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남아시아의 통화)] افغانۍ / Afghani [[파일:Da_Afghanistan_Bank_Logo.svg.png|align=right&width=200]] [목차] == 개요 == [[아프가니스탄]]의 [[화폐]]. [[ISO 4217]] 코드로는 AFN[* 개혁 이전엔 AFA.]이며 기호는 ؋ 혹은 Af(단수형)/Afs(복수형) 통화팽창률([[인플레이션]])이 20~30%를 계속 넘고 있다. 그래서 아프가니스탄 현지에서는 [[미국 달러]]나 주변국 통화([[파키스탄 루피]] , [[이란 리알]])도 비공식적으로 통용된다. [[초인플레이션]]까지는 아니지만 안 그래도 [[헬게이트]]인 [[아프가니스탄]] 경제에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1936년]] [[인도]] 루피 1 : 4 아프가니의 비율로 고정시킨 뒤 점점 아프가니의 화폐가치는 하락하면서 [[1982년]] 이미 인도 루피 1 : 50.6 아프가니가 되어버렸다. 어쨌든간 [[9.11 테러]] 이후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이 발발하고, 이로 인해 [[탈레반]] 정권이 축출되면서 신정부가 수립되었고, [[디노미네이션]]을 한 후 2002년부터 새로운 화폐를 찍어냈다. 이 새로운 화폐가 지금의 아프가니로 2005년부터 1, 2, 5 아프가니는 동전이 나오면서 지폐는 나오지 않고 있다. 2023년 6월 현재 환율은 1 미국 달러에 약 86 아프가니이다. 1 아프가니에 약 15원 == [[아프가니스탄 왕국]] == === 1961-63 발행 === 당시 디자인으로는 전통적인 고딕방식을 수용하던 유럽주, 아메리카주와는 달리 굉장히 세련된 디자인을 채택했다. 둘 다 [[무함마드 자히르 샤]] 아프가니스탄 국왕이 인쇄되어 있다. |||| || 도안 || || [[파일:attachment/아프가니/afghani000.jpg|width=100%]] || 앞면 공통 || [[무함마드 자히르 샤]] || || [[파일:attachment/아프가니/afghani001.jpg|width=100%]] || 10؋ || 그린 모스크[* 발흐에 위치한 파르사 모스크 위대한 이슬람학자인 파르사의 무덤이다.] || || [[파일:attachment/아프가니/afghani002.jpg|width=100%]] || 20؋ || 독립기념비 || || [[파일:attachment/아프가니/afghani003.jpg|width=100%]] || 50؋ || 나디르 샤[* 자히르 샤 국왕의 아버님 되신다.]의 묘 || || [[파일:attachment/아프가니/afghani004.jpg|width=100%]] || 100؋ || 헤라트의 자마 성원[* 원래의 형상은 지금과는 많이 다른데 초기의 헤라트 모스크는 1200년대에 지어졌었다. 그런데... 지진이 한번나서 무너지고, 불이 나서 무너지고, 최종적으론 [[칭기즈칸]]에게 손수 무너짐을 당하는 영광(?) 으로 3연참을 당하시게 되니 눈물 없이는 볼 수 없는 광경...] || || [[파일:attachment/아프가니/afghani005.jpg|width=100%]] || 500؋ || 카자키 수력발전소 || || [[파일:attachment/아프가니/afghani006.jpg|width=100%]] || 1,000؋ || 칼라-이-보스트 아치[* 보스트라는 도시의 정문 역할을 했던 아치였지만, 수차례의 침략으로 도시가 사라지고 이 아치 하나만 남게 되었다.[[파일:external/photography.nationalgeographic.com/qala-e-bost-arch-144579-sw.jpg]] 아치 안으로 보이는 성의 유적이 황량하기만 하다.] || 500 아프가니권은 색갈이 너무 주황색이라 사막에 떨구면 분간이 안갈 정도의 보호색을 갖추고 있어, 1963년에 색갈을 좀 더 진한색으로 바꾸었다.~~막상 바꾸고 나니 밤에 떨구면 안보인다고 극성이다.~~ === 1967 발행 === |||| || 도안 || || [[파일:attachment/아프가니/afghani010.jpg|width=100%]] || 50؋ || 대통령궁[* 의전용 궁전이다, 영빈관과 비슷한 개념. 