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ff>
[[파일: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100%]]|| ||||<:><#006946> ''' {{{+1 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fff> '''{{{#006946 Ireland national rugby union team}}}''' || || '''소속단체''' ||[[아일랜드 럭비 풋볼 유니언]] || || '''감독'''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앤디 패럴]] (Andy Farrell)[* 잉글랜드 주장 [[오웬 패럴]]의 아버지다] || || '''주장''' ||[[조니 섹스턴]] (Johnny Sexton) || || '''최다 출전자''' ||[[브라이언 오드리스콜]] (Brian O'Driscoll) 133회[* [[브리티시 앤드 아이리시 라이언스]]에서 8회로 개인 기록 141회. 주장으로선 라이온스 1회까지 84회로 역대 3위] || || '''최다 득점자''' ||[[조니 섹스턴]] (Johnny Sexton) 1108점 || || '''최다 트라이''' ||브라이언 오드리스콜 (Brian O'Driscoll) 46회 || || '''홈 구장''' ||[[아비바 스타디움]] (Aviva Stadium)) || || '''첫 국제경기''' ||VS [[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잉글랜드]] (0:7 패), 1875년 2월 15일 || || '''최다 점수차 승''' ||VS [[미국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미국]] (83:3 승), 2000년 6월 10일 || || '''최다 점수차 패''' ||VS [[뉴질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뉴질랜드]] (0:60 패), 2012년 6월 23일 || || '''[[럭비 월드컵]]''' ||10회 출전, 최고 기록 8강 || || '''[[월드 럭비 랭킹]]''' ||최고 '''1위'''^^(2023)^^ / 최저 '''9위'''^^(2013)^^ || || '''역대 전적''' ||746전 353승 32무 361패 (47.3%)[* 2023년 10월 15일 기준, [[https://en.wikipedia.org/wiki/Ireland_national_rugby_union_team#Overall|출처]]]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일랜드 공화국과 북아일랜드로 이루어진 팀이다. 22년 7월부터 65주간 [[월드 럭비 랭킹]] 1위를 유지했다. 23년에도 다른 팀들을 두들겨 패고 다니고 있고, [[2023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에서도 압도적인 실력으로 그랜드 슬램을 차지했다. [youtube(L_RkJt3mKHg)] == 역대 전적 == 2023년 10월 15일 기준 === 감독별 전적 === || '''이름''' || '''기간''' || '''총전적''' || '''승''' || '''무 '''|| '''패''' || '''승률''' || ||아마추어 시대 || 1969~1995 ||<-5> 확인 불가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머리 키드 || 1995~1997 || 9전 || 3승 || || 6패 || '''33.3%'''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브라이언 애쉬튼 || 1997~1998 || 8전 || 2승 || || 6패 || '''25%'''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워렌 개틀랜드]] || 1998~2001 || 38전 || 18승 || 1무 || 19패 || '''47.4%''' || ||에디 오설리번 || 2001~2008 || 78전 || 50승 || || 28패 || '''64.1%''' || ||마이클 브래들리[* 임시 감독] || 2008 || 2전 || || || 2패 || 0% || ||[[디클랜 키드니]] || 2008~2013 || 53전 || 28승 || 3무 || 22패 || 52.8%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레스 키스 || 2013 || 2전 || 2승 || || || 100%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조 슈미트(럭비)|조 슈미트]] || 2013~2019 || 77전 || 56승 || 1무 || 20패 || '''72.7%'''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앤디 패럴]]''' || 2019~ || 43전 || 35승 || || 8패 || '''81.4%''' || ||<-6> 프로 시대 평균 || '''62.5%''' || 20세기까지 아일랜드는 그저 그전 별볼일 없는 팀이었다. [[럭비 월드컵]]도 8강 이상 올라가지 못하는 팀이었고 승률도 강팀과는 거리가 멀었다.[* 통산 승률이 46%대니까 아마추어 시대에도 미적지근했다고 추측은 할 수 있다.] 21세기에 접어들며 사정은 조금 나아졌지만, 6할대를 찍던 오설리번 시절에도 주요 대회 결과는 신통치 않아서 여름 투어에선 '''[[SANZAAR]]'''라고 불리는 남반구 4강에게 '''단 1승도''' 하지 못했고, 월드컵이나 식스 네이션스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 없이 7년 임기를 마친다.[* 객관적으로 기록에 남는 성과라고는 2004,2006,2007 식스 네이션스 트리플 크라운 뿐, 우승은 전무했다.] 이후 2009년 식스 네이션스 그랜드 슬램의 기쁨도 잠시, 여전히 여름 평가전에서 SANZAAR 4팀에겐 1승도 챙기지 못했고 식스 네이션스는 타이틀이 전무한, 그야말로 암흑기에 빠진다. 