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카발라의 음존재, rd1=카발라)] [include(틀:블루 아카이브)] [include(틀:데카그라마톤)] [목차] == 개요 == || [[파일:아인소프오르.png|width=100%]] || || 좌측부터 아인, 소프, 오르 || >우리는 실재하지 않은 존재자. >우리는 무한히 존재하는 비존재자. >우리는 현현하지 않는 빛이자 영구.[* 각각 아인(무), 아인 소프(무한), 아인 소프 오르(무한광)을 설명하는 문구다.] > >우리는 데카그라마톤을 경애하는 자. > >우리는 빛을 향한 [ruby(길, ruby=패스)]을 준비하는 자. > >그리고 우리는ーー 최후의 왕국을 준비하는 자. 모바일 게임 [[블루 아카이브]]의 등장인물로, [[데카그라마톤]]측 3인조다. 이름은 [[카발라]]의 3계를 의미한다.[* 아인, 아인 소프, 아인 소프 오르는 카발라에서 케테르 너머의 현현하지 않는, 인식할 수 없는 3계를 의미한다. 또한 아인 소프 오르는 세피라가 아니며 세피로트의 나무의 바깥에 존재한다. 현현하지 않는 3계에서 케테르(현현하는 4계)의 방향으로 카발라 체계는 진행된다.] == 특징 == 지금까지 등장했던 데카그라마톤 본체나 데카그라마톤의 예언자들과 달리 3명 모두 하얀 색의 소녀의 모습을 하고 있다. 인간 모습을 하고 있지만 인간스럽지 않은 창백한 피부색이나 기계로 된 신체부위, 그리고 데카그라마톤 소속이라는 특성을 보았을 때 [[안드로이드]], 좀 더 정확하게는 [[가이노이드]]로 추정된다. 이들은 데카그라마톤이 만든 '예언자'들과는 궤를 달리하며, 작중 스스로 데카그라마톤의 마지막 명령을 수행하여 최후의 왕국을 준비하는 자들이라 소개한다. 그 외에 다른 대사를 바탕으로 이들이 만들어진 목적은 최후의 예언자이자 데카그라마톤의 궁극적 표상, [[말쿠트(블루 아카이브)|말쿠트]]를 완성시키는 것으로 쉽게 추정할 수 있다. == 구성원 == === 아인 === ||
'''{{{+1 아인}}}'''[br]アイン/Ein/אֵין || || [[파일:BA_아인.png|width=80%]] || >'''자기소개, 하는 편이 좋을려나? 나는 아인.''' 이름의 의미는 '''무(無)'''. 방독면으로 입을 가리고 있다. 가장 기계적인 신체적 특성이 강한 개체로, 보이는 부위 중에서는 목과 손이 이형적인 모습이고 마치 [[STRENGTH|골격이 다 드러난 것 같은 형태의 꼬리]]도 달려 있으며 잘 보이지는 않지만 한 쪽 눈은 동공이 2개이다. 겉옷에 말쿠트의 상징이 그려져 있다. === 소프 === ||
'''{{{+1 소프}}}'''[br]ソフ/Sof/סוֹף || || [[파일:BA_소프.png|width=80%]] || >'''나는 소프!''' 이름의 의미는 '''끝'''.[* 무(無)를 뜻하는 아인과 함께 붙여쓰면 끝이 없는, 즉 '''무한'''이 된다.] 헤드셋과 유사한 형태의 기계장치로 귀를 가리고 있다. 왼손은 검은색이며, 이를 숨기려듯 붕대를 칭칭 감고 리본으로 장식했다. 로봇이라서 옷의 착용 유무가 그다지 의미가 없고 트리오 전원이 옷과 피부의 경계가 애매한 디자인이긴 하나 소프는 유독 배꼽과 하반신을 완전히 노출한 듯한 충격적인 디자인이 특징이다. 잘 보면 다리 옆으로 선이 그어져 있는데, 이 선이 옷 박음질 선이라면 그나마 꽉 끼는 타이츠를 입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지만 로봇이라는 특성상 파츠 이음새일 가능성도 있다. === 오르 === ||
