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도호쿠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아키타현 제1구}}}}}}'''[br]{{{-1 {{{#ffffff 秋田県第1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Akita1.svg|width=100%]][br]}}}|| ||<-2><:>'''선거인 수'''||<-2><:>260,836명 (2022)|| ||<-2><:>'''상위 도도부현'''||<-2><:>[[아키타현]]|| ||<-2><:>'''하위 행정구역'''||<-2><:>[[아키타시]]|| ||<-2><:>'''국회의원'''||<:>[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도가시 히로유키]]|| [목차] [clearfix] == 개요 == [[아키타현]]의 [[아키타시]]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소속 도가시 히로유키. == 상세 == 소선거구제 개편 직후에는 자민당과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이 치열한 경합을 펼치다가, 2003년 43회 총선거 당시 민주당의 데라타 마나부 후보가 출마해 당선된 것[* 당선 당시 나이가 불과 27세였다! 때문에 당선 당시 국회 최연소 당선자라는 타이틀을 가지기도 했다.]을 기점으로 한동안 민주당이 급격하게 우세를 보였었다. 어느 정도였냐면 민주당이 참패했던 선거들 중 하나인 2005년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때도 민주당 데라타 마나부 의원이 약 9천 표 차이로 당선 되었을 정도다. 이는 데라타 마나부 의원의 집안의 영향이 큰 것으로 추정된다. 데라타 마나부 의원의 집안은 일가족이 아키타현을 지역 기반으로하는 정치인 가문이기 때문이다.[* 데라타 마나부 의원의 외할아버지가 아키타현의회 의원 출신, 아버지인 데라타 스게시로가 요코테시 시장, 아키타현 지사 3선, 참의원을 역임했다. 그리고 부인인 데라타 시즈카도 2020년 기준 현재 아키타현 지역구 참의원이다.] 허나 집안 빨이 약해졌는지(...), 2012년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부터는 자민당의 도가시 히로유키가 3연속 당선되었다. 물론 자민당이 역대 모든 선거를 뛰어넘는 압승을 거뒀기에 아키타현도 예외일 수가 없었다. 데라타 마나부는 47회 총선거에서는 석패율제로 구제되어 당선되었고, 48회 총선거 때는 [[희망의 당(2017년)|희망의 당]] 도호쿠 블록 비례대표 후보로 자리를 옮겨 당선되었다. 49회 총선거 때는 다시 지역구에 도전했으나, 패배하고 석패율 구제로 당선되었다. 확실히 예전에 비해 데라타 의원의 집안 빨이 약해지고, 보수 성향이 더 강해진 듯 하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아키타현 제1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 사토 다카오 || [include(틀:신진당)]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 후타다 고지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3> 데라타 마나부 ||<|3>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4> 도가시 히로유키 ||<|4>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키타현 제1구}}}}}}'''[br]{{{#fff 아키타시, 오가시, 미나미아키타군, 카와베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cf0a2c> [[신진당|[[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width=50]]]] || '''사토 다카오''' || '''95,194표''' || '''1위''' || || [include(틀:신진당)] || '''45.47%'''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후타다 고지 || 84,625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0.43% || 비례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오기와라 가즈코 || 29,514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4.10%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09,333표 ||<|2> '''투표율''' || || 선거인 수 ||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키타현 제1구}}}}}}'''[br]{{{#fff 아키타시, 오가시, 미나미아키타군, 카와베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후타다 고지''' || '''101,848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4.02%'''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사토 다카오 || 101,311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3.79% || 비례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이마카와 가즈노부 || 17,738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67% || 낙선 || ||<|2> [[자유당(일본 1998년)|[[파일:자유당.gif|width=50]]]] || 후나카와 가쓰오 || 10,463표 || 4위 || || [include(틀:자유당(일본 1998))] || 4.5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31,360표 ||<|2> '''투표율''' || || 선거인 수 ||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키타현 제1구}}}}}}'''[br]{{{#fff 아키타시, 카와베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데라타 마나부''' || '''68,586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4.12%''' || '''당선''' || ||<|2> [[보수신당|[[파일:보수신당 로고.png|width=50]]]] || 사토 다카오 || 49,777표 || 2위 || || [include(틀:보수신당)] || 32.02% || 낙선 || ||<|2><#808080> {{{+3 {{{#fff 無}}}}}} || 이시카와 렌지로 || 24,382표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5.68%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이마카와 가즈노부 || 12,713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8.18%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55,458표 ||<|2> '''투표율'''[br]59.72% || || 선거인 수 || 268,690인 || 지난 선거에서 지역구에서는 패배했지만 석패율제를 통해 비례대표로 당선된 사토 다카오 의원은, 원래 자민당 출신이었다. [[신생당]], [[신진당]] 등을 거쳐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 의원이 되었는데, 야당생활에 지쳤는지 [[2002년]] 연립여당인 [[보수당(일본)|보수당]]에 합류를 타진한다. 