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동남아시아의 언어)] ||<-2> {{{+4 '''Bahsa Acèh'''}}} || ||<-2> {{{+1 '''아체어'''}}} || ||<-2> '''언어 기본 정보''' || || 주요사용지역 ||[[인도네시아]] [[아체]] || || 원어민 ||'''약 350만 명''' || || 어족 ||'''[[오스트로네시아어족]][br][[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br]순다술라웨시어군[br]말레이숨바와어군[br]참어군[br]아체어''' || || [[문자]] ||[[라틴 문자]] || ||<-2> '''언어 코드''' || || [[국제표준화기구|ISO]]-639-1 ||- || || [[국제표준화기구|ISO]]-639-2 ||- || || [[국제표준화기구|ISO]]-639-3 ||'''ace''' || ||<-2> '''주요 사용 지역''' || ||<-2> || || [[영어]] ||Acehnese language || || [[마인어]] ||Bahasa Aceh || [목차] == 개요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숨바와어군]] 내 [[참어군]]에 속하는 언어. [[마인어]], [[순다어]], [[마두라어]] 등과는 같은 [[말레이숨바와어군]]에 속하여 많은 특성을 공유한다.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최북단의 [[아체]] 주에서 사용되는 언어이자 [[아체인]]들이 사용하고 있는 언어다. 뜬금없게도 [[베트남]] 남부 고대 [[참파 왕국]]에서 사용된 [[참어]]와는 같은 [[참어군]]으로 아주 가깝다. 고대에 이루어진 해양 이주의 결과. 화자 수는 350만~500만 명 수준이나 [[자바섬]], [[말레이 반도]]와 다른 독자적인 문화권을 형성하고 있다는 자부심이 매우 강한 지역이다 보니[* [[아체 술탄국]]은 근세 동남아시아에서 [[말라카 해협]]의 통제에 관여하던 지역 강대국 중 하나로서 전성기 때는 말레이 반도의 [[조호르 술탄국]]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였다. 물론 말레이 반도와 가까워 말레이 반도의 문화적, 정치적 영향도 많이 받았다. 전통 시대에는 아체어 외에 고전 [[말레이어]]도 문어로 쓰였다.] 문어로도 쓰인다. [[발리어]]와 비슷한 사례. 물론 이 지역에서도 압도적인 영향력을 가진 문어는 [[인도네시아어]]다. == 음운과 표기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 중 음운 구조가 복잡하기로는 [[마두라어]]와 함께 수위권을 달린다. 우선 단모음은 이하의 10개가 있다. 왼쪽은 로마자 표기법 상 표기, 오른쪽은 IPA. || || 전설 평순 || 후설 평순 || 후설 원순 || || 고모음 || i /i/ || eu /ɯ/[* 중설 평순 고모음 /ɨ/와 이음 관계.] || u /u/ || || 중고모음 || é /e/ || ë, e /ɤ/[* 일부 서적에서 /ə/로 표기하기도 함] || ô /o/ || || 중저모음 || è /ɛ/ || ö /ʌ/ || o /ɔ/ || || 저모음 || || a /ɑ/[* 일부 서적에서 /a/로 표기하기도 함] || || 이 외에도 12개의 [[이중모음]]이 존재하는데, /ɤ/로 끝나는 것(/iɤ, ɯɤ, uɤ, ɛɤ, ʌɤ, ɔɤ/)과 /i/로 끝나는 것(/ui, ɤi, oi, ʌi, ɔi, ɑi/)이 있다. 또한 [[비모음]]도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위의 표에서 중고모음 3개를 제외한 7개 모음 전체가 비모음화 가능하다. 음운론적으로 비모음의 출현에는 엄격한 제약이 따른다. [[강세]] 없는 음절의 모음이 비모음일 필요충분조건은 바로 앞의 자음이 아래에 나오는 후파열비음인 것이다. 비모음으로 실현되는 이중모음은 5개가 있다. 자음 구조에서 특이한 점은 세계적으로 희귀한 후파열비음(post-stopped nasal)의 체계를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후파열비음은 불완전비음(incomplete nasal)으로 불리기도 하며, [[비음]]에 짧은 [[파열음]]이 결합되어 하나의 자음 음소처럼 취급되는 것이다. 