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아케인(애니메이션))] ||<-3>
[[넷플릭스/오리지널 콘텐츠 목록/애니메이션#s-2.4|{{{#fff '''NETFLIX 오리지널'''}}}]][br]'''{{{+1 아케인}}}''' (2021)[br]Arcane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RCANE_I1.jpg|width=100%]]}}} || ||<-3> {{{#d1b58c {{{#!wiki style="margin: -6px -11px" {{{#!folding 스페셜 포스터 ▼ [[파일:Arcane Special Poster.jpg|width=100%]]}}}}}}}}} || ||<-2> '''장르''' ||[[판타지]], [[액션]], [[어드벤처]], [[드라마]], [[군상극]], [[스팀펑크]], [[아케인펑크]] || ||<-2> '''방송 기간''' ||[[2021년]] [[11월 7일]] ~ [[11월 20일]] || ||<-2> '''방송 횟수''' ||9부작 || ||<-2> '''제작사''' ||[[라이엇 게임즈]] | 포티셰 프로덕션 || ||<-2> '''원안''' ||크리스티안 링케, 알렉스 이 || ||<-2> '''원작''' ||[[리그 오브 레전드/세계관|리그 오브 레전드]] || ||<|6> '''제[br]작[br]진''' || '''제작''' ||크리스티안 링케, 알렉스 이, 브랜던 벡, 마크 메릴, 애쉬 브래넌, 파스칼 샤뤼, 제롬 콩베, 아르노 들로드, 멀린다 레디거, 토마스 뷰 || || '''연출''' ||파스칼 샤뤼, 아르노 들로드 || || '''극본''' ||크리스티안 링케, 알렉스 이, 애쉬 브래넌, 코너 쉬히 || || '''음악''' ||알렉산더 템플, 알렉스 시브 || || '''미술''' ||줄리엔 죠르겔, 앤 로르, 제롬 콩베 || || '''의상''' ||디온 드미트리 || ||<-2> '''출연''' ||[[헤일리 스타인펠드]], [[엘라 퍼넬]], [[제이슨 스피색]], 케빈 알레한드로, [[해리 로이드]], 톡스 올라군도예, [[케이티 렁]] ,,외,,|| ||<-2> '''스트리밍''' ||[include(틀:넷플릭스 표시)][br][[텐센트 비디오|{{{#434343 '''Tencent Video'''}}}]][* 중국시장 한정. 중국은 넷플릭스가 [[중국/문화 검열|검열]]의 영향으로 진출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쪽에서 서비스하고 있다.] || ||<-2> '''[[영상물 등급 제도|{{{#d1b58c 시청 등급}}}]]''' ||'''[[15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 15세 이상 관람가}}}]]'''|| ||<-2> '''링크''' ||[[https://arcane.com/ko-kr/|[[파일:아케인 로고.png|width=20]]]] | [[https://netflix.com/kr/title/81435684|[[파일:넷플릭스 아이콘.svg|width=22]]]] | [[https://facebook.com/arcaneshow|[[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instagram.com/arcaneshow|[[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arcaneshow, 크기=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넷플릭스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시리즈 《[[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의 첫 번째 시즌. == 마케팅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IA-v_LB3Qpc)]}}}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87ZdZj9o5dQ)]}}} || || '''공식 발표 영상'''[br](2019년 10월 16일) || '''공식 넷플릭스 발표 영상'''[br](2021년 5월 4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zP7AGWiw8Uw)]}}}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4Ps6nV4wiCE)]}}} || || '''추가 공개 영상'''[br](2021년 6월 12일) || '''1차 트레일러 영상'''[br](2021년 9월 26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wrYPHlbDGYc)]}}} || || '''최종 트레일러 영상'''[br](2021년 10월 31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5m6mstnf-2E)]}}}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8dUZ0WSNbjg)]}}} || || {{{#!wiki style="word-break:keep-all" '''개발자 일기: 애니메이션 시리즈 아케인'''}}} || '''개발자 일기: 아케인의 세계''' || === 포스터 === ||