사토 의원같이 [[비례대표]]로 선출된 의원들은 자신이 해당 선거에서 맞붙었던 다른 정당에 입당 할 수 없다는 규정이 있기에, 보수당은 꼼수를 써서 당 해체후 [[보수신당]]으로 재창당한다. 사토 의원은 자민당 후타다 고지 의원을 비례대표로 돌리는 등 후보자 조정까지 성공하고 보수신당 후보로 출마하나, 여론이 나빠졌고 결국 야당인 민주당 후보로 출마한 데라타 마나부에게 일격을 당한다. 소속 후보들의 부진으로 인해 보수신당도 결국 자민당에 합병된다.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키타현 제1구}}}}}}'''[br]{{{#fff 아키타시, 카와베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데라타 마나부''' || '''77,135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4.40%'''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후타다 고지 || 68,526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9.44% || 비례당선 || ||<|2> [[국민신당(일본)|[[파일:일본 국민신당 로고.svg|width=50]]]] || 이시카와 렌지로 || 14,751표 || 3위 || ||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 8.49%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이마카와 가즈노부 || 13,334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67%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73,746표 ||<|2> '''투표율'''[br]65.63% || || 선거인 수 || 270,059인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키타현 제1구}}}}}}'''[br]{{{#fff 아키타시, 카와베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데라타 마나부''' || '''93,097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51.86%'''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후타다 고지 || 61,752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4.40%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스즈키 사토시 || 15,830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8.82% || 낙선 || ||<|2><#808080> {{{+3 {{{#fff 無}}}}}} || 후지이 요코 || 7,353표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4.10% || 낙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50]]]] || 쓰루타 유키히로 || 1,472표 || 5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0.8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79,504표 ||<|2> '''투표율'''[br]68.46% || || 선거인 수 || 267,441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키타현 제1구}}}}}}'''[br]{{{#fff 아키타시, 카와베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도가시 히로유키''' || '''73,356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6.71%'''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데라타 마나부 || 49,243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1.36% || 낙선 || ||<|2><#fff> [[일본 유신회(2012년)|[[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width=50]]]] || 오미야 노부히로 || 15,333표 || 3위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2년))] || 9.76% || 낙선 || ||<|2> [[일본 미래당|[[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width=50]]]] || 다카마쓰 가즈오 || 9,702표 || 4위 || || [include(틀:일본 미래당)][* [include(틀:신당대지)] 추천] || 6.18%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사타케 요시오 || 9,414표 || 5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5.99%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57,048표 ||<|2> '''투표율'''[br]59.93% || || 선거인 수 || 266,508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키타현 제1구}}}}}}'''[br]{{{#fff 아키타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도가시 히로유키''' || '''66,388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7.02%'''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데라타 마나부 || 57,782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0.92% || 비례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야마우치 우메요시 || 11,579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8.20% || 