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기원전 85년 출생]][[분류:기원전 43년 사망]][[분류:로마 공화국/인물]] [include(틀:아우구스투스)] ||<-2> {{{#ffffff {{{+3 '''아티아''' }}}[br]{{{-1 [[라틴어|{{{#white 라틴어}}}]]: Atia }}} }}} || ||<-2> [[파일:330px-Vase_(AM_1932.233-18).jpg|width=300]] || || {{{#ffffff '''생몰년도''' }}} ||기원전 85년 ~ 기원전 43년 || || {{{#ffffff '''국가''' }}} ||[[로마 공화정]] || || {{{#ffffff '''가족''' }}} ||마르쿠스 아티우스 발부스(아버지)[br]소 율리아(어머니)[br][[가이우스 옥타비우스]](첫번째 남편)[br][[루키우스 마르키우스 필리푸스(기원전 56년 집정관)|루키우스 마르키우스 필리푸스]](두번째 남편)[br][[옥타비아누스]](아들)[br][[소 옥타비아]](딸)|| [목차] [clearfix] == 개요 == 아티아(Atia)는 [[로마 공화정]] 시대의 귀부인으로, 아티아 발바(''Atia Balba'') 혹은 아티아 발바 카이소니아(''Atia Balba Caesonia'')라는 풀네임을 가지고 있다. 로마 공화정의 종신독재관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유일한 조카이자 [[폼페이우스]]의 5촌 조카[* 아우구스투스는 카이사르의 종손이기도 하지만, 폼페이우스의 재종손이다. 따라서 그는 카이사르 쪽의 촌수가 더 가까웠고 카이사르가 유언장을 작성할 당시엔 카이사르 가문의 남성 중 카이사르의 조카인 섹스투스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사망으로 가문을 이을 카이사르의 유일한 남자혈육이었다]이며, [[로마 제국]]의 초대 황제 [[옥타비아누스]], [[게르마니쿠스]]의 외할머니 [[소 옥타비아]]의 어머니이다. [[티베리우스]] 황제의 양할머니, [[클라우디우스 1세]] 황제의 증조모이자, [[칼리굴라]]와 [[소 아그리피나]]의 고조모인데다 며느리가 로마 제국 최초의 아우구스타 [[리비아 드루실라]]인 까닭에, 아들 아우구스투스와 그 일가 남녀황족들의 인품과 업적을 소개할 때 함께 존경받았다. 이런 이유로 아티아는 평범한 귀부인임에도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아래에서 며느리 리비아 드루실라와 함께 휼륭하고 가정적인 전통적인 이탈리아 어머니 중 한명으로 선전됐다. == 생애 == === 초기 생애 === 명문가인 발부스 가문 출신으로, 카이사르의 누나 율리아와 법무관 마르쿠스 아티우스 발부스 사이에서 태어났다. 풀네임은 아티아 발바 카이소니아인데, 카이소니아라는 [[가족성]]은 ''caedere''(자르다라는 뜻의 라틴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며 아마 모계에서 물려받은 것으로 추측된다. 보통 첫째딸에게는 친정 가문의 성씨를 여성형으로 바꾸어 지어주고 그 다음 딸들에게는 부모의 이름과 일가 친척들의 이름을 여성형으로 바꾸어 지어준 로마인들의 전통상 적어도 한 명의 여동생, 언니, 형제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녀의 어머니 율리아는 율리우스 씨족 중 하나인 카이사르 집안 출신인 [[파트리키(계급)|파트리키]] 태생으로, 율리아의 남동생은 그 유명한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다. 따라서 아티아의 외삼촌은 카이사르였고, 그녀는 외가를 통해 딸 옥타비아의 남편이었던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와도 혈연상 친척이었다. 아버지 발부스는 폼페이우스 마그누스의 고모 폼페이아의 아들로 폼페이우스의 고종 사촌 동생이다. 발부스는 대대로 원로원 의석을 세습한 [[노빌레스]] 출신 귀족으로, '마리우스와 술라의 시대'를 거치며 원로원파와 평민파 간의 대립이 극심한 시기 동안 양 파벌 모두와 관계가 상당히 좋았던 원로원 의원으로 유명했다. 따라서 그는 법무관과 율리우스 법에 따라 캄파니아 토지를 평민들에게 분배해 주는 20인 위원회 위원을 지냈다. === 결혼 생활 === 법무관을 거처 마케도니아 총독에 오르게 되는, 젊은 원로원 의원 [[가이우스 옥타비우스]]와 결혼했다. 남편 옥타비우스와 달리 초혼이었다고 하며[* 가이우스 옥타비우스는 첫 아내와의 사이에서 큰딸 대 옥타비아를 두고 있었지만, 첫 아내와 사별했다.], 사이에서 [[옥타비아#s-2|소 옥타비아]]와 [[옥타비아누스]]를 낳았다. 남편 가이우스 옥타비우스가 마케도니아 총독 임기를 마친 뒤 이탈리아로 귀국해 로마로 돌아오던 중 기원전 59년, 30대의 젊은 나이에 객사하자 옥타비우스와의 사이에서 얻은 두 자녀를 데리고 친정으로 돌아갔다. 이어 같은 해에인 기원전 59년 집정관을 지낸 [[루키우스 마르키우스 필리푸스(기원전 56년 집정관)|루키우스 마르키우스 필리푸스]]와 결혼했다고 한다. 두번째 남편 필리푸스와의 사이에서는 자녀가 없었다고 하며, 기원전 43년 사망했다. == 대중매체에서 == [[파일:Rome.Atia.jpg|width=500]] [[HBO]]의 사극 드라마 [[ROME|로마]]에서 가문에 집착하는 여성의 모습으로 그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