이곳에 대통령의전실이 있으며, 국가안전이사회도 이곳에 있다.] || || [[파일:attachment/아프가니/afghani011.jpg|width=100%]] || 100؋ || 나디르 샤의 묘 || || [[파일:attachment/아프가니/afghani012.jpg|width=100%]] || 500؋ || 칸다하르 공항 || || [[파일:attachment/아프가니/afghani013.jpg|width=100%]] || 1,000؋ || 산지대의 풍경 || ==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 === 1973-78 발행 === 모든 지폐의 앞면에 있는 인물은 아프가니스탄을 지옥으로 만들어버린 아프가니스탄의 초대 대통령 [[무함마드 다우드]]. 그는, 사촌형인 자히르 국왕이 [[이탈리아]]에 건강검진을 받으러 간 사이 정부를 전복시키고 공화국을 세웠다. 하지만 자히르 국왕은 해외 도피신세...--만족스러운 표정을 짓고 있다...!!-- |||| || 도안 || || [[파일:attachment/아프가니/afghani020.jpg|width=100%]] || 앞면 공통 || [[무함마드 다우드]] || || [[파일:attachment/아프가니/afghani021.jpg|width=100%]] || 10؋ || 칼라-이-보스트 아치 || || [[파일:attachment/아프가니/afghani022.jpg|width=100%]] || 20؋ || 수도 카불의 전경 || || [[파일:attachment/아프가니/afghani023.jpg|width=100%]] || 50؋ || 바다흐샨지역에서 야크를 탄 교역인들 || || [[파일:attachment/아프가니/afghani024.jpg|width=100%]] || 100؋ || 헤라트 모스크 || || [[파일:attachment/아프가니/afghani025.jpg|width=100%]] || 500؋ || 고(古)성 || || [[파일:attachment/아프가니/afghani026.jpg|width=100%]] || 1,000؋ || 마자르-이-샤리프 모스크 || == [[아프가니스탄 민주공화국]]([[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이슬람국]]) == === 1978-79 발행 === 피로 세워진 정부는 피로 몰락하듯,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을 중심으로 한 세력이 쿠데타를 일으켜 국명을 민주공화국으로 바꾸었다. 이 때부터 국립은행을 영어 BANK OF AFGHANISTAN을 로마자 DA AFGHANISTAN BANK로 바꾸었다. |||| || 앞면 || 뒷면 || || [[파일:59846_B.jpg|width=100%]] || 10؋ ||<|3> 여러가지 무늬 || 살랑 도로 || || [[파일:attachment/아프가니/afghani032.jpg|width=100%]] || 20؋ || 반디 아미르 호수 || || [[파일:59845_B.jpg|width=100%]] || 50؋ || 다르-울 아만 궁전 || || [[파일:attachment/아프가니/afghani034.jpg|width=100%]] || 100؋ || 농민 || 다룬타 댐 || || [[파일:attachment/아프가니/afghani035.jpg|width=100%]] || 500؋ || 부즈카시[* 말을 타고 죽은 양이나 염소(산양)를 탈취해 자신의 진영에 집어넣는 아프카니스탄의 국기(國技). 경기방식이 다소 과격한 탓인가 이슬람 보수파의 관습 탓인가 [[올림피아 제전|전통적으로 여자는 참가는 커녕 참관도 불가능하다는 암묵의 룰이 있다]].] || 옛 카불 성곽 || || [[파일:attachment/아프가니/afghani036.jpg|width=100%]] || 1,000؋ || 블루 모스크 || 개선문[* 전쟁에 승리하여 세워진 것이 아니라, 1919년 영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축하하기 위해 세워진 것이다. 독립문의 형식에 조금 더 가깝지만, 명칭은 아마눌라의 개선문이라고 한다. 