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2A3C 2%, #F09C68 2%, #F09C68 4%, #5F5596 4%, #5F5596 6%, #E62A3C 6%, #E62A3C)" {{{#ffec4b ''' 아이토르 카랑카의 역임 직책 ''' }}} }}}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대표팀'''}}} || || || || || || ||<-4> {{{#333333,#cccccc '''클럽'''}}} || || [[틀:미들즈브러 FC 감독(1대~40대)|[[파일:미들즈브러 FC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d00027; font-size: 0.9em" [[틀:미들즈브러 FC 감독(1대~40대)|{{{#fff '''미들즈브러'''}}}]]}}}[br]{{{-2 35대}}} || [[틀:노팅엄 포레스트 FC 감독|[[파일:노팅엄 포레스트 FC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f102a; font-size: 0.9em" [[틀:노팅엄 포레스트 FC 감독|{{{#ffffff '''노팅엄'''}}}]]}}}[br]{{{-2 45대}}} ||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000,#e5e5e5 ''' 스페인의 축구감독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images99.com/14106.jpg|width=100%]]}}} || ||<-2> ''' 이름 ''' || {{{+1 '''아이토르 카랑카'''}}}[br]'''Aitor Karanka''' || ||<-2> ''' 본명 ''' ||아이토르 카랑카 데 라 오스[br]Aitor Karanka de la Hoz || ||<-2> ''' 출생 ''' ||[[1973년]] [[9월 18일]] ([age(1973-09-18)]세) / [br] [[스페인]] [[바스크|바스크지방]] 알라바주 비토리아시 || ||<-2> ''' 국적 ''' ||[[스페인]]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8]]]] || ||<-2> ''' 신체 ''' ||[[키(신체)|키]] 181cm || ||<-2> ''' 직업 ''' ||축구선수([[수비수(축구)|수비수]] / ^^은퇴^^)[br][[축구 감독]] || ||<|2> ''' 소속 ''' || ''' 선수 ''' ||[[빌바오 아틀레틱]] (1992~1994)[* [[아틀레틱 클루브]]의 리저브 팀, 현재 [[프리메라 디비시온 RFEF]]에 소속되어 있다.][br][[아틀레틱 클루브]] (1993~1997)[br]'''[[레알 마드리드 CF]] (1997~2002)'''[br][[아틀레틱 클루브]] (2002~2006)[br][[콜로라도 래피즈]] (2006) || || ''' 감독 '''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 U-16 대표팀]] (2008~2010)[br]{{{-1 [[레알 마드리드 CF]] (2010~2013 / ^^수석 코치^^)}}}[br][[미들즈브러 FC]] (2013~2017)[br][[노팅엄 포레스트 FC]] (2018~2019)[br][[버밍엄 시티 FC]] (2020~2021)[br][[그라나다 CF]] (2022)[br][[마카비 텔아비브 FC]] (2022~2023) || ||<-2> ''' 국가대표 ''' ||1경기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 / 1995)^^[br]6경기 ^^([[바스크 축구 국가대표팀|바스크]] / 1994~2004)^^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페인]]의 [[축구선수]] 출신 [[코치(스포츠)|감독]]. '제2의 [[주제 무리뉴]]'라는 별명이 있는데, 지도 방식과 전술 면에서 무리뉴와 비슷한 점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선수 시절에는 [[아틀레틱 클루브]]와 [[레알 마드리드 CF]]에서 뛰는 등 상당히 준수한 수비수로 평가받았다. == 클럽 경력 == [[파일:external/i3.gazettelive.co.uk/JS28794337.jpg|width=400]] 지역 연고팀인 데포르티포 알라베스의 유스팀에서 축구를 시작한 카랑카는 이후 [[바스크]]의 명문 [[아틀레틱 빌바오]]로 팀을 옮겼고, 1992년 2부 리그인 [[세군다 디비시온]]의 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루며 프로 데뷔를 했다. 93년에는 1군 선수로 정식 승격하게 되어 [[프리메라 리가]]에 첫 발을 디딛게 되었는데, 이는 카랑카의 실력을 눈여겨본 명장 [[유프 하인케스]]의 선택이었다. 빌바오에서 3시즌 동안 100경기에 출전하며 입지를 다진 카랑카는 이후 1997년 은사 하인케스의 뒤를 따라 세계 최고의 클럽 [[레알 마드리드 CF]]로 이적하였다. 레알 마드리드에서는 주로 백업 및 로테이션 선수로 기용되었으나, [[UEFA 챔피언스 리그]]에는 33경기를 출전하였고, 특히 99/00 시즌 [[발렌시아 CF]] 와의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에서는 선발 출전하여 팀의 3-0 완승에 기여하기도 했다. 02/03 시즌에는 레알 마드리드의 [[갈락티코스]] 정책에 의해 입지가 좁아지자 고향 팀 빌바오로 복귀하였다. 03/04시즌 빌바오의 [[UEFA 컵]] 결승전의 진출에 기여하였다. 이후 2006년에는미국 [[MLS]]로 진출을 선언하였고, 콜로라도 래피즈로 이적하여 팀의 서부 컨퍼런스 플레이오프 결승전 진출에 힘을 보탰다. 1시즌을 보낸 후 선수 생활에서 은퇴하였다. == 감독 경력 == [[파일:external/cdn.images.express.co.uk/Jose-Mourinho-575720.jpg|width=400]] 2010년 [[레알 마드리드 CF]]의 감독으로 부임한 [[주제 무리뉴]]의 수석 코치로 발탁되어 무리뉴의 곁에서 3년의 시간을 함께했다. 특히 무리뉴는 스페인 언론과의 마찰이 심해 기자회견에 자주 불참하였는데, 이때 카랑카가 무리뉴를 대신하여 기자회견을 진행하였다. 무리뉴가 징계로 부재 시 감독 대행 역할을 맡으며 팀을 지휘하였다. 비슷한 성격을 지닌 카랑카를 무리뉴는 크게 신뢰하였고, 2013년 무관에 따른 책임을 지고 상호 합의하에 레알 마드리드와의 계약을 해지하고 [[첼시 FC]]의 감독으로 부임할 때 카랑카를 데려가고자 했으나, 카랑카는 본인의 꿈이었던 감독직에 도전하기 위해 거절하고 구단의 요청에도 불구 레알 마드리드를 떠났다. [[파일:external/ichef.bbci.co.uk/_71088645_karanka_getty2.jpg|width=400]] 2013년 11월 13일, 카랑카는 팀의 부진에 대한 책임을 지고 경질된 [[토니 모브레이]]의 뒤를 이어 [[EFL 챔피언십]]의 [[미들즈브러 FC]]의 감독직에 취임했고, 10일 후 [[리즈 유나이티드 FC]]와의 원정 경기에서 1-2 패배를 당하는 것으로 감독 커리어를 시작했다. 리그에서 13승 9무 9패를 기록하며 시즌 12위로 마무리했다. 시즌 도중 선임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카랑카 효과’는 나쁘지 않았다. 2015년에는 [[프리미어 리그]] 승격 플레이오프에서 [[브렌트포드 FC]]에 5-1로 완승을 거두었으나, [[웸블리 스타디움]]에서 열린 [[노리치 시티 FC]]와의 최종 경기에서 0-2로 패하며 승격이 좌절되었다. FA컵에서 [[맨체스터 시티 FC]]를 이기며 16강에 올라 [[아스날 FC]]을 만나서 아쉽게 패배했고, 리그컵에서는 [[리버풀 FC]]와 정규시간 무승부로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양 팀을 합쳐 30명의 선수가 키커로 나서는 진풍경을 연출한 뒤 탈락했다. [[파일:external/i.telegraph.co.uk/Aitor_karanka_3295979b.jpg|width=400]] 2015년 8월 7일, 카랑카는 구단과 4년 재계약을 맺었고, 팀의 선두권을 이끌며 승승장구를 보이는 듯 했으나 2016년 3월 11일 갑작스레 구단과의 불화를 발표하며 훈련장을 떠났고 구단에서의 미래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며 미들즈브러와의 관계에 종지부를 찍는 듯했다. 하지만 구단 측과 화해 후 다시 감독직으로 돌아왔고, 리그에서 가장 많은 승리(26승)를 거두며 2위로 프리미어 리그 직행 티켓을 거머쥐었다. 우승팀 [[번리 FC]]와도 승리 횟수가 같다. 2016-17 시즌 프리미어 리그에서는 27라운드까지 시즌을 치렀는데 미들즈브러가 승점 22점밖에 획득하지 못하며 19위에 위치해 강등 위기에 처했고, 결국 2017년 3월 16일에 경질되었다. 미들즈브러 경질 뒤 약 1년이 지난 2018년 1월 9일, [[노팅엄 포레스트 FC]]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카랑카 감독 선임 직전 포레스트는 FA컵에서 아스날을 꺾은 전력이 있다. 2020-21 시즌을 앞두고 [[버밍엄 시티 FC]]와 3년 계약을 체결하였다. 2021년 성적 부진을 이유로 경질되었다. 후임은 [[찰턴 애슬레틱 FC]]의 [[리 보이어]]. 2022년 4월, [[그라나다 CF]]의 감독으로 선임되었다.[[https://www.granadacf.es/noticia/aitor-karanka-nuevo-tecnico-del-granada-cf|#]] 하지만, 마지막 38차전에서 [[RCD 에스파뇰]]을 이기지 못해 1점 차로 역전당해 18위로 팀은 강등당했다. 2022년 11월 8일, 그라나다 감독직에서 경질되었다.[[https://www.granadacf.es/noticia/comunicado-oficial-aitor-karanka|#]] 2023년 1월 4일, [[마카비 텔아비브 FC]]의 감독으로 선임되었다.[[https://www.maccabi-tlv.co.il/2023/01/%d7%90%d7%99%d7%99%d7%98%d7%95%d7%a8-%d7%a7%d7%a8%d7%90%d7%a0%d7%a7%d7%94-%d7%9e%d7%95%d7%a0%d7%94-%d7%9c%d7%9e%d7%90%d7%9e%d7%9f-%d7%9e%d7%9b%d7%91%d7%99/|#]] 2023년 6월 25일, 마카비 텔아비브를 떠났다.[[https://www.maccabi-tlv.co.il/2023/06/%d7%aa%d7%95%d7%93%d7%94-%d7%90%d7%99%d7%99%d7%98%d7%95%d7%a8-%d7%a7%d7%a8%d7%90%d7%a0%d7%a7%d7%94/|#]] [[분류:1973년 출생]][[분류:스페인의 축구선수]][[분류:바스크의 축구선수]][[분류:스페인의 축구감독]][[분류:빌바오 아틀레틱/은퇴, 이적]][[분류:아틀레틱 클루브/은퇴, 이적]][[분류:레알 마드리드 CF/은퇴, 이적]][[분류:콜로라도 래피즈/은퇴, 이적]][[분류:미들즈브러 FC/역대 감독]][[분류:노팅엄 포레스트 FC/역대 감독]][[분류:버밍엄 시티 FC/역대 감독]][[분류:그라나다 CF/역대 감독]][[분류:마카비 텔아비브 FC/역대 감독]][[분류:스페인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1996 애틀랜타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UEFA 챔피언스 리그 다회 우승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