{{{+1 '''메인 포스터'''}}}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Arcane_poster_main.jpg|width=100%]]}}} || ||
'''넷플릭스 메인 헤더'''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Arcane Netflix Header.jpg|width=100%]]}}} || === Riot x Arcane === * 관련 공지[[https://www.riotgames.com/ko/news/welcome-to-riotx-arcane-ko|#]] * 글로벌 프리미어: 동시 스트리밍, 11월 6, 7일 선공개 [[https://www.riotgames.com/ko/news/global-arcane-premiere-co-streaming-and-rewards-ko|#]] * 진보의 날: 라이엇 게임즈 인게임 이벤트 [[https://www.riotgames.com/ko/news/happy-progress-days-ko|#]] * 지하도시의 밤: LA 현지 이벤트, 11월 20, 21일 [[https://www.riotgames.com/ko/news/undercity-nights-takes-over-ko|#]] === 외부 게임업체 협업 === *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https://www.riotgames.com/ko/news/runeterra-enters-pubg-mobile-to-celebrate-riotx-arcane-ko|#]] * [[포트나이트]] [[https://www.riotgames.com/ko/news/fortnite-gets-jinxed-to-celebrate-arcane-ko|#]] * [[Among Us]] [[https://www.riotgames.com/ko/news/call-an-emergency-meeting-arcane-is-coming-to-among-us-ko|#]] * [[매직 더 개더링]] [[https://www.riotgames.com/ko/news/lands-ho-arcane-is-joining-magic-the-gathering-ko|#]] == [[아케인(애니메이션)/등장인물|등장인물]] == {{{#!wiki style="word-break:keep-all" ||<-3>
{{{+1 '''캐릭터 포스터'''}}} ||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바이(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파일:아케인 바이.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징크스(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파일:아케인 징크스.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밴더|[[파일:아케인 벤더.jpg|width=100%]]]]}}}|| || [[바이(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d1b58c 레인즈의 아이는 어떻게[br]필트오버의 집행자가 되는가?}}}]][* 공식 문구: How does a kid from The Lanes become Piltover’s Enforcer?] || [[징크스(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d1b58c 괴물들은 태어나는가 만들어지는가?}}}]][* 공식 문구: Are monsters born or are they built?] || [[밴더|{{{#d1b58c 무엇을 위해 평생의 삶을 걸 수 있나?}}}]][* 공식 문구: What are you willing to risk the life you know for?]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실코|[[파일:아케인 실코.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제이스(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파일:아케인 제이스.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케이틀린(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파일:아케인 케이틀린(재업).jpg|width=100%]]]]}}}|| || [[실코|{{{#d1b58c 정의와 복수의 경계선은 어디인가?