낙선 || ||<|2><#01a8ec>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50]]]] || 이토 마사미치 || 5,441표 || 4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3.8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41,190표 ||<|2> '''투표율'''[br]54.08% || || 선거인 수 || 265,311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키타현 제1구}}}}}}'''[br]{{{#fff 아키타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도가시 히로유키''' || '''79,442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53.72%''' || '''당선''' || ||<|2><#046240> [[희망의 당(2017년)|[[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width=50]]]] || 마츠우라 다이고 || 53,850표 || 2위 || || [include(틀:희망의 당(2017년))] || 36.42%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사이토 다이고 || 14,584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9.86%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47,876표 ||<|2> '''투표율'''[br]56.40% || || 선거인 수 || 267,740인 || 지난 제47회 총선까지 자민당에 대항했던 야당 후보는 줄곧 데라타 마나부 의원이었다. 하지만 아키타 지역민방 아나운서 출신인 마츠우라 다이고 전 참의원 의원도 출마를 준비하면서 데라타와 마츠우라 사이에 후보자 조정이 필요했다. 결국 마츠우라가 지역구에 출마하고 데라타가 비례대표로 출마하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 마츠우라 다이고 후보는 데라타 마나부가 치뤘던 지난 2번의 선거보다 더 큰 차이로 패배했고, 석패율 제도로 구제받는 데에도 실패했다. 패배 직후 자신이 [[게이]]임을 밝히며 [[커밍아웃]]을 했다. 비록 일본 중의원에 커밍아웃을 한 의원이 재직중이나 (오츠지 카나코 의원, [[레즈비언]]이다), 보수 농촌지역인 아키타현을 지역구로 둔 이상 적어도 아키타현에서는 정치를 그만둘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다. 희망의 당이 국민민주당으로 바뀌는 와중에 자연스럽게 지역위원장 직을 관뒀다가,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일본 유신회(2016년)|유신회]] [[비례대표]]로 출마하였지만 낙선하였다.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키타현 제1구}}}}}}'''[br]{{{#fff 아키타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도가시 히로유키''' || '''77,960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51.86%''' || '''당선'''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50]]]] || 데라타 마나부 || 72,366표 || 2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아키타현 연합 지지] || 48.14% || 비례당선 || ||<|2> '''계''' || 유효표 수 || 150,326표 ||<|3> '''투표율'''[br]58.18% || || 선거인 수 || 261,956인 || ||<-10> '''비례대표 결과'''[* [[https://www.soumu.go.jp/senkyo/senkyo_s/data/shugiin49/shikuchouson_32.html|비례대표 결과 이곳에서 확인 가능]]] || || '''정당''' || [include(틀:국민민주당(2020년))]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include(틀:레이와 신센구미)]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6년))]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include(틀:공명당)] ||[include(틀:NHK당)] || || '''득표수[br](득표율)''' || '''8,190.331[br] (5.52%)''' || '''9,396[br] (6.34%)''' || {{{#ffffff '''63,050[br](42.53%)'''}}} || '''4,379 [br] (2.95%)''' || '''9,862[br] (6.65%)''' || '''3,070[br] (2.07%)''' || '''35,095.668 [br] (23.67%)''' || '''13,333 [br] (8.99%)''' || '''1,885[br] (1.27%)''' || 지난 총선에서 희망의 당 후보로 출마한 마츠우라 다이고 전 의원이 정계를 은퇴했기에, 비례대표로 옮겼던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 데라타 마나부 의원이 다시 지역구로 복귀해 공천을 받았다. 자민당 도가시 히로유키 의원은 5년만에 데라타 마나부 의원과 재대결을 한다. 자민당과 입헌민주당 모두 이 선거구에서 치열한 승부를 예상하고 있다. 자민당과 입헌민주당 이외의 정당 및 무소속 후보가 출마하지 않아 1대1 승부가 벌어진다. 데라타 마나부로써는 이번이 도가시 히로유키와의 세번째 승부인데, 지난 두 번의 패배를 딛고 처음으로 지역구에서 도가시 후보를 꺾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두 번중 한 번은 석패율 제도를 통해 비례대표로 당선되었다.] 개표결과 이번에도 자민당 도가시 히로유키 후보가 3.72%p 격차로 신승하였다. 입헌민주당 데라타 후보는 이번에도 비례대표 부활로 당선되었다. 그래도 지난 선거에서 처참한 득표율을 보이며 비례부활조차 하지 못한 마츠우라 후보에 비해서는 10% 정도 득표율을 끌어올리며 선전했다.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5선에 도전하는 자민당 도가시 히로유키 의원과 7선에 도전하는 입헌민주당 데라타 마나부 의원의 재대결이 예상된다. 저번 선거에서 후보를 내지 않았던 [[일본 유신회(2016년)|일본 유신회]]에서는, 커밍아웃 이후 지역에서 정치활동을 영원히 중단할 것으로 예상했던 마츠우라 다이고 전 참의원이 지부장으로 선임되었고 출마가 예상된다. 사실 유신회가 보수 정당이라는 이미지와는 별개로 사회문화적 정책에 대해서는 스펙트럼이 오히려 자민당보다도 더 넓은 편이자.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아키타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