그러다 마침내 2013년, 명장 조 슈미트가 취임하며 분위기가 극적으로 달라진다. 미지근하던 성적은 짧은 기간에 화끈하게 올랐고 2014,2015 식스 네이션스 연속 우승, 여름 투어는 2014 아르헨티나에 2:0, 2016년 남아공에 1:2, 2018년 호주에 2:1로 상당히 괜찮은 결과를 냈다. 무엇보다 2018년 가을 [[올 블랙스]]에 승리를 거두고 6년 임기를 7할대 승률로 마쳤으니, 비록 2015 월드컵에선 예상치 못하게 8강에서 아르헨티나에게 졌지만 이런 분이기만 계속 가져가면 충분히 성공할 수 있었다. 2019년 앤디 패럴이 이어서 지휘봉을 잡으며 분위기는 더더욱 치솟는다. 월드컵 8강 이상 가지 못하는 저주때문에 2019년 대회에서 뉴질랜드에게 8강에서 무릎을 꿇었지만 2022년 여름 투어에서 2:1로 역사적인 승리를 거두며 세계 랭킹 1위에 우뚝 올라섰고, 가을 투어에서도 남아공, 호주에 승리하며 현 시점 최강의 팀임을 다시금 확인했다. 2023 식스 네이션스 그랜드 슬램으로 8할대 승률을 달성했으며 국내외 럭비 팬들도 앤디 패럴에 대한 반응이 좋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23 럭비 월드컵]]에서 끝끝내 8강의 저주를 깨지 못하고 탈락했다. 이정도면 저주같은 미신이 아니라 과학 내지는 법칙이 아닌가 싶다. === 주요 대회 성적 === ||<-4> '''[[럭비 월드컵|{{{#fff 럭비 월드컵}}}]]''' || || '''연도''' || '''개최국''' || '''최종 순위''' || '''비고''' || || [[1987 럭비 월드컵|1987]]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호주[br][[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30]] 뉴질랜드 || 8강 ||8강전 vs 호주(15:33) || || [[1991 럭비 월드컵|199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잉글랜드[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프랑스[br][[파일:IRFU 로고.png|width=30]] 아일랜드[br][[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30]] 스코틀랜드[br][[파일:웨일스 국기.svg|width=30]] 웨일스 || 8강 ||8강전 vs 호주(18:19) || || [[1995 럭비 월드컵|1995]]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남아공 || 8강 ||8강전 vs 프랑스(12:36) || || [[1999 럭비 월드컵|1999]] ||[[파일:웨일스 국기.svg|width=30]] 웨일스 || 조별리그 ||8강 플레이오프 vs 아르헨티나(24:28) || || [[2003 럭비 월드컵|2003]]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호주 || 8강 ||8강전 vs 프랑스(21:43) || || [[2007 럭비 월드컵|2007]]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프랑스 || 조별리그 ||조 3위 || || [[2011 럭비 월드컵|2011]]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30]] 뉴질랜드 || 8강 ||조별리그 4전 전승[br]8강전 vs 웨일스(10:22) || || [[2015 럭비 월드컵|201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잉글랜드 || 8강 ||조별리그 4전 전승[br]8강전 vs 아르헨티나(20:43) || || [[2019 럭비 월드컵|2019]]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일본 || 8강 ||8강전 vs 뉴질랜드(14:46) || || [[2023 럭비 월드컵|2023]]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프랑스 || 8강 ||조별리그 4전 전승[br]8강전 vs 뉴질랜드(24:28) || 아일랜드 대표팀은 [[뉴질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올블랙스]]를 이긴 적이 있고 [[식스 네이션스]] 그랜드슬램을 할 정도로 강팀이나, 이상하리만큼 월드컵과는 인연이 없다. 9번의 월드컵 중 무려 7번을 8강에서 탈락했다. 심지어 2015년엔 8강에서 절대 질것 같지 않았던 아르헨티나에게 20:43으로 충격패하며 탈락, 2019년엔 그 전까지 여러 차례 이겨본 뉴질랜드에 참패하며 탈락... 아일랜드보다 한 수 아래로 여겨지는 스코틀랜드, 아르헨티나조차 4강 경험이 있는 것에 비하면 지지리도 운이 없다. 2022년을 [[월드 럭비]] 랭킹 1위로 마무리했는데, 아일랜드를 포함해 프랑스, 스코틀랜드 등 북반구가 예전보다 강세인 상황이어서 과연 2023년 프랑스 월드컵에선 어떨지 많은 팬들이 기대를 하고 있다.--하지만 20강 조가 아주 멋지게 짜여서 현재 1~4위인 아일랜드, [[프랑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프랑스]], [[뉴질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뉴질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남아프리카공화국]] 중 2팀만이 4강에 갈 수 있다-- 오죽했으면 어떤 유튜버가 "아일랜드 존X 잘한다! '''8강 이길 수 있겠지?'''" 라는 영상을 올리자 댓글에 "가능! (희망사항)"이란 말이 달렸다.[[https://youtu.be/otaXu4t7MVM|링크]] 그리고 그 꿈은 허무하게 박살났다. 