}}}]][* 공식 문구: Where do you draw the line between justice and vengeance?] || [[제이스(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d1b58c 진보의 이름으로[br]어디까지 갈 수 있나?}}}]][* 공식 문구: How far are you willing to go in the name of progress?] || [[케이틀린(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d1b58c 누가 윗동네를 위협할[br]정도로 어리석은가?}}}]][* 공식 문구: Who would be so foolish to threaten topside?]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멜(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파일:아케인 멜.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빅토르(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파일:아케인 빅토르.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에코(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파일:아케인 에코.jpg|width=84%]]]]}}}|| || [[멜(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d1b58c 피와 살만으로 전쟁을 이길 수 있나?}}}]][* 공식 문구: Can a war be won with flesh and blood alone?] || [[빅토르(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d1b58c 혁신은 밝은 미래를 위한 열쇠다—[br]그렇지 않은가?}}}]][* 공식 문구: Innovation is the key to a bright future—wouldn't you agree?] || [[에코(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d1b58c 사람에게 필요한 것은 희망의 씨앗 하나뿐이다.}}}]][* 공식 문구: All people need is a single seed of hope.]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등장인물)] == [[아케인(애니메이션)/줄거리|줄거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케인(애니메이션)/줄거리, 앵커=시즌 1)] == 에피소드 목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막''' ||<|2> '''회차''' ||<-2> '''제목''' ||<|2> '''방영일''' || '''러닝 타임''' || || '''각본''' || '''감독''' || '''등급''' || ||<|6> '''A[br]C[br]T[br]1''' ||<|2> 1 ||<-2> '''Welcome to the Playground'''[br]{{{-3 ''우리의 세상에 어서 와''}}} ||<|6> 2021. 11. 6. || 43분 || || {{{-2 크리스티안 링케, 알렉스 이}}} || {{{-2 파스칼 샤뤼, 아르노 들로드}}} || [*15세] || ||<|2> 2 ||<-2> '''Some Mysteries Are Better Left Unsolved'''[br]{{{-3 ''어떤 미스터리는 풀리지 않은 채로 두는 게 낫다''}}} || 41분 || || {{{-2 닉 루딩턴}}} || {{{-2 파스칼 샤뤼, 아르노 들로드}}} || [*15세] || ||<|2> 3 ||<-2> '''The Base Violence Necessary for Change'''[br]{{{-3 ''변화에 필요한 비열한 폭력''}}} || 44분 || || {{{-2 애쉬 브래넌}}} || {{{-2 파스칼 샤뤼, 아르노 들로드}}} || [*15세] || ||<|6> '''A[br]C[br]T[br]2''' ||<|2> 4 ||<-2> '''Happy Progress Day!'''[br]{{{-3 ''즐거운 진보의 날!''}}} ||<|6> 2021. 11. 13. || 40분 || || {{{-2 데이비드 던}}} || {{{-2 파스칼 샤뤼, 아르노 들로드}}} || [*15세] || ||<|2> 5 ||<-2> '''Everybody Wants to Be My Enemy'''[br]{{{-3 ''모두가 나의 적이 되고 싶어 하지''}}} || 40분 || || {{{-2 아만다 오버톤}}} || {{{-2 파스칼 샤뤼, 아르노 들로드}}} || [*15세] || ||<|2> 6 ||<-2> '''When These Walls Come Tumbling Down'''[br]{{{-3 ''이 벽이 무너질 때''}}} || 42분 || || {{{-2 알렉스 이}}} || {{{-2 파스칼 샤뤼, 아르노 들로드}}} || [*15세] || ||<|6> '''A[br]C[br]T[br]3''' ||<|2> 7 ||<-2> '''The Boy Saviour'''[br]{{{-3 ''구세주''}}} ||<|6> 2021. 