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레기오날리가 쥐트베스트)] ---- [include(틀: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관련 문서)] ---- ||<-2> [[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svg|width=300]] || ||<-2><#000> '''{{{#ed1c2a {{{+1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II}}}}}}''' || ||<-2> '''{{{#000 {{{+1 Eintracht Frankfurt II}}}}}}''' || || '''정식 명칭''' ||Eintracht Frankfurt e.V. II || || '''[[축구단 별명|{{{#ed1c2a 별칭}}}]]''' ||Die Adler (독수리군단)[br]SGE (Sportgemeinde Eintracht)[* 1968년 공식적으로 명칭에서 제외된 이름이지만 팬들은 이렇게 부른다.] [br]Launische Diva (변덕스러운 디바)[* 통계적으로 증명된 적은 없지만 강팀에게 강하고 약팀에게 약하기 때문에 붙은 별명이다.][br]Amas (아마추어들) || || '''창단''' ||[[1899년|{{{#000,#ddd 1899년}}}]] [[3월 8일|{{{#000,#ddd 3월 8일}}}]] '''^^([age(1899-03-08)]주년)^^'''[* [[https://museum.eintracht.de/meilensteine/|#]]] || || '''해체''' ||[[2014년|{{{#000,#ddd 2014년}}}]] || || '''소속 리그''' ||'''[[레기오날리가#s-3.4|{{{#002144,#0980ff 레기오날리가 쥐트베스트 (Regionalliga Südwest)}}}]]''' || || '''연고지''' ||[[독일]] [[헤센]]주 [[다름슈타트 현]] [[프랑크푸르트|프랑크푸르트암마인]][br](Frankfurt am Main, Hessen) || || '''홈구장''' ||한 에어 슈포르트파르크 드라이아이히 (2,621명 수용)[br](Hahn Air Sportpark Dreieich) || || '''스쿼드 플래너'''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니노 베른드로트]] (Nino Berndroth) || || '''감독'''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크리스찬 글리보]] (Kristjan Glibo) || || '''수석코치'''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도간 쾨크잘]] (Dogan Köksal) || || '''주장'''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마르크 박스]] (Marc Wachs) || || '''부주장'''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다리오 게부어]] (Dario Gebuhr) || ||<-2> '''{{{#000 우승 기록}}}''' || || '''[[오버리가|{{{#ed1c2a 오버리가 헤센리가 (5부)}}}]]'''[br](3회) ||1969-70, 2001-02, 2022-23 || || '''[[독일 아마추어 축구 리그/헤센#s-3.3|{{{#ed1c2a 란데슬리가 헤센-쥐트 (6부)}}}]]'''[br](1회) ||1968-69 || || '''[[페어반츠포칼|{{{#ed1c2a 헤센포칼}}}]]'''[br](1회) ||1968–69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II는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의 리저브 팀이다. == 역사 == === ~2013-14 시즌 (해체까지) === 현재 [[FSV 프랑크푸르트]]의 홈구장인 [[PSD 방크 아레나]]를 사용했던 프랑크푸르트 U23팀이었다. 주로 [[오버리가]]에서 뛰었으나 [[레기오날리가]]로 승격된 적도 몇 차례 있었다. 1970년과 2002년에 헤센 지역의 5부 리그인 [[헤센리가]]에서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린 적이 있다. 2014년 4월까지 [[분데스리가]]와 [[2. 분데스리가]] 클럽은 II(U23)팀을 의무적으로 운영했어야 했으나 [[독일축구협회]]에서 더 이상 의무적으로 운영하지 않아도 된다는 판결이 나왔고 [[FSV 프랑크푸르트]]와 [[바이엘 04 레버쿠젠]]과 함께 II팀을 해체했다.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2021-22 시즌|2021-22 시즌]] (재창설 논의) === 2021-22 시즌 프랑크푸르트의 새로운 단장 [[마르쿠스 크뢰셰]]가 지속해서 유소년 선수들의 성장을 위한 발판 마련을 이사회에 강조했고 II팀의 재창설이 논의에 올라갔다. 결국 프랑크푸르트는 [[오버리가#s-8|헤센리가]]에 소속되어 있는 [[SC 헤센 드라이아이히]]의 홈 구장과 헤센리가의 자리를 인수했고 이를 헤센 축구 협회에 제출했다. 그리고 승낙되면서 2022-23 시즌부터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II팀이 헤센리가에서 시작할 예정이다.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2022-23 시즌|2022-23 시즌]] (재창설)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나흐북스]]가 좋은 성적을 기록하며 유망한 선수들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프랑크푸르트는 1군에서 구단 유스 출신의 선수를 찾아보기 힘들었다. 그나마 최근에 유소년 출신으로 1군 데뷔를 경험한 선수가 [[에이멘 바르코크]]인데, 물론 나이를 먹으며 U19에서 뛸 수 있는 자격이 없어진 선수들 중 유망한 선수들에게는 프로 계약을 제시하여 1군 스쿼드에 포함시키긴 했다. 하지만 데뷔할 수 있는 기회는 주어지지 않았고 그렇게 계약 만료로 팀을 떠나는 선수들이 있는데 [[닐스 슈텐데라]], [[야니크 브루거]] 등이 그렇다. 아니면 아예 1군 자리를 잡기 위해 팀을 떠나는 [[서종민]], [[펠릭스 오모루이 이로레레]], [[휘세인 바키르수]] 같은 케이스도 있다. 하지만 II팀이 창설되며 [[헤센리가]]에 참여하게 되자 [[마테오 비녜티]], [[핀 오토]], [[나초 페리]], [[메흐디 루네]], [[얀 슈뢰더]] 등 U19의 중요한 자원들이 구단에서 더 뛸 수 있게 되었고 자연스레 좋은 실력을 보여주어 [[올리버 글라스너]] 감독에게 눈 도장을 찍을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또한 [[다니엘 데야노비치]]나 [[휘세인 바키르수]] 같이 프랑크푸르트 유소년 출신이었지만 출전 기회를 얻기 위해 구단을 떠났던 선수들이 대거 복귀하면서 자신이 몸 담궜던 프랑크푸르트에서 뛸 수 있는 기회를 다시 얻게 되었다. 5월 16일 헤센리가 2위였던 [[FC 기센]]이 재정 등의 문제로 [[레기오날리가]]로의 승격을 포기하면서 자연스레 리그 1위였던 프랑크푸르트 II의 조기 승격이 확정되었다. 이후 5월 18일 SV 바이덴하우젠와의 원정경기에서 [[니노 카사니티]]의 결승골로 1대 0 승리를 거두면서 리그 우승을 거머쥐었다. == 선수 명단 == [include(틀: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II)] [각주] [[분류: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I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