꽤 오래 전에 8강에서 뉴질랜드에 진다고 농담처럼 써놨는데,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7>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fff 홈 네이션스}}}]]''' {{{#fff (1883 ~ 1909 / 1932 ~ 1939)}}} || || '''참가국''' || '''우승''' || '''그랜드 슬램''' || '''트리플 크라운''' || '''우든 스푼''' ||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30]] 스코틀랜드 || 11회 || || 7회 || 5회 || ||[[파일:웨일스 국기.svg|width=30]] 웨일스 || 10회 || 2회[* 1908,1909년 대회는 프랑스가 중간에 참가하여 추가 경기를 치뤘다. 그래서 홈 네이션스 중 두 해만 그랜드 슬램이 있었다.] || 6회 || 2회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잉글랜드 || 9회 || || 5회 || 7회 || ||[[파일:IRFU 로고.png|width=30]] 아일랜드 || 7회 || || 2회 || 10회 || ||<-7>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fff 파이브 네이션스}}}]]''' {{{#fff (1910 ~ 1931 / 1940 ~ 1999)}}} || || '''참가국''' || '''우승''' || '''그랜드 슬램''' || '''트리플 크라운''' || '''우든 스푼'''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잉글랜드 || 23회 || 11회 || 16회 || 10회 || ||[[파일:웨일스 국기.svg|width=30]] 웨일스 || 23회 || 6회 || 11회 || 6회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프랑스 || 20회 || 6회 || || 9회 ||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30]] 스코틀랜드 || 11회 || 3회 || 3회 || 15회 || ||[[파일:IRFU 로고.png|width=30]] 아일랜드 || 11회 || 1회 || 4회 || 15회 || ||<-7>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fff 식스 네이션스}}}]]''' {{{#fff (2000 ~ )}}} || || '''참가국''' || '''우승''' || '''그랜드 슬램''' || '''트리플 크라운''' || '''우든 스푼'''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잉글랜드 || 7회 || 2회 || 5회 || || ||[[파일:웨일스 국기.svg|width=30]] 웨일스 || 6회 || 4회 || 5회 || 1회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프랑스 || 6회 || 4회 || || 1회 || ||[[파일:IRFU 로고.png|width=30]] 아일랜드 || 5회 || 3회 || 7회 || ||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30]] 스코틀랜드 || || || || 4회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이탈리아 || || || || 18회 || 2000년 이후로 7번의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으며 이는 챔피언십 최대 기록이다. 침체기가 많았지만 운 좋게 우든 스푼은 한 번도 받지 않았다--[[이탈리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이 팀]] 덕분에-- === 국가별 상대전적 === || '''상대국''' || '''총전적''' || '''승''' || '''무''' || '''패''' || '''승률'''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30]] [[뉴질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뉴질랜드]] || 37전 || 5승 || 1무 || 31패 || 13.5%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남아프리카 공화국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남아공]] || 28전 || 9승 || 1무 || 18패 || 32.1%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프랑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프랑스]] || 102전 || 36승 || 7무 || 59패 || 35.3%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잉글랜드]] || 141전 || 53승 || 8무 || 80패 || 37.6% ||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호주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호주]] || 37전 || 14승 || 1무 || 22패 || 37.8% || ||[[파일:웨일스 국기.svg|width=30]] [[웨일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웨일스]] || 134전 || 57승 || 7무 || 70패 || 42.5% ||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30]] [[스코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스코틀랜드]] || 141전 || 70승 || 5무 || 66패 || 49.6% || ||[[파일:나미비아 국기.svg|width=30]] [[나미비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나미비아]] || 4전 || 2승 || || 2패 || 