11. 20. || 40분 || || {{{-2 닉 루딩턴}}} || {{{-2 파스칼 샤뤼, 아르노 들로드}}} || [*15세] || ||<|2> 8 ||<-2> '''Oil and Water'''[br]{{{-3 ''물과 기름''}}} || 40분 || || {{{-2 벤 St. 존, 몰리 St. 존}}} || {{{-2 파스칼 샤뤼, 아르노 들로드}}} || [*15세] || ||<|2> 9 ||<-2> '''The Monster You Created'''[br]{{{-3 ''당신이 만든 괴물''}}} || 39분 || || {{{-2 크리스티안 링케, 알렉스 이}}} || {{{-2 파스칼 샤뤼, 아르노 들로드}}} || [*15세] ||}}} == [[아케인(애니메이션)/사운드트랙#시즌 1|사운드트랙]] == ||
{{{#!wiki style="margin: -6px -10px" [[아케인(애니메이션)/사운드트랙#주요 수록곡|[[파일:Arcane Original Soundtrack Cover.webp|width=100%]]]]}}}||{{{#!wiki style="margin: -6px -10px" [[아케인(애니메이션)/사운드트랙#오리지널 스코어|[[파일:Arcane Original Score Cover.webp|width=100%]]]]}}}|| [include(틀:아케인(애니메이션)/사운드트랙)] 본작 방영일에 맞춰 OST도 3막으로 나눠서 공개했다. 에피소드별 주제가가 수록된 앨범은 각각 2021년 11월 6일, 13일, 20일에 발매됐으며 [[오리지널 스코어]]가 수록된 앨범은 각각 11월 5일, 8일, 15일에 본방보다 먼저 공개되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케인(애니메이션)/사운드트랙, 앵커=시즌 1)] == 제작 비화 == === 다큐멘터리: 균열을 잇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Mz4-38d3-AE)]}}} || || '''파트 1 - 나는 오로지 위험한 꿈만 꾼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xpPyPguzafU)]}}} || || '''파트 2 - 인내 (or 최선을 다해도 엉망이었을 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Qd1rOtu4SMI)]}}} || || '''파트 3 - 키 프레임과 다중 킬의 만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m-MtIYImERI)]}}} || || '''파트 4 - 음악 부적응자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n_dCEd5QRZg)]}}} || || '''파트 5 - 우리가 기울인 최선의 노력'''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드라마), code=arcane, critic=tbd, user=9.3)]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드라마), code=arcane_league_of_legends, tomato=100, popcorn=96)] [include(틀:평가/IMDb, code=tt11126994, user=9.1, list=IMDb Top 250 TV, rank=24)] [include(틀:평가/왓챠, code=tEZAMb8, user=4.2)] [include(틀:평가/알로시네(드라마), code=29127, presse=4.3, spectateurs=4.7)]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4445150, user=9.142)]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4867871, user=9.2)] [[파일:1637677775.png|align=center]] > '''많은 예상을 뒤엎은 채 등장한 아케인은 ‘게임을 원작으로 한 드라마나 영화는 수준 미달이다’라는 논쟁을 끝내버리는 임팩트를 보여주었다. 감정과 존재감이 확고한 등장 캐릭터들, 사랑받을 수밖에 없는 스토리, 신비하고 몰입감 넘치는 세계관과 배경 역사가 모두 단합을 이루어 최고급 시각적 특수효과의 품질에 넋이 나가게 되는 작품이 완성되었다. TV 모니터로 볼 수 있는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기준점을 만들어 버렸으며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인투 더 스파이더버스]]가 등장했을 때처럼, 아케인에 대해 이야기하자면 명작임은 말할 필요도 없고 미래 애니메이션의 기준이 될 것이다.''' >---- > 10/10 - [[https://kr.ign.com/league-of-legends-arcane/11607/review/akein-sijeun-1-ribyu|IGN 리뷰]], '명작(Masterpiece)' 평결 > '''순간순간을 표현하는 방식은 '징크스'처럼 자유분방하지만, 큰 이야기를 전달하는 능력은 '바이'처럼 흔들리지 않는 탄탄함을 가지고 있었다.''' >---- > [[코코(애니메이션)|코코]], [[인크레더블 2]], [[소울(애니메이션)|소울]] 등 [[픽사]] 애니메이션에서 주요 장면을 연출한 김성영 레이아웃 아티스트의 코멘트 [[https://m.facebook.com/skimation#!