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도카이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아이치현 제7구}}}}}}'''[br]{{{-1 {{{#ffffff 愛知県第7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Aichi7.svg|width=100%]][br]}}}|| ||<-2><:>'''선거인 수'''||<-2><:>455,656명 (2021)|| ||<-2><:>'''상위 도도부현'''||<-2><:>[[아이치현]]|| ||<-2><:>'''하위 행정구역'''||<-2><:>[[오부시]], [[오와리아사히시]], [[토요아케시]], [[닛신시]], [[나가쿠테시]], [[아이치군]]|| ||<-2><:>'''국회의원'''||<:>[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스즈키 준지]]|| [목차] [clearfix] == 개요 == [[아이치현]]의 선거구 중 한 곳으로 [[나고야시]]와 [[토요타시]] 사이에 있는 지역들 대부분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소속 스즈키 준지. == 상세 == [[나고야시]]의 [[베드타운]], 공업도시 등으로 발전해온 지역이다. 그렇기에 중선거구제 시절부터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에 비해 야당표가 많이 나왔으며, 특히 [[민사당]] 아오야마 다카시 전 의원의 정치적 기반이었다. 소선거구 도입 이후 처음 치러진 [[1996년]] 제41회 총선에서 아오야마 다카시가 [[신진당]] 후보로 출마해 자민당 후보를 큰 표차이로 꺾고 당선되었다. 이후에도 [[신진당]]의 간접적 후신정당인 민주당 지지세가 강했고, 현재도 민주당 계열이 근소하게 우세를 보이는 경합 지역이다. 민주당등 야당이 강세를 보인 지역이지만, 이 지역 야당후보들은 부침이 많은편이다. 소선거구 출범이후 처음 당선된 아오야마 다카시는 [[자유당(일본, 1998년)|자유당]]과 [[보수신당|보수당]]을 거쳐 자민당으로 가버렸다. 그 다음에 당선된 민주당 고바야시 겐지 전 의원은 [[2005년]]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제44회 총선]] 낙선 직후 각성제 사용 혐의로 체포되었고, 이후 실형을 선고받고 당에서도 제명되었다. 그 다음 민주당은 검사출신의 젊은 여성 정치신인인 야마오 시오리 후보를 공천해 당선시켰다. 야마오 시오리 의원은 만 43세의 젊은 나이에 제1야당인 [[민진당(일본)|민진당]] 간사장으로 임명되며 승승장구하나 싶더니, [[주간문춘]]의 보도로 불륜이 발각되면서 하루만에 간사장직을 사퇴했다. 불륜 논란때문에 48회 총선 당시에는 무소속으로 출마해 수 백표 차이로 당선되었고, 이후 [[입헌민주당(2017년)|입헌민주당]]에 입당했다. 그러나 2020년 3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책 법안에 대해 법안 통과를 찬성하는 당론과 달리 반대표를 던지고 입헌민주당을 탈당한 뒤 [[국민민주당(2020년)|국민민주당]]에 입당했고, 결국 차기 총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야마오 시오리가 입당과 탈당을 반복하며 어지러운 행보를 보인 후 정계를 은퇴하자, 이후 치러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자민당 스즈키 준지 의원이 압승했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아이치현 제7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 아오야마 다카시 || [include(틀:신진당)]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2> 고바야시 겐지 ||<|2>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스즈키 준지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야마오 시오리]] ||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 스즈키 준지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2> 야마오 시오리 ||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include(틀:무소속)]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스즈키 준지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아이치현 제7구|{{{#fff 아이치현 제7구}}}]]}}}'''[br]{{{#fff 세토시, 오부시, 오와리아사히시, 토요아케시, 아이치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cf0a2c> [[신진당|[[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width=50]]]] || '''아오야마 다카시''' || '''91,439표''' || '''1위''' || || [include(틀:신진당)] || '''47.53%''' || '''당선'''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니와 타이치 || 49,727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25.85% || 낙선 || ||<|2> [[민주당(일본 1996년)|[[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width=50]]]] || 이토 케이코 || 24,620표 || 3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1996년))] || 12.80%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하라다 히데토시 || 23,009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1.96% || 낙선 || ||<|2><#ffdf00> [[파일:덕주회.png|width=50]] || 이치카와 츠네오 || 2,045표 || 5위 || || [include(틀:자유연합)] || 1.06% || 낙선 || ||<|2><#808080> {{{+2 {{{#fff 国民}}}}}} || 오시마 요코 || 1,080표 || 7위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808080,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국민당)] || 0.56% || 낙선 || ||<|2><#808080> [[무소속|{{{+3 {{{#fff 文化}}}}}}]] || 에바타 히로미치 || 442표 || 5위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808080,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문화포럼)] || 0.23%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57,363 ||<|2> '''투표율'''[br] || || 유권자 수 ||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이치현 제7구}}}}}}'''[br]{{{#fff 세토시, 오부시, 오와리아사히시, 토요아케시, 아이치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고바야시 겐지''' || '''86,651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8.52%'''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스즈키 준지 || 83,601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7.17% || 낙선 || ||<|2><#01a8ec>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40]]]] || 오시마 레이코 || 28,125표 || 3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12.50% || 비례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사카바야시 타쿠미 || 23,095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0.27% || 낙선 || ||<|2><#ffdf00> [[파일:덕주회.png|width=50]] || 하라다 이사무 || 1,841표 || 5위 || || [include(틀:자유연합)] || 0.82% || 낙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오자키 아키히로 || 1,621표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0.7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49,909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이치현 제7구}}}}}}'''[br]{{{#fff 세토시, 오부시, 오와리아사히시, 토요아케시, 닛신시, 나가쿠테시, 아이치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고바야시 겐지''' || '''102,710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4.08%'''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아오야마 다카시 || 93,882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0.29% || 비례당선 || ||<|2><#01a8ec>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40]]]] || 오시마 레이코 || 20,172표 || 3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8.86%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사카바야시 타쿠미 || 16,255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6.98%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49,909표 ||<|2> '''투표율'''[br]60.55% || || 선거인 수 || 394,977인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이치현 제7구}}}}}}'''[br]{{{#fff 세토시, 오부시, 오와리아사히시, 토요아케시, 닛신시, 나가쿠테시, 아이치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스즈키 준지''' || '''134,535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0.00%'''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고바야시 겐지 || 111,654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1.49%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사카바야시 타쿠미 || 22,902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8.5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65,059표 ||<|2> '''투표율'''[br]68.23% || || 선거인 수 || 402,758인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이치현 제7구}}}}}}'''[br]{{{#fff 세토시, 오부시, 오와리아사히시, 토요아케시, 닛신시, 나가쿠테시, 아이치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야마오 시오리]]''' || '''182,028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61.12%'''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스즈키 준지 || 108,783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6.52% || 낙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50]]]] || 나가타 쿠미코 || 7,032표 || 3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2.36%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49,909표 ||<|2> '''투표율'''[br]72.69% || || 선거인 수 || 418,255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이치현 제7구}}}}}}'''[br]{{{#fff 세토시, 오부시, 오와리아사히시, 토요아케시, 닛신시, 나가쿠테시, 아이치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스즈