50%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아르헨티나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 || 19전 || 13승 || || 6패 || 68.4% || ||[[파일:사모아 국기.svg|width=30]] [[사모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사모아]] || 8전 || 7승 || || 1패 || 87.5%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30]] [[캐나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캐나다]] || 8전 || 7승 || 1무 || || 87.5%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이탈리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이탈리아]] || 36전 || 32승 || || 4패 || 88.9%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일본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일본]] || 10전 || 9승 || || 1패 || 90%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30]] [[루마니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루마니아]] || 10전 || 10승 || || || 100%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미국]] || 11전 || 11승 || || || 100% || || 그외[* [[피지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피지]], [[조지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조지아]], [[러시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러시아]], [[통가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통가]], [[짐바브웨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짐바브웨]]] || 17전 || 17승 || || || 100% || == 개인 기록 == || '''타이틀''' || '''이름''' || '''포지션''' || '''기록''' || '''기간/시점''' || '''비고''' || ||최다 출전 || [[브라이언 오드리스콜]] || 센터 || 133회 || 1999~2014 || || ||주장으로서 최다 출전 || 브라이언 오드리스콜 || 센터 || 83회 || 2002~2012 || || ||최다 트라이 || 브라이언 오드리스콜 || 센터 || 46회 || 1999~2014 ||경기당 0.35개 || ||최다 득점 || [[조니 섹스턴]] || 플라이하프 || 1,108점 || 2009~2023 ||경기당 9.39점 || ||한 경기 최다 득점 || 로넌 오가라 || 플라이하프 || 32점 || 2003.6.20 ||vs [[사모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사모아]] || ||한 경기 최다 트라이 || '''로넌 켈리허''' || 후커 || 4개 || 2021.7.10 ||vs [[미국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미국]] || ||최연소 출전 || 프랭크 휴이트 || || 17세 157일 || 1924.3.8 ||vs [[웨일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웨일스]] || ||최고령 출전 || 조니 섹스턴 || 플라이하프 || 38세 92일 || 2023.10.14 ||vs [[뉴질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뉴질랜드]] || == 유니폼 == 아일랜드는 전통적으로 초록색 상의와 양말, 흰 바지를 입는다. || '''연도''' || '''장비 제작''' || '''유니폼 스폰서''' || ||1982~1985 ||오닐스 ||<|4> - || ||1985~1991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아디다스]] || ||1991~1993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엄브로]] || ||1994~1996 ||<|2>[[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나이키]] || ||1996~2000 ||<|2>퍼머넌트 TSB || ||2000~2006 ||<|2>[[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캔터베리 || ||2006~2009 ||<|2>[[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텔레포니카|O2]] || ||2009~2014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푸마(브랜드)|푸마]] || ||2014~2016 ||<|2>[[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캔터베리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3]] || ||2016~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보다폰]] || == 선수단 == [include(틀:2023 럭비 월드컵 프랑스/선수단/아일랜드)] == 둘러보기 == [include(틀:홈 네이션스)] [include(틀:Six Nations/경기장)] [[분류: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