/story.php?story_fbid=4885329608145447&id=100000053692181&m_entstream_source=timeline&refid=17&_ft_=mf_story_key.4885329608145447%3Atop_level_post_id.4885329608145447%3Atl_objid.4885329608145447%3Acontent_owner_id_new.100000053692181%3Athrowback_story_fbid.4885329608145447%3Astory_location.4%3Astory_attachment_style.photo%3Athid.100000053692181%3A306061129499414%3A2%3A0%3A1638345599%3A1782348519173095299%3A%3A&__tn__=%2As%2As-R|#]] >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스파이더버스]]와 [[러브, 데스 + 로봇/시즌 1#s-3|러브, 데스 + 로봇 《목격자》]]의 계보를 이어받는, 리얼과 아트 사이에 있는 디지털 영상의 도달점. 애니메이션과 CG의 미래.''' >---- > [[코지마 히데오]] [[https://twitter.com/Kojima_Hideo/status/1464922136360132623|#]] 2021년 11월 7일 1막^^(에피소드 1~3)^^, 13일 2막^^(에피소드 4~6)^^, 20일 3막^^(에피소드 7~9)^^을 공개하는 방식으로 총 9개 에피소드를 3개씩 나뉘어 일주일 간격으로 방영했으며 홍보 전략으로 1화부터 3화까지는 무료로 공개하였다. 결과는 평단과 대중 모두에게 대성공. '''작품을 본 누구나 인정할 만한 걸작'''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공개 일주일 만에 전세계 52개국에서 시청률 1위를 차지, 역대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드라마·애니메이션을 통틀어 최고 평점을 기록한 시리즈가 되는 신기록을 세웠다. 우선 [[리그 오브 레전드]]의 배경을 잘 반영하여 원작 게임을 해본 사람에게 익숙한 인물들의 과거를 억지스럽지 않게 풀면서 매력적인 새 인물들을 등장시켜 기존의 이야기에 입체감을 더했다는 점이 높이 평가되고 있다. 게임을 해봐서 주요 캐릭터들의 미래 모습을 알아도 클리세를 깨는 이야기 덕분에 예측하기가 쉽지 않고, 게임을 전혀 모르는 사람들조차 이해하는 데 무리가 없을뿐만 아니라 '''오히려 게임을 모르고 보는 게 더 흥미롭다'''는 반응까지 나올 정도여서 새로운 시청자들의 유입이 용이하다. 애초에 원작 게임 자체가 스토리가 별로 중요시되는 게임이 아니다보니 원작의 구속력이 거의 없어 자유롭게 만든 것이 완성도에 도움이 된 사례.[* 일례로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나 [[스타워즈]] 등에서 캐릭터들을 욱여넣기 위해 인위적인 느낌이 강한 서사를 구성하는 것을 생각해 보면 꽤 차이가 있다. 어느 정도 그 세계관의 팬이 되어야 그 서사를 받아들일 수 있는 여타 프랜차이즈와도 비견되는 요소다.] 애니메이션의 퀄리티 또한 극찬받았다. RISE와 K/DA-Popstar의 뮤직 비디오, 에코 시네마틱 등을 전담해서 제작한 포티셰 프로덕션 특유의 3D 모델링에 진한 2D 맵 텍스쳐를 씌워놓는 스타일이 거침 없이 발휘되었다. 그동안 일본 애니메이션에 활용되었던 [[카툰 렌더링]] 기법이 제작비를 줄이기 위해 쓰였다는 느낌이 강하다면 아케인의 경우 퀄리티를 더 높이는 방식으로 쓰였다고 봐도 무방하다. 3D 모델링의 어색한 느낌이 거의 사라지고 2D 애니메이션에서 볼 수 있는 박력과 리듬감을 묘사하는 데 성공했으며 손그림에서만 느낄 수 있는 회화적 배경의 완성도도 높다.[* 포티셰 프로덕션은 이와 같은 비주얼 스타일을 ''''2.5D'''' 애니메이션이라고 명명했다.[[https://www.vulture.com/amp/article/arcane-netflix-series-league-of-legends-animation-bridge-fight.html|#]]] 2막부터 부각되는 액션의 경우 특유의 카메라 무빙과 애니메이션 효과가 박진감을 더해주며, 정적인 장면에서는 표정을 세밀하게 그려낸 덕에 3막에 이르러서는 등장인물들의 감정 표현이 실제 배우들의 연기를 보고 있는 것처럼 느껴졌다는 평가를 받는다. 아울러 무엇보다 '''인간의 갈등과 [[비극]]에 대한 서사적 이해도가 높아 예술적 완성도가 뛰어나다'''는 압도적인 찬사를 받고 있다. 