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소련의 괴뢰국]][[분류:아제르바이잔의 역사]][[분류:1946년 멸망]][[분류:이란-아제르바이잔 관계]][include(틀:아제르바이잔의 역사)] [include(틀:이란의 역사)] [include(틀:소련의 괴뢰국)] ||
<-4><:>{{{#E81123 '''{{{+2 아제르바이잔 인민 정부 }}}'''[br]آذربایجان میللی حکومتی [br]حکومت خودمختار آذربایجان}}} || ||<-2><:> [[파일:Flag_of_the_Azerbaijan_People's_Government.jpg|width=150]] ||<-2><:> [[파일:Coat_of_arms_of_Azerbaijan_People's_Government.jpg|width=150]] || ||<-2><:> {{{#E81123 '''국기'''}}} ||<-2><:> {{{#E81123 '''국장'''}}} || ||<-4> {{{#E81123 '''지도'''}}} || ||<-4> [[파일:Republic_of_mahabad_and_iranian_azerbaijan_1945_1946.png|width=90%]] || ||<-4> {{{#faebd7 아제르바이잔 인민 정부 (연두) [[마하바드 공화국]] (노랑)}}} || ||<-4><:> {{{#E81123 '''1945년 11월'''}}} {{{#E81123 '''~'''}}} {{{#E81123 '''1946년 12월'''}}} || ||<-3><:> {{{#E81123 '''수도'''}}}||[[타브리즈]] || ||<-3><:> {{{#E81123 '''언어'''}}}||[[아제르바이잔어]] || ||<-3><:> {{{#E81123 '''정치체제'''}}}||[[사회주의]] || ||<-3> {{{#E81123 '''역사'''}}} ||<-3>• 건국: 1945년 11월 • 멸망: 1946년 12월 || [목차] [clearfix] == 개요 == [[페르시아 위기]]로 인해 [[남아제르바이잔]] 지역에 건국되었던 국가로써, [[마하바드 공화국]]처럼 [[소련]]의 괴뢰국이였다. 아제르바이잔과는 내외몽골 관계와 비슷했다. == [[페르시아 침공]]과 건국 == 1941년 8월, [[페르시아]]를 통해 [[소련군]]에게 전쟁 물자를 공급하기 위해 [[영국]]과 소련군은 공동으로 페르시아를 점령했다. 그리고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과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페르시아 영토로 진입한 소련군과 이라크에서 진입한 [[영국군]]은 곧 페르시아를 장악했다. 그 후 9월 16일, 영국은 [[레자 샤 팔라비]]를 강제 퇴위 시키고 아들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에게 양위하도록 강요했다. 1941년 9월 레자 샤 팔라비의 폐위와 함께 소련군은 군사적, 전략적 이유로 [[타브리즈]]와 남아제르바이잔 지역을 점령했으며, 이후 1945년 [[소련]]이 자파르 피셰바리의 지도 아래 수립한 아제르바이잔 인민정부는 타브리즈에서 선포되었다. 인구의 절반이 소수 민족으로 구성된 국가에 민족적 동질성을 강요하기 위해 레자 샤 팔라비는 이전에 학교, 연극 공연, 종교 의식, 그리고 마지막으로 책 출판에 [[아제르바이잔어]]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빠른 연속 금지령을 내렸지만 공화국 건국 이후, [[페르시아어]]로 대체되었던 아제르바이잔 문학의 부흥이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공화국의 작가, 언론인, 교사들의 도움으로 촉진되었다. == 멸망 == 1946년 12월 중순, 미국과 영국의 지원을 받은 이란군은 타브리즈에 재진입하여 아제르바이잔 인민 정부를 멸망 시켰다. 주요 정부 인사들과 총리는 소련으로 [[망명]]했으며, [[무정부 상태]] 동안 [[페르케족]] 지지자 약 500명이 사망했다. 소련군은 남아제르바이잔에 주둔했을 때 신사적으로 행동했지만 페르시아군은 지역 주민들을 잔인하게 학살했다. 소작농들의 농지는 불에 탔으며 아내와 딸들은 강간당했다. 그리고 집들이 약탈당하고 가축들이 도둑맞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