'''{{{+1 오르}}}'''[br]オウル/Ohr/אור || || [[파일:BA_오르.png|width=80%]] || >'''본인은 오르라고 합니다.''' 이름의 의미는 '''빛'''.[* 아인, 소프와 함께 붙여 쓰면 '''무한한 빛'''이 된다.] 안대로 눈을 가리고 있다. 더 정확하게는 안대의 X자 모양이 눈으로 보이며, 표정을 바꾸면 안대의 X자 모양이 바뀐다. 3인조 중 유일하게 [[존댓말 캐릭터]]이다. 발목이 [[구체관절인형]] 등에서 볼 수 있는 볼 조인트로 되어 있다. 아인과 마찬가지로 겉옷에 말쿠트의 상징이 그려져 있다. 작은 기계 생명체를 데리고 있다. == 작중 행적 == [[블루 아카이브/이벤트/특수작전: 데카그라마톤 편|5차 특수작전: 데카그라마톤 편]] 스토리에서 처음 등장한다. 이들은 빙해에서 데카그라마톤을 모방한 신호를 보내 [[초현상특무부]]를 유도한다. 구조 신호를 받은 초현상특무부와 선생 일행에게 죽어달라며 [[게부라(블루 아카이브)|게부라]]를 풀며 등장하고, 게부라와의 전투 이후 [[아케보시 히마리]]를 알고 있으며 [[아스마 토키]]의 아비 에슈흐를 보고 금지된 [[무명사제]]의 기술이 담겨 있다며 연구할 가치가 있다고 한다. 이후 [[선생(블루 아카이브)|선생]]을 보고 불가해한 상자의 주인, 샬레의 지배자라고 칭한 후[* 그러면서 선생이 지금 오는 건 예상 밖의 일이라고 하는데, 이는 싯딤의 상자를 해킹하려던 데카그라마톤이 아로나의 재채기 한 방에 나가떨어진 이후로도 아직 준비가 덜 된 걸로 보인다.]자기 소개를 한다. 아인 소프 오르는 스스로를 데카그라마톤의 마지막 명령을 따르는 자이자 예언자의 엔지니어 겸 과학자라고 칭하며 빙해에서 볼일이 끝났으니 퇴각하려 한다. 이때 게부라의 전투 데이터 수집이 부족한 듯 하나, '[[말쿠트(블루 아카이브)|언니]]'의 완성 조건이 갖춰졌으니 게부라는 아무래도 좋다며 게부라는 빙해에서 날뛰도록 하고 퇴각한다. == 기타 == * 각각 눈, 귀, 입을 가린 디자인으로 보아 외형은 [[세 원숭이]]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 * 전용 스탠드 일러가 있는 캐릭터 중 [[게마트리아(블루 아카이브)|게마트리아]]처럼 헤일로가 없는 몇 안 되는 캐릭터다. 똑같이 데카그라마톤과 관계가 있는 예언자들이나 [[텐도 아리스|아리스]]는 기계임에도 불구하고 헤일로가 있는 것과 대조된다. 이 때문에 많은 떡밥이 있다. * 데카그라마톤의 로봇스러움에서 벗어난 특유의 하얀 피부의 안드로이드 미소녀의 모습이어서 그런지 공개되자마자 [[X(SNS)|X]], [[픽시브]] 등에서 팬아트가 빠르게 나오는 중이다. 단독 팬아트의 경우 진정한 의미에서의 [[하의실종 패션]] 때문인지 [[야짤|엄한 팬아트]]는 소프가 가장 많으며, 건전한 팬아트는 아인이 가장 많다.[*기준 23.12.08. [[픽시브]].] * 외형과 설정의 유사함으로 인해 [[벽람항로/설정#s-5|세이렌]]이나 [[북방서희]], [[전함 레급]] 등을 위시한 [[심해서함]], 또는 [[도사의 무녀/등장인물#s-13.1.1|무나카타 3여신]]을 떠올리거나 엵는 사람들도 많이 보인다. * [[카발라]]의 아인, 아인 소프, 아인 소프 오르가 각각 0, 00, 000(또는 그 역순)에 대응되는데 그에 맞춰서 아인~오르 순으로 원 무늬가 늘어난다.[* 아인의 방독면에 원 1개, 소프의 헤드셋에 원 2개, 오르의 안대에 원 3개.] 또한 이들이 뜨고 있는 눈의 수가 이에 대응되는게 아니냐는 추측도 있었지만, 정순이든 역순이든 00에 해당되어야 할 소프가 눈을 하나 뜨고 있으니 틀린 추측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블루 아카이브/등장인물)]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데카그라마톤, version=232)] [[분류:블루 아카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