특히 필트오버(윗동네)와 자운(아랫동네)의 수직적 계급 구도를 통해 인물 간의 갈등이 심리적인 불화로만 축소되지 않았으며, 이러한 사회적 배경이 작중 등장하는 모든 캐릭터들의 관계에 투영되어 종국에는 가장 개인적인 행위가 정치적인 행위로 확장되는 저력을 보여준다. 또한 극이 단순한 두 집단의 대립이나 [[권선징악]] 대신 [[군상극]]으로 전개되기 때문에, 필트오버와 자운 각각에 속한 인물들 간에도 이데올로기적 층위를 두고 인간의 양면성을 그려낸다.[* 자운에 속한 [[바이(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바이]]와 [[징크스(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징크스]]는 물론이고 필트오버에 속한 [[제이스(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제이스]], [[멜(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멜]], [[빅토르(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빅토르]], [[하이머딩거(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하이머딩거]]도 각각이 처한 현실과 입장이 다르다. 윗세대인 [[밴더]]와 [[실코]]의 갈등 역시도 단순한 선악이나 원한 관계가 아니라 사상적 충돌과 더불어 필트오버와 자운처럼 폭력의 순환 구조를 답습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렇게 모든 등장인물의 선택에 당위와 명암이 들어가서 캐릭터들 하나하나가 입체적일 뿐만 아니라, 필연적인 공멸 속에서 인간의 감정과 드라마를 폭발적으로 묘사했다는 격찬을 받는다. 그만큼 탄탄한 대본이 기획 과정에서 제작진이 상당한 노력을 들인 시리즈라는 것을 알게 해준다. 성우진의 연기에 있어서도 최고의 평가를 받았으며, 특히 오리지널 영어 캐스트는 그야말로 절세의 명연기를 보여주어 극의 완성도를 더욱 돋보이게 만들어 주었다는 게 중론이다. 국내 한정으로 우려되었던 국내 성우진에 대한 평도 대부분 호평일색으로 주조연 할 것 없이 모두 훌륭하게 소화했다는 평가다.[* 바이의 성우가 여민정에서 김율로 교체되며 걱정과 우려가 많았지만 현재는 차분한 성격과 잘 맞는 연기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한편 바이, 빅토르, 케이틀린을 제외한 한국 챔피언 성우진은 전부 인게임에서의 캐스팅을 그대로 따랐으며 아케인의 오리지널 캐릭터의 경우 [[정미숙]], [[이장원(성우)|이장원]], [[이선주]] 등 베테랑 성우들을 기용해서 초호화 성우진이라는 평도 있다.] 결론적으로 IP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독립적인 애니메이션 작품으로 평가해도 대단한 수작'''이며 차세대 애니메이션의 미래를 보여주었다는 평가를 받은 작품이다. 주제나 스토리 자체가 특별한 것은 아니지만 인물, 서사, 대사, 연기, 연출, 작화, 동화, 음악 등 모든 면에서 최고의 퀄리티를 보여주고 있어 소위 대중이 원하는 웰메이드 애니메이션의 정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흥행 == || {{{-1 기록된 성적은 '''[[https://top10.netflix.com/|Netflix Top 10]]''' 및 '''[[https://flixpatrol.com/title/arcane/|FlixPatrol]]'''을 출처로 하고 있습니다.}}} || ||<-4> '''{{{#d1b58c 넷플릭스 시청 시간}}}''' || || '''날짜''' || '''전체 순위''' || '''영어 순위''' || '''주간 시청 시간''' || || 2021-11-01(월) ~ 2021-11-07(일) || - || - || - || || 2021-11-08(월) ~ 2021-11-14(일) || 3위 || 2위 || 34,170,000시간 || || 2021-11-15(월) ~ 2021-11-21(일) || 3위 || '''1위''' || 38,420,000시간 || || 2021-11-22(월) ~ 2021-11-28(일) || 6위 || 4위 || 29,660,000시간 || || 2021-11-29(월) ~ 2021-12-05(일) || 9위 || 5위 || 18,180,000시간 || || 2021-12-06(월) ~ 2021-12-12(일) || 13위 || 7위 || 13,470,000시간 || || 2021-12-13(월) ~ 2021-12-19(일) || 17위 || 9위 || 10,010,000시간 || || '''{{{#d1b58c 누적 시청 시간}}}''' ||<-3> '''143,910,000시간''' || ||<-4> [[https://top10.netflix.com/|{{{#d1b58c Netflix Top 10 집계 기준 }}}]] || 11월 7일에 1막, 13일에 2막, 20일에 3막이 나누어 공개되었다. 