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21년 재건국된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rd1=아프가니스탄)] [include(틀:아프가니스탄의 역사)] ||<-3><:> {{{+1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br]{{{+1 '''د افغانستان اسلامي امارات'''}}}[br]''Islamic Emirate of Afghanistan''|| ||<:><-2><#f5f5f5> [[파일:탈레반 기(1996~2021).svg|width=75%]] ||<:><#f5f5f5>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국장.svg|width=70%]]|| ||<:><-2> '''국기'''[* 국기에 쓰여진 문장은 [[샤하다|알라 이외의 신은 없으며 무함마드는 그의 사도이다]]. [[사우디아라비아]]의 국기에도 같은 문장이 들어가 있다.] ||<:> '''문장'''|| ||<-3><:>'''لا إله إلا الله محمد رسول الله'''[* ''Lā ʿilāha ʿillā l-Lāh, Muḥammadun rasūlu l-Lāh''][br]'''알라 이외의 신은 없으며 무함마드는 그의 사도이다'''|| ||<-3><:>'''위치'''[* 녹색 지역이 탈레반이 장악한 지역이다.] || ||<-3><:>[[파일:탈레반 장악 지역.png|width=250]]|| ||<-3><:>'''[[1996년|{{{#000 1996}}}]] ~ [[2001년|{{{#000 2001}}}]]''' || ||<-2> {{{#000000 '''성립 이전'''}}} || {{{#000000 '''멸망 이후'''}}} || ||<-2><#008000>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gold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 ||<#000000>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fff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수도(행정구역)|{{{#000 수도}}}]]''' ||<-2>[[카불]] (공식)[br][[칸다하르]] (사실상)|| ||<:>'''정치 체제''' ||<-2>[[단일국가]], [[이슬람]] [[신정제]] || ||<:>'''[[아미르]]'''||<-2>[[모하마드 오마르]] || ||<:>'''언어'''||<-2>[[파슈토어]], [[다리어]], [[우르두어]]|| ||<:>'''종교'''||<-2>[[이슬람]] [[수니파]] [[하나피파]] 내 데오반드파 || ||<:>'''민족'''||<-2>[[파슈툰족]], [[타지크인]], [[우즈베크인]]|| ||<:>'''현재 국가'''||<-2>[include(틀:국기, 국명=아프가니스탄)]|| [목차] [clearfix] == 개요 == 1996년, [[아프가니스탄]] 내전에서 주도권을 잡은 [[탈레반]]이 세운 국가. 흔히 탈레반 정권으로 부르며, [[아프가니스탄]] 국토의 대부분[* [[판지시르|판지시르 주]]를 포함한 아프가니스탄 동북부 지역 제외.]을 차지하였다. 이 문서에서는 1996년부터 2001년까지 존재했던 국가인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을 설명한다. == 사회 == 정권을 장악한 탈레반은 엄격한 [[샤리아|이슬람 율법]]에 입각한 극단적인 [[이슬람 근본주의]] 독재 정치를 시작했다. '이슬람의 목소리' 라고 명명된 프로파간다 라디오 방송 하나를 제외한 아프간의 모든 종류의 [[방송]]과 [[나쉬드]]를 제외한 [[음악]], [[영화]]를 금지하였고, 여성의 [[부르카]] 착용, 외출시 남성 가족동반을 의무화하였다. 또한 [[음주]], [[흡연]], [[면도]]도 금지하였으며, [[연날리기]]나 부즈카시 같은 아프간의 전통놀이도 이슬람 율법에 어긋난다며 배척하였다. 이들은 집권기 동안 [[바미안 석불]]을 포함한 문화재 파괴에 수많은 민간인 학살, 여성박해, 절도범에 대한 가혹한 손목절단형, 탈레반 반대자나 [[샤리아]]법 위반자에 대한 잔인한 [[총살]]형과 [[학살]] 등으로 거의 전 아프가니스탄을 공포로 몰아갔다. == 군사 == [[https://m.blog.naver.com/sundin13/222122584486|탈레반 공군의 역사]] 터번에 전통복만 고집할 것이란 고정관념과 달리 제복도 착용하긴 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war&no=1950229|#]] [[https://www.youtube.com/watch?v=JPG3qS7tSQs|#]] == 아프가니스탄 내전 == [[파일:Kabul 1996.jpg]] * 1996년 당시 카불의 모습. 한 국가의 수도의 모습이라기보다는 중세 역사 유적에 더 가까운 모습이 되었다. 탈레반이 장악한 국토는 3/4에 지나지 않았고 탈레반 정권 성립후 부르하누딘 라바니, [[아흐마드 샤 마수드]] 등 몇몇 무자헤딘 세력들이 1/4에 해당되는 북부 산악지역으로 달아나 [[아프가니스탄 구원 국민 이슬람 연합 전선]](북부동맹)을 결성하여 탈레반 정권에 대한 무력 저항에 나섰다. 아프가니스탄 남부 지역 3/4를 장악한 탈레반은 나머지 북부 지역도 장악하기 위해 북부동맹도 공격했으나 북부동맹군의 완강한 저항에 성과를 이루지 못했다.[* 북부동맹의 리더인 [[아흐마드 샤 마수드]]는 이름값이 떨어져서 그렇지 20세기 가장 뛰어난 지휘관 중 하나이다.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당시 마수드와 그를 따르는 수 천명 규모의 게릴라를 때려잡겠다고 소련군은 [[스페츠나츠]]를 중심으로 수 만단위의 군대와 대형 폭격기까지 동원했지만 오히려 소련군 쪽이 만 명 이상 전사하며 마수드에게 역관광당했다. 소련조차 어쩌지 못한 마수드를 지방 잡군이나 때려잡던 탈레반이 상대할 수 있을 리 없었다.] 한편 북부동맹도 탈레반이 장악한 남부 지역으로 남진하여 탈레반 정권을 무너뜨리려는 계획도 세웠지만 군사력이나 규모에 있어서 북부동맹은 탈레반에게 열세에 지나지 않았고 탈레반과 북부동맹 간 불균형한 대치 상태가 이어졌다.[* [[북부동맹(아프가니스탄)|북부동맹]]의 공세에 카불 근처까지 밀린 탈레반이 카불을 잿더미로 만들겠다고 위협하자 마수드는 주민들을 다치게 하면서까지 카불을 함락시킬 이유는 없다며 북부동맹 병력을 퇴각시켰다.][* 다만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과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아프간 전쟁]]의 전개양상을 보면 알 수 있듯이 험악한 산악 지형으로 구성된 아프가니스탄이라는 국가에서 카불을 점령하더라도 저항 세력을 제압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 멸망 == [[2001년]], 탈레반이 [[빈 라덴]]과 [[알 카에다]]의 신병 인도를 거부하면서 미국을 주축으로 한 다국적군이 아프가니스탄을 상대로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전쟁]]을 일으켰고, 결국 한 달만에 항복하였다. == 부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1년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공세, 문단=4.1)] 2021년 8월 15일,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을 무너뜨리고 재집권에 성공한 후, 다시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 정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탈레반/2021년)] [[분류:신권정치]] [[분류:탈레반]] [[분류:아프가니스탄의 역사]] [[분류:아시아의 아미르국]] [[분류:미국에서 테러단체로 지정된 조직]] [[분류:과거의 독재국가]] [[분류:21세기 멸망]] [[분류:이슬람 근본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