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함정 몬스터)]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EmbodimentofApophis-JP-Manga-DM.png]] || 한글판 명칭 ||'''아포피스의 화신'''|| || 일어판 명칭 ||'''アポピスの[ruby(化神, ruby=けしん)]'''|| || 영어판 명칭 ||'''Embodiment of Apophis'''|| ||<-2> 지속 함정 / 몬스터 || ||<-2>상대의 몬스터가 공격했을 때 발동! 이 카드는 공격력 1600 수비력 1800의 함정 몬스터 "아포피스의 화신"이 되어 필드에 소환된다.|| [[파일:EmbodimentofApophis-JP-Manga-DM-NC.png]] 원작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본선 편|배틀 시티 본선 편]]에서 [[리시드]]가 [[죠노우치 카츠야]]와의 듀얼 중 사용. 세트해둔 후 [[로켓 전사]]의 공격을 [[리시드#우자트 눈의 염력|우자트 눈의 염력]]으로 되돌린 뒤에 한꺼번에 3장을 발동했다. 이로서 총공격으로 죠노우치의 몬스터를 전멸시키며 압박했으나, 이내 죠노우치가 소환한 [[인조인간 -사이코 쇼커-]]의 효과로 순식간에 전멸했다. 작중 최초로 [[함정 몬스터]]라 언급된 카드로서[* 엄밀히 따지면 원작에서 최초로 등장한 '몬스터 역할을 하는 함정 카드'는 [[지뢰거미]]지만, 함정 몬스터라는 용어는 사용되지 않았다. 이후 OCG에서는 함정이 아닌 효과 몬스터로 등장.], 몬스터 카드의 역할을 하는 함정 카드라는 발언에 [[어둠의 유우기]]와 [[쿠자크 마이]]가 그런 건 들어본 적도 없다고 하는 걸 보면, 작중 [[함정 몬스터]] 카드는 원작 세계관 기준으로도 상당히 드문 카드인 것으로 보인다. 리시드는 [[마리크 이슈타르]]의 가문인 이슈타르 가의 하인인데, [[어둠의 마리크]]의 상징 신이 태양신 [[라(이집트 신화)|라]]인 것에 반해, 본래의 마리크를 섬기던 리시드를 상징하는 신은 라의 숙적인 독사 [[아포피스]]라는 점에서 세심한 설정이 돋보이는 카드다.[* 실제로 이 듀얼에서 리시드가 복제 라의 익신룡을 사용하다가 무슨 일을 당했는지를 생각해보면 실로 의미심장한 부분이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세븐 스타즈 편|세븐 스타즈 편]]에서는 [[세븐 스타즈]]의 일원인 [[아비도스 3세]]의 과거 회상에서 등장. 신관과의 석판을 사용한 듀얼에서 직접 공격하여 피니셔가 되는 것으로 나왔다.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EmbodimentofApophis-GB8-JP-VG.png]] || 한글판 명칭 ||<-4>'''아포피스의 화신'''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アポピスの[ruby(化神, ruby=けしん)]'''|| || 영어판 명칭 ||<-4>'''Embodiment of Apophis'''||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흙마족 || 파충류족 || 1600 || 1800 || ||<-5>고대 이집트 화신의, 암흑을 지배한 거대한 뱀의 화신.||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에서부터 등장.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IGosPZF.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 명칭=아포피스의 화신, 일어판 명칭=アポピスの化神(けしん), 영어판 명칭=Embodiment of Apophis, 효과1=①: 자신 / 상대의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는 발동 후\, 일반 몬스터(파충류족 / 땅 / 레벨 4 / 공 1600 / 수 1800)가 되어\, 몬스터 존에 특수 소환한다. 이 카드는 함정 카드로도 취급한다.)] >'''"나와라! 아포피스! 함정 발동! 아포피스의 화신!"''' >---- >[[리시드(유희왕 듀얼링크스)|리시드]], [[유희왕 듀얼링크스]] 전용 대사 서로의 메인 페이즈에 [[일반 몬스터]]로서 자신을 특수 소환하는 효과를 가진 [[함정 몬스터]]. 원작과 마찬가지로 최초의 [[함정 몬스터]]로서, 등장 당시에는 몬스터로 특수 소환되는 함정 카드라는 전대미문의 효과로 주목을 받았다. 어쩌면 [[토이 매지션]], [[보옥수]] 등 마함과 몬스터 존을 오가는 카드들의 구상에 영향을 줬을지도 모르는 카드. 하지만 수많은 함정 몬스터가 등장한 이후에는 시조로서의 의의만을 가진 카드. 애초에 이 카드의 뒤를 이어 곧바로 나온 함정 몬스터인 [[사령 조마]]와 [[메탈 리플렉트 슬라임]] 둘이 다른 후배들 앞에서도 기죽지 않고 그 자리를 고수하고 있는걸 생각해보면 이 카드는 나설 방법이 없다. 일단 메인 페이즈에만 발동할 수 있어서 상대의 배틀 페이즈에 기습적으로 사용할 수가 없단 점부터가 이 카드의 채용을 망설이게 만든다. 함정 카드 주제에 함정처럼 사용할 수가 없다는게 함정. 결국 이 카드를 다른 함정 몬스터들과 차별화하려면 ~~이런 카드들에는 으레 붙듯이~~ 파충류족이라는 종특을 살릴 수 밖에 없다. 여기서 "최초의 함정 몬스터"라는 것은 일본 최초 수록 기준(2001년 경)인데, 한국에서는 아래와 같이 2011년에서야 [[왕가의 수호자]]의 복각판 프로모션으로 정발되었기 때문에, 다른 함정 몬스터보다 훨씬 늦게 나온 셈이 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주간 소년 점프]] 2001년 36・37호 합병호 동봉 || WJ-03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エクシーズ始動!!-]] || DT12-JP047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노멀]] || 일본 || || || [[듀얼리스트 팩|デュエリストパック-決闘都市編-]] || DP16-JP029 || [[레어]] || 일본 || || || [[사이버 혁명|Cybernetic Revolution]] Sneak Peek Participation Card[br] Shonen Jump Vol.3, Issue 11 || SP1-EN003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Retro Pack || RP01-EN098 || [[시크릿 레어]] || 영국 || 미국 이외 TCG권 상품 || || Dark Legends || DLG1-EN099 || [[슈퍼 레어]] || 미국 || ||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6b]] || DT06-EN097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노멀]] || 미국 || || || Gold Series: Haunted Mine || GLD5-EN050 || [[노멀]] || 미국 || || || Battle Pack 2: War of the Giants || BP02-EN180 || [[노멀]][br][[패러렐 레어|모자이크 레어]] || 미국 || || || [[듀얼리스트 팩|Duelist Pack: Battle City]] || DPBC-EN030 || [[레어]] || 미국 || || || 복각판 [[왕가의 수호자]] 교환권 이벤트 || PGD-KRPR1 || [[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 팩|듀얼리스트 팩 -배틀 시티 편-]] || DP16-KR029 || [[레어]] || 한국 || || == 관련 카드 == === [[전신 아포피스]] === [[분류:유희왕/OCG/지속 함정]][[분류:유희왕/OCG/파충류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