나라별로 시간대가 다른 탓에 일부 국가를 제외하면 그다음 날에 통계가 집계되었다. [[https://top10.netflix.com/|넷플릭스 탑 10]] 기준 총 52개국에서 1위를 차지했다.[[https://www.ibtimes.com/arcane-sets-record-netflixs-best-rated-show-3334969|#]]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01e, #40111c)" '''1주차 (ACT 1 공개)'''}}} || || [[파일:arcane Netflix.png|width=100%]] || ||[[플릭스패트롤]][* 이하 통계는 [[https://flixpatrol.com/top10/streaming/world/history|여기 참조]].] 집계 2021년 11월 7일 첫날 15점, 34위로 데뷔를 했다. 8일과 9일에는 글로벌 랭킹 1위를 차지했다. [[https://top10.netflix.com|공식 사이트]]. 11월 1일~7일까지 집계된 첫 주간 시청 총계는 순위권 밖이나 주간 불가리아 6위, 터키 7위, 체코 10위, 베트남 7위를 기록했다.[* 출처는 공식 사이트 최하단 Download Country Lists 엑셀 파일.] 11월 8일~14일까지 집계된 사실상의 첫 주간 시청 시간 총계는 34,170,000 시간이며, 해당 주 글로벌 TV 순위 3위, 해당 주 글로벌 TV&영화 순위 5위에 해당하는 성적을 거뒀다. || || '''2주차 (ACT 2 공개)''' || ||플릭스패트롤 집계 13일 4위를 기록했다. 14일 반등하여 16일까지 1위를 차지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00001e, #40111c)" '''3주차 (ACT 3 공개)'''}}} || ||플릭스패트롤 집계 20일에 7위를 기록했다. 반등하여 21일에 다시 1위를 차지했다. 이후 [[지옥(드라마)]]에게 1위를 빼앗겼다.|| || '''4주차 이후''' || ||플릭스패트롤 집계 27일 이후로 쭉 3위를 유지하는 중. || == 기타 == * '''제작 기간만 총 6년''' 걸렸다고 한다.[[https://www.esportmaniacos.com/lol/kails-arcane-detalles-lol|#]] 본래 공개일은 [[2020년]]이었으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2021년으로 연기하여 공개되었다. * 공식 포스터에서 [[바이(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바이]]가 안고 있는 [[징크스(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파우더]]의 앞머리를 유심히 보면 JINX라는 글자처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해당 포스터의 컨셉아트를 그린 작가가 [[이스터 에그]]로 넣은 것이라고 한다.[[https://twitter.com/VictorMaury_/status/1465400886755139587|#]] * 홍보를 위해 라이엇의 모든 게임에서 필트오버와 자운 테마의 이벤트를 진행했다. *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는 [[제리(리그 오브 레전드)|자운 출신의 원거리 딜러 챔피언]]이 출시될 것으로 예고되었으나 결국 연기되었다.[* 신규 챔피언 2명을 본 이벤트에 결부시키려고 했으나 결국 잘 맞지 않는다고 판단해 2022년으로 밀려났다.] 한편 [[케이틀린(리그 오브 레전드)|케이틀린]]의 아트 및 지속 가능성 업데이트[* 케이틀린을 시작으로 도입되는 새로운 유형의 챔피언 업데이트.[[https://www.leagueoflegends.com/ko-kr/news/dev/champion-roadmap-september-2021/|#]]]가 진행되어 일러스트 및 대사가 본작 설정에 맞게 변경되었다. * [[와일드 리프트]] 5차 대규모 패치와도 시기가 겹쳐서 필트오버와 자운을 테마로 한 이벤트가 진행되었으며, 본작의 등장인물들 중 제이스, 케이틀린이 출시되었다. * [[리그 오브 레전드/전략적 팀 전투|TFT]]에서는 필트오버의 마법공학 기술을 테마로 한 세트 6이 출시되었다. 이후 [[리그 오브 레전드/전략적 팀 전투/시즌6|시즌 6.5]]에 최초의 전략적 팀 전투 고유 기물로 '''본작의 오리지널 캐릭터인 [[실코]]가 추가'''되었다. * [[레전드 오브 룬테라]]에도 이벤트가 예고되었는데, 이후 '챔피언의 길'이라는 신규 연구소 컨텐츠가 업데이트 되어 징크스, 바이, 제이스, 케이틀린의 스토리를 볼 수 있게 되었다. * [[발로란트]]에서는 아케인 테마의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는 배틀패스와 무기 스킨이 추가됐다. *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결승|2021 LoL 월즈 결승전]] 오프닝 무대는 사실상 본작의 홍보 무대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였다. 