)]る[ruby(場, ruby=ば)][ruby(所, ruby=しょ)]が なければ 카에루바쇼가 나케레바 [[파라디 섬|{{{#191970 돌아갈 곳}}}]]이 없다면 きっとどこへも[ruby(行, ruby=ゆ)]けない 킷토 도코에모 유케나이 분명히 어디로도 갈 수 없어 ただただ[ruby(生, ruby=い)]きるのは[ruby(嫌, ruby=いや)]だ 타다타다 이키루노와 이야다 그저 살아가는 건 싫어 [ruby(世, ruby=せ)][ruby(界, ruby=かい)]は[ruby(残, ruby=ざん)][ruby(酷, ruby=こく)]だ それでも[ruby(君, ruby=きみ)]を[ruby(愛, ruby=あい)]すよ 세카이와 장코쿠다 소레데모 키미오 아이스요 [[아름답고도 잔혹한 세계|{{{#191970 세상은 잔혹해}}}]] 그럼에도 [[미카사 아커만|{{{#191970 너}}}]]를 사랑할게 なにを[ruby(犠, ruby=ぎ)][ruby(牲, ruby=せい)]にしても それでも[ruby(君, ruby=きみ)]を[ruby(守, ruby=まも)]るよ 나니오 기세이니 시테모 소레데모 키미오 마모루요 무엇을 [[땅울림|{{{#191970 희생}}}]]하든 그럼에도 [[미카사 아커만|{{{#191970 너}}}]]를 지킬게 [ruby(間, ruby=ま)][ruby(違, ruby=ちが)]いだとしても [ruby(疑, ruby=うたが)]ったりしない 마치가이다토 시테모 우타갓타리 시나이 [[땅울림|{{{#191970 실수}}}]]라고 해도 의심하지 않아[* 영상에서 에렌이 꽃을 짓밟는 것이 땅울림의 은유로 보인다.] [ruby(正, ruby=ただ)]しさとは [ruby(自, ruby=じ)][ruby(分, ruby=ぶん)]のこと [ruby(強, ruby=つよ)]く[ruby(信, ruby=しん)]じることだ 타다시사토와 지분노 코토 츠요쿠 신지루 코토다 올바름이란 자신을 강하게 믿는 거야 }}} || === Full Ver.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N4F3bjlL_H4)]}}} || || {{{#ffdf3e '''Full Ver.'''}}}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WPl10ZrhCtk)]}}} || || {{{#ffdf3e '''공식 AMV'''}}} || ||<#ffffff,#1f2023> {{{#3871a6 [ruby(鉄, ruby=てつ)]の[ruby(弾, ruby=たま)]が [ruby(正, ruby=せい)][ruby(義, ruby=ぎ)]の[ruby(証, ruby=しょう)][ruby(明, ruby=めい)] 테츠노 타마가 세이기노 쇼오메이 철의 탄환이 정의의 증명 [ruby(貫, ruby=つらぬ)]けば [ruby(英, ruby=えい)][ruby(雄, ruby=ゆう)]に[ruby(近, ruby=ちか)]づいた 츠라누케바 에이유우니 치카즈이타 꿰뚫으면 영웅에 가까워졌어 その[ruby(目, ruby=め)]を[ruby(閉, ruby=と)]じて [ruby(触, ruby=ふ)]れてみれば 소노 메오 토지테 후레테 미레바 그 눈을 감고 만져 본다면 [ruby(同, ruby=おな)]じ[ruby(形, ruby=かたち)] [ruby(同, ruby=おな)]じ[ruby(体, ruby=たい)][ruby(温, ruby=おん)]の[ruby(悪, ruby=あく)][ruby(魔, ruby=ま)] 오나지 카타치 오나지 타이온노 아쿠마 [[사람|{{{#191970 같은 모양 같은 체온의 악마}}}]] [ruby(僕, ruby=ぼく)]はダメで あいつはいいの? 보쿠와 다메데 아이츠와 이이노 나는 안 되고 저 녀석은 돼? そこに[ruby(壁, ruby=かべ)]があっただけなのに 소코니 카베가 앗타다케나노니 그곳에 [[방벽(진격의 거인)|{{{#191970 벽}}}]]이 있었을 뿐인데 [ruby(生, ruby=う)]まれてしまった[ruby(運命,ruby=さだめ)] [ruby(嘆, ruby=なげ)]くな 우마레테시맛타 사다메 나게쿠나 태어나 버린 운명에 한탄하지 마 [ruby(僕, ruby=ぼく)]らはみんな [ruby(自, ruby=じ)][ruby(由, ruby=ゆう)]なんだから 보쿠라와 민나 지유우난다카라 우리는 모두 자유니까 [ruby(鳥, ruby=とり)]のように [ruby(羽, ruby=はね)]があれば 토리노 요오니 하네가 아레바 새처럼 날개가 있다면 どこへだって[ruby(行, ruby=ゆ)]けるけど 도코에닷테 유케루케도 [[자유|{{{#191970 어디든지 갈 수 있지만}}}]] [ruby(帰, ruby=かえ)]る[ruby(場, ruby=ば)][ruby(所, ruby=しょ)]が なければ 카에루 바쇼가 나케레바 돌아갈 곳이 없다면 きっとどこへも[ruby(行, ruby=ゆ)]けない 킷토 도코에모 유케나이 분명히 어디로도 갈 수 없어 ただただ[ruby(生, ruby=い)]きるのは[ruby(嫌, ruby=いや)]だ 타다타다 이키루노와 이야다 그저 살아가는 건 싫어 [ruby(世, ruby=せ)][ruby(界, ruby=かい)]は[ruby(残, ruby=ざん)][ruby(酷, ruby=こく)]だ それでも[ruby(君, ruby=きみ)]を[ruby(愛, ruby=あい)]すよ 세카이와 장코쿠다 소레데모 키미오 아이스요 [[아름답고도 잔혹한 세계|{{{#191970 세상은 잔혹해}}}]] 그럼에도 [[미카사 아커만|{{{#191970 너}}}]]를 사랑할게 なにを[ruby(犠, ruby=ぎ)][ruby(牲, ruby=せい)]にしても それでも[ruby(君, ruby=きみ)]を[ruby(守, ruby=まも)]るよ 나니오 기세이니 시테모 소레데모 키미오 마모루요 무엇을 희생하든 그럼에도 [[미카사 아커만|{{{#191970 너}}}]]를 지킬게 [ruby(間, ruby=ま)][ruby(違, ruby=ちが)]いだとしても [ruby(疑, ruby=うたが)]ったりしない 마치가이다토 시테모 우타갓타리 시나이 [[땅울림|{{{#191970 실수}}}]]라고 해도 의심하지 않아 [ruby(正, ruby=ただ)]しさとは [ruby(自, ruby=じ)][ruby(分, ruby=ぶん)]のこと [ruby(強, ruby=つよ)]く[ruby(信, ruby=しん)]じることだ 타다시사토와 지분노 코토 츠요쿠 신지루 코토다 올바름이란 자신을 강하게 믿는 거야 [ruby(鉄, ruby=てつ)]の[ruby(雨, ruby=あめ)]が [ruby(降, ruby=ふ)]り[ruby(散, ruby=ち)]る[ruby(情, ruby=じょう)][ruby(景, ruby=けい)] 테츠노 아메가 후리치루 죠오케이 철의 비가 내리는 정경 テレビの[ruby(中, ruby=なか)] [ruby(映, ruby=えい)][ruby(画, ruby=が)]に[ruby(見, ruby=み)]えたんだ 테레비노 나카 에이가니 미에탄다 텔레비전 속 영화로 보였어 [ruby(戦, ruby=せん)][ruby(争, ruby=そう)]なんて [ruby(愚, ruby=おろ)]かな[ruby(凶, ruby=きょう)][ruby(暴, ruby=ぼう)] 센소오난테 오로카나 쿄오보 전쟁 따위 어리석은 흉포 [ruby(関, ruby=かん)][ruby(係, ruby=けい)]ない[ruby(知, ruby=し)]らない [ruby(国, ruby=くに)]の[ruby(話, ruby=はなし)] 칸케이나이 시라나이 쿠니노 하나시 관계없는 모르는 나라의 [[진격의 거인|{{{#191970 이야기}}}]] それならなんで あいつ[ruby(憎, ruby=にく)]んで 소레나라 난데 아이츠 니쿤데 그렇다면 왜 저 녀석을 미워하고 [ruby(黒, ruby=くろ)]い[ruby(気, ruby=き)][ruby(持, ruby=も)]ち [ruby(隠, ruby=かく)]しきれない[ruby(理, ruby=り)][ruby(由, ruby=ゆう)] 쿠로이 기모치 카쿠시 키레나이 와케 검은 감정을 숨길 수 없는 이유를 [ruby(説, ruby=せつ)][ruby(明, ruby=めい)]だって できやしないんだ? 세츠메이닷테 데키야시나인다? 설명도 할 수 없지? [ruby(僕, ruby=ぼく)]らはなんで [ruby(矛, ruby=む)][ruby(盾, ruby=じゅん)]ばっかなんだ 보쿠라와 난데 무쥰 밧카난다 우리는 왜 [[모순|{{{#191970 모순}}}]]뿐일까 この[ruby(言, ruby=こと)][ruby(葉, ruby=ば)]も [ruby(訳, ruby=やく)]されれば 코노 코토바모 야쿠사레레바 이 말도 번역되면 [ruby(本, ruby=ほん)][ruby(当, ruby=とう)]の[ruby(意, ruby=い)][ruby(味, ruby=み)]は [ruby(伝, ruby=つた)]わらない 혼토노 이미와 츠타와라나이 진정한 의미는 전해지지 않아 [ruby(信, ruby=しん)]じるのは その[ruby(目, ruby=め)]を[ruby(開, ruby=ひら)]いて 신지루노와 소노 메오 히라이테 믿는 건 그 눈을 열고 [ruby(触, ruby=ふ)]れた [ruby(世, ruby=せ)][ruby(界, ruby=かい)]だけ 