아체어에서 사용되는 후파열비음은 mb /mᵇ/, nd /nᵈ/, nj /ɲᶡ/, ngg /ŋᶢ/ 넷이 있다. 이 4종의 후파열비음을 제외하면 자음 표기는 인도네시아어와 기본적으로 같다(ny /ɲ/, sy /ʃ/ 등). 같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인 [[말라가시어]]나 [[부기스어]]에서는 반대로 선비음화(prenasalization) 현상이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것과 비교해볼 수 있다.[* 후파열비음과 선비음화된 파열음(가령 /ᵐb, ⁿd/) 모두 비음-파열음이 결합되어 하나의 자음처럼 쓰이는 것인데, 둘의 차이는 비음과 파열음 중 어떤 음이 더 길게 발음되느냐이다. 즉 비음이 길고 파열음이 짧으면 후파열비음, 비음이 짧고 파열음이 길면 선비음화된 파열음.] 현대에는 [[로마자]] 표기법이 정립되어 주로 로마자로 표기하지만 과거에는 [[아랍 문자]]를 차용한 [[자위 문자]]로 표기되었다. == 문법 ==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서 볼 수 있는 [[접사]]의 활용이 상당히 정교화되어 있다. [[마인어]]나 [[자바어]]라면 단순히 [[부사]]로 표현하거나 무시했을 온갖 문법요소를 나타내는 접사가 있다. 특히 인칭접사가 광범위하게 붙으며, 동사의 인칭접사에 따라 [[주어]]를 생략하는 경우가 잦다. [[의도성]](volitionality)에 따라 [[동사]]의 일치가 달라지므로 [[분열 능격성]](split ergativity)을 보이는 언어이기도 하다. == 들어 보기 == 수마트라섬에서 서북해안 아체어권, 즉 [[아체]]주는 동해안의 [[말레이어]]권 및 서해안의 [[미낭카바우어]]권과 함께 독자적인 음악, 무용 등 전통 공연 문화를 오랫동안 발달시켜 온 지역이다. 아체주에는 풍부한 음악 전통과 강한 독자 정체성에 힘입어 오늘날 풍성한 아체어 음악 문화가 발달해 있다. 아체는 오늘날 이슬람 강경파가 득세하는 지역으로 악명이 높아 언뜻 주민들이 대중음악을 죄악시할 것 같은 인상이 있지만 실상은 조금 다르다. 종교는 종교고, 아체라고 인터넷과 유튜브가 막힌 곳은 아니므로 놀 사람은 다 알아서 논다.[* 이 둘을 적절히 조화시킨 종교적 대중 음악도 꽤 발달해 있다. 예를 들면 일종의 [[라마단]] [[캐럴(음악)|캐럴]]이라고 할 수 있는 [[https://youtu.be/XirXT-TynJw|'Ramadhan']] 등.] 아체에서 조금만 나가면 세속적 문화, 특히 음악(마인어) 문화가 발달한 [[메단|메단]] 도시권도 있으며, 메단 등 동해안 말레이어권 음악 문화는 아체에도 영향을 주었다. 아체 중심지 [[반다아체]]는 메단 같은 대도시는 아니지만, 나름대로 소소한 라이브 공연 문화가 있고, (비록 [[히잡]]은 FM대로 착용하기는 하지만) 여성 가수들도 활발히 공연하고 있다. 현대 아체어 대중음악의 다양성과 질은 비록 인도네시아 3대 언어인 인도네시아어, [[자바어]], [[순다어]] 음악에 비하면 조금 떨어지는 편이지만, 이들을 제외한 소수 언어 음악 중에서는 수위권으로 평가할 만하다. 오랑우탄 스쿼드(Oranghutan Squad) 같은 유명 그룹은 아체어 등으로 노래하더라도 어느 정도 전국적 명성이 있다. [youtube(ChbVA2xpeuc)] Oranghutan Squad - Meuseuraya. 이 곡은 아체어를 포함해 아체주에서 쓰이는 총 7개(방언까지 8개) 언어로 되어 있다. 처음에 나오는 시는 [[가요어]], 그 다음 랩은 아체어(dua blah ...)로 시작해서 가요어(Ueren i payungi ...), [[바탁어군]]인 알라스어(Guneken pikhekhen bage ...), 다시 타미앙(Tamiang) 지역의 아체어-말레이어 방언(Kaseh pape setie ...), 수마트라 서쪽의 부속 도서에서 쓰이는 시믈루으(Simeulue)어(Simeulue ate fulawan ...), 바탁어군인 클루읏(Kluet)어(Ulang sage ceroko ...), 인도네시아어(Bangsa aceh ini adalah ...), 마지막으로 나오는 시는 아체어(Nanggroe aceh ...). [[분류:오스트로네시아어족]][[분류:인도네시아의 언어]][[분류:개별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