무대 자체가 작품 속 세상에서 이뤄지는 컨셉이어서 출연자 모두가 본작과 어울리는 복장과 분장으로 참여해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 인종, 연령, 성별 등 한 쪽에 치우치지 않은 설정들이 보수적인 시청자층들도 불쾌하지 않을 정도로 어우러졌단 평가가 많다. 가령 필트오버의 의원에는 중성적인 흑인, [[멜(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여성 흑인]], 기계 인간, [[하이머딩거|인간이 아닌 이종족]]까지 있으며 지하도시의 간부급 인물들은 모두 엄연히 신체 [[장애인]]이다. 또한 극중 액션을 담당하는 캐릭터들이 대부분 여성[* 바이, 징크스, 세비카, 케이틀린 등]인데 반해 기교 있고 섬세한 캐릭터들은 남성[* 빅토르, 실코, 제이스, 하이머딩거, 신지드 등] 비중이 높은 것도 상기할 부분인데, 이는 원작에서도 어느 정도 이어지던 기류를 본작의 탄탄한 이야기 구성으로 적절하게 재해석한 사례로 보인다. 극이 진행되면서 이런 색이 차츰 짙어지기도 하는 데 2막에서는 본격적으로 동성애, 양성애적 코드가 등장하고[* [[집창촌]]에서 바이가 케이틀린에게 남자, 여자 중 어느 쪽이 취향인지를 물어보고 남자를 붙여주었으나 이후 케이틀린이 업소의 여성과 함께 방안에서 대화를 나누며 성적 지향을 은근히 드러내는 장면이 나온다. 상당히 균형을 잘 맞춘 편인데 시청자들의 관점에 따라 해석을 달리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단 레즈비언 엑스트라가 하나 등장했고 케이틀린도 처음엔 남성 손님과 붙었으나 나중에는 여성 손님과 붙었으니 레즈비언이라고 해석할 수 있는 반면, 케이틀린이 남자와 여자 중 어느 쪽이 취향인지 밝히지 않았고 그저 증거를 수집하기 위해 붙어 있는 것이라고 언급되었기 때문에 케이틀린은 레즈비언이 아니라고 해석할 수 있다.[br]케이틀린과 바이의 관계에 있어서도 의도적으로 여러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 두었는데, 서로 정신적으로 많이 의지하는 모습을 보일 뿐 친구나 동료 사이로 볼 수도 있고, 연인 사이라고 해석해도 무리가 없을 정도의 친밀감으로 묘사되었다. 캐릭터를 망치지 않으면서 성소수자들도 존중하는 모범 사례다.] 3막에서는 근육질에 강인한 흑인 노년 여성이 권력자로 등장한다. * 2022년 11월 8일 열린 [[https://www.reddit.com/r/arcane/comments/yp9d4b/s1_spoilers_were_christian_linke_and_alex_yee|AMA 세션]]에서 팬들과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참고로 시즌 1 제작 당시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은 작품은 영국 드라마 《[[피키 블라인더스]]》라고 한다. 또 대사를 쓸 때 가장 어려운 캐릭터는 [[실코]]와 [[징크스(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징크스]]이며, 두 사람의 각본은 주로 알렉스 이가 담당했다고. 한편 제작진이 가장 좋아하는 화는 에피소드 6이며 최애캐는 [[하이머딩거]]라고 한다. * 국내 더빙판의 경우 [[바이(리그 오브 레전드)|바이]]의 성우가 [[여민정]]에서 [[김율]]로, [[케이틀린(리그 오브 레전드)|케이틀린]]의 성우가 [[김영은(성우)|김영은]]에서 [[이슬(성우)|이슬]]로, [[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빅토르]]의 성우가 [[이광수(성우)|이광수]]에서 [[장민혁]]으로 바뀌었다. 빅토르의 경우 설정상 바뀐 게 이해가 간다는 평이 많았지만, 여민정, 김영은 성우의 미합류는 의외라는 반응이 많았다. 이후 케이틀린의 경우 게임 속 케이틀린의 비주얼 업데이트 과정에서 아케인과 동일한 성우인 [[이슬(성우)|이슬]]의 목소리로 재더빙되면서 성우가 역으로 통일되었다. * 중국 더빙판의 경우 [[LPL]] 중계진 중 5명이 까메오로 참여했다고 한다. * 중국판 한정으로 홍콩 가수 천이쉰(陳奕迅)이 부른 '외로운 용사(孤勇者)'라는 곡이 OST에 추가되었다.[[https://youtu.be/Hlp8XD0R5qo|#]] 그러나 2022년 10월, 이 곡은 중국 본토에서 금지곡으로 지정되어 검열되었다. 자세한 이유는 [[탱크맨]] 문서 참고.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 version=r1019, title2=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 version2=r1035)] [[분류:아케인(애니메이션)]][[분류:프랑스 애니메이션/목록]][[분류:미국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21년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