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40000, #D40000 20%, #D40000 80%, #a40000)" '''{{{#ffe400,#ffe300 소비에트 연방 제36대 모스크바 군관구 사령관[br]{{{+1 아파나시 파블란티예비치 벨로보로도프}}}[br]Афана́сий Павла́нтьевич Белоборо́дов[br]Afanasy Pavlantyevich Beloborodov}}}'''}}}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아파나시 벨로보로도프.jpg|width=100%]]}}} || ||<|2> '''출생''' ||[[1903년]] [[1월 18일]][* [[그레고리력]]: [[1월 31일|31일]]] || ||[[러시아 제국]] 이르쿠츠크현 아키니노바클라시 마을[br](現 [[러시아]] [[시베리아 연방관구]] [[이르쿠츠크주]] 셸레홉스키구 바클라시 마을) || ||<|2> '''사망''' ||[[1990년]] [[9월 1일]] (향년 87세) || ||[[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 || || '''묘소''' ||[[https://ru.wikipedia.org/wiki/%D0%9B%D0%B5%D0%BD%D0%B8%D0%BD%D0%BE-%D0%A1%D0%BD%D0%B5%D0%B3%D0%B8%D1%80%D1%91%D0%B2%D1%81%D0%BA%D0%B8%D0%B9_%D0%B2%D0%BE%D0%B5%D0%BD%D0%BD%D0%BE-%D0%B8%D1%81%D1%82%D0%BE%D1%80%D0%B8%D1%87%D0%B5%D1%81%D0%BA%D0%B8%D0%B9_%D0%BC%D1%83%D0%B7%D0%B5%D0%B9|레니노-스네기렙스키 군사 역사 박물관 묘소]] || ||<|2> '''재임기간''' ||제36대 모스크바 군관구 사령관 || ||[[1963년]] [[3월]] ~ [[1968년]] [[6월]]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4> '''복무''' ||[[노농적군]] || ||[[1919년]] ~ [[1920년]][br][[1923년]] ~ [[1946년]] || ||[[소비에트 지상군]] || ||[[1946년]] ~ [[1990년]] || || '''최종 계급''' ||[[대장(계급)|대장]] {{{-2 (소비에트 지상군)}}} || || '''주요 참전''' ||[[러시아 내전]][br][[독소전쟁]][br][[소련-일본 전쟁]][br][[만주 전략 공세 작전]] || || '''주요 서훈''' ||[[10월 혁명 훈장]][br][[레닌훈장]] (5회)[br][[소비에트 연방 영웅]] (2회)[br][[수보로프 훈장]] 1등급[br]수보로프 훈장 2등급[br][[적기훈장]] (5회) ||}}}}}}}}} || [목차] [clearfix] == 개요 == [[소련]]의 [[군인]]. == 생애 == 농민 가정에서 태어나 3년제 시골 학교를 졸업했다. === [[러시아 내전]] === 1919년 10월, 16세에 노농적군 [[유격대]]에 자원입대해 [[https://ru.wikipedia.org/wiki/%D0%92%D0%BE%D1%81%D1%81%D1%82%D0%B0%D0%BD%D0%B8%D0%B5_%D0%9F%D0%BE%D0%BB%D0%B8%D1%82%D1%86%D0%B5%D0%BD%D1%82%D1%80%D0%B0|이르쿠츠크 봉기]]에 참전했다. 제8이르쿠츠크소총연대 소속이 된 지 얼마 후 질병에 걸리고 미성년자임이 발각돼 강제 전역당했다. 이후 고향에 돌아와 아버지의 농장에서 일했다. === [[https://ru.wikipedia.org/wiki/%D0%9A%D0%BE%D0%BD%D1%84%D0%BB%D0%B8%D0%BA%D1%82_%D0%BD%D0%B0_%D0%9A%D0%B8%D1%82%D0%B0%D0%B9%D1%81%D0%BA%D0%BE-%D0%92%D0%BE%D1%81%D1%82%D0%BE%D1%87%D0%BD%D0%BE%D0%B9_%D0%B6%D0%B5%D0%BB%D0%B5%D0%B7%D0%BD%D0%BE%D0%B9_%D0%B4%D0%BE%D1%80%D0%BE%D0%B3%D0%B5|중국 동부철도 분쟁]] === 1923년 9월 노농적군에 재입대해 제11니즈니노브고로드보병학교를 1926년에 졸업했다. 1929년 11월부터 중국 동부철도 분쟁 당시 만주 전선에서 작전을 수행했다. 첫 전투 당시 방어선을 우회해 철도 교량을 점령한 뒤 중화민국 육군의 후퇴를 차단해 [[콘스탄틴 로코솝스키]]가 지휘하는 [[기병]] 부대의 진입을 도왔다. 벨로보로도프는 중대원 11명과 함께 [[적기훈장]]을 수여받았다. === [[독소전쟁]] === 제78보병사단장으로 임명된 뒤 1941년 11월 초, [[서부전선]]에 도착했다. ==== [[모스크바 공방전]], [[스탈린그라드 전투]] ==== 제16군과 함께 전투에서 두각을 드러낸 공로로 제78보병사단은 제9근위소총사단으로 개명됐다. ==== [[바그라티온 작전]], [[동프로이센 공세]] ==== 1944년 6월 26일 [[비쳅스크]]를 탈환한 뒤 제43군 사령관을 역임했다. 1945년 4월 초, [[쾨니히스베르크]] 방어전에서 성공적인 전투를 치른 뒤 [[비스툴라 강]] 하류의 [[독일 육군(나치 독일)|독일 육군]] 제2군을 궤멸시켰다. === [[소련-일본 전쟁]] === 1945년 6월 극동 지역에 도착해 6월 27일 제1적기군 사령관으로 임명됐다. 1945년 8월 [[일본 제국 육군]]이 구축한 방어선 3개를 돌파한 뒤 [[타이가]]를 지나 수백 킬로미터를 진격해 [[하얼빈]]을 점령했다. === 전후 === 여러 부대를 두루 지휘한 뒤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방부 수석 군사 [[고문(직위)|고문]] 및 [[체코슬로바키아]] 주재 소련 [[대사관]] 무관을 역임했다. 1963년 3월 모스크바 군관구 사령관으로 임명됐는데, [[교통사고]]로 심각한 [[골절]]로 자진 사퇴했다. === 사망 === 1990년 9월 1일 모스크바에서 사망했다. 시신은 벨로보로도프의 유언에 따라 [[모스크바 공방전]] 당시 전사한 병사들 옆에 안장됐다. == 진급 이력 == * 1941년 11월 26일: [[소장(계급)|소장]] * 1944년 2월 22일: [[중장]] * 1945년 5월 5일: [[상장(계급)|상장]] * 1963년 2월 22일: [[대장(계급)|대장]] [[분류:1903년 출생]][[분류:1990년 사망]][[분류:이르쿠츠크주 출신 인물]][[분류:소련의 군인]][[분류:소비에트 연방 영웅]][[분류:러시아 내전/군인]][[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독소전쟁/군인]][[분류:소련 공산당 19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소련 공산당 20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소련 공산당 22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소련 공산당 23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러시아 지휘참모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