아마눌라 왕이 독립의 주역.] || || [[파일:attachment/아프가니/afghani037.jpg|width=100%]] || 5,000؋ || 풀-이 키쉬티 모스크 || 잘랄라바드의 하비불라 왕의 묘 || || [[파일:attachment/아프가니/afghani038.jpg|width=100%]] || 10,000؋ || 헤라트 모스크 || 칼라-이-보스트 아치 ||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 2002 발행 === |||| || 앞면 || 뒷면 || || [[파일:1-Afghani-back.jpg|width=100%]] || 1؋ || 아프가니스탄 은행 문장 || 블루 모스크 || || [[파일:59842_B.jpg|width=100%]] || 2؋ || 아프가니스탄 은행 문장 || 개선문 || || [[파일:5-Afghanis-back.jpg|width=100%]] || 5؋ || 아프가니스탄 은행 문장 || 발라 히사르 요새 || || [[파일:Afghanistan_DAB_10_afghanis_2020.00.00_B372a_PNL_19-D_3577434_f-768x317.jpg|width=100%]] || 10؋ || 아흐마드 샤 왕의 묘 || 개선문 || || [[파일:Afghanistan_DAB_20_afghanis_2019.00.00_B373a_PNL_13-B_1655198_f-768x319.jpg|width=100%]] || 20؋ || 마흐무드 가즈나비 왕의 묘 || 대통령궁 || || [[파일:Afghanistan_DAB_50_afghanis_2019.00.00_B374a_PNL_23-B_4062911_f-768x322.jpg|width=100%]] || 50؋ || 두 개의 [[검]] 왕 모스크 || 살랑 도로 || || [[파일:Afghanistan_DAB_100_afghanis_2019.00.00_B375a_PNL_22-Ṣ_5806118_f-768x320.jpg|width=100%]] || 100؋ || 풀-이 키쉬티 모스크 || 칼라-이-보스트 아치 || || [[파일:Afghanistan_DAB_500_afghanis_2022.00.00_B376a_PNL_29_0367999_f-1-768x324.jpg|width=100%]] || 500؋ || 헤라트 모스크 || 칸다하르 공항 || || [[파일:Afghanistan_DAB_1000_afghanis_2022.00.00_B377a_PNL_20_0177801_f-768x323.jpg|width=100%]] || 1,000؋ || 하자트 알리 사원 || 아흐마드 바바 샤 왕의 묘 || == [[아프가니스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 === 2023 발행 예정 === [[https://bnn.network/breaking-news/the-central-bank-is-printing-new-afghani-banknotes-with-advanced-designs/|#]] 아프가니스탄 중앙은행 총재가 총리 대행 압둘 카비르와의 회의에서 새로운 아프가니 지폐의 인쇄를 위해 국제 기업들과 계약을 체결했음을 발표했다. 새 지폐는 아프가니스탄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는 랜드마크와 인물 등을 도안으로 하며 2023년 말까지 인쇄 및 인도될 예정이라고 한다. |||| || 앞면 || 뒷면 || || [[파일:Afghani 10.jpg|width=100%]] || 10؋ || '''[[바미안 석불]]'''[* 이걸 파괴한 녀석들이 [[탈레반|누구]]인지를 생각해보면 '''참으로 아이러니.'''] || || || [[파일:Afghani 20.jpg|width=100%]] || 20؋ || 카불 박물관 || || || [[파일:Afghani 50.jpg|width=100%]] || 50؋ || [[아흐마드 샤 두라니]] || || || [[파일:Afghani 100.jpg|width=100%]] || 100؋ || || || || [[파일:Afghani 500.jpg|width=100%]] || 500؋ || || || || [[파일:Afghani 1000.jpg|width=100%]] || 1,000؋ || || || == 주화 == [[파일:Afghanistan Coins.jpg]] 1, 2, 5아프가니 3종. == 둘러보기 == [Include(틀:아프가니스탄 관련 문서)] [[분류:통화]][[분류:아프가니스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