후레타 세카이다케 닿은 세계뿐 ただただ[ruby(生, ruby=い)]きるのは[ruby(嫌, ruby=いや)]だ 타다타다 이키루노와 이야다 그저 살아가는 건 싫어 [ruby(世, ruby=せ)][ruby(界, ruby=かい)]は[ruby(残, ruby=ざん)][ruby(酷, ruby=こく)]だ それでも[ruby(君, ruby=きみ)]を[ruby(愛, ruby=あい)]すよ 세카이와 장코쿠다 소레데모 키미오 아이스요 [[아름답고도 잔혹한 세계|{{{#191970 세상은 잔혹해}}}]] 그럼에도 [[미카사 아커만|{{{#191970 너}}}]]를 사랑할게 なにを[ruby(犠, ruby=ぎ)][ruby(牲, ruby=せい)]にしても それでも[ruby(君, ruby=きみ)]を[ruby(守, ruby=まも)]るよ 나니오 기세이니 시테모 소레데모 키미오 마모루요 무엇을 희생하든 그럼에도 [[미카사 아커만|{{{#191970 너}}}]]를 지킬게 [ruby(選, ruby=えら)]んだ[ruby(人, ruby=ひと)]の[ruby(影, ruby=かげ)] [ruby(捨, ruby=す)]てたものの[ruby(屍, ruby=しかばね)] 에란다 히토노 카게 스테타 모노노 시카바네 선택한 사람의 [[땅울림|{{{#191970 그림자}}}]], 버린 것의 시체 [ruby(気, ruby=き)]づいたんだ [ruby(自, ruby=じ)][ruby(分, ruby=ぶん)]の[ruby(中, ruby=なか)] 키즈이탄다 지분노 나카 깨달았어 자신의 안에 [ruby(育, ruby=そだ)]つのは [ruby(悪, ruby=あく)][ruby(魔, ruby=ま)]の[ruby(子, ruby=こ)] 소다츠노와 아쿠마노 코 자라는 건 [[대지의 악마|{{{#191970 악마}}}]]의 아이 [ruby(正, ruby=せい)][ruby(義, ruby=ぎ)]の[ruby(裏, ruby=うら)] [ruby(犠, ruby=ぎ)][ruby(牲, ruby=せい)]の[ruby(中, ruby=なか)] 세이기노 우라 기세이노 나카 정의의 뒤 [[땅울림|{{{#191970 희생}}}]] 속 [ruby(心, ruby=こころ)]には [ruby(悪, ruby=あく)][ruby(魔, ruby=ま)]の[ruby(子, ruby=こ)] 코코로니와 아쿠마노 코 마음에는 [[대지의 악마|{{{#191970 악마}}}]]의 아이 }}} || == 라이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eLBhEn8PwA8)]}}} || || {{{#ffdf3e '''Live at EX THEATER ROPPONGI'''}}}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bOLYBRRpRsU)]}}} || || {{{#ffdf3e '''[[THE FIRST TAKE]]'''}}} || == 기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fMgPOhjdUOQ)]}}} || ||<#191970> {{{#ffdf3e '''새하얀 대지(まっさらな大地)''' }}} || 새하얀 대지(まっさらな大地)라는 곡이 같이 수록되어 있는데 히구치 아이가 원작의 종말의 밤 편을 보고 영향을 받아 만든 곡이라고 한다. 4기 2쿨은 에렌의 얼굴을 보여주고 엔딩이 나오는 화가 꽤 많은 편인데, 현재시점의 에렌과 어린시절의 에렌이 대조되는 효과도 있다. 히구치 아이 본인에 의하면 1절의 자신을 굳게 믿는 것이 올바르다는 가사와 2절의 왜 이렇게 모순투성이냐는 가사는 에렌의 심리를 표현한 것으로, 마지막 부분의 ‘선택한 사람의 그림자, 포기한 사람의 시체’로 끝맺는 구조이다. 즉 섬의 생존을 위해서 인류 대학살만이 유일한 수단이자 정당한 행위라고 생각했지만 결국 자기중심적인 행위였음을 깨닫고, 사랑한 사람도 떠나보내고 자신이 가져온 파괴를 관조하는 모습을 가사에 드러낸 것이다. == 관련 문서 == *[[아름답고도 잔혹한 세계]] *[[いってらっしゃい]] *[[great escape]] *[[황혼의 새]] *[[새벽의 진혼가]] *[[Name of Love]] *[[팔코 글라이스]] *[[유미르 프리츠]] *[[엘런 예거]] *[[나의 전쟁]] *[[미카사 아커만]] *[[땅울림]] *[[104기 훈련병단]] [[분류:일본 노래]][[분류:2022년 노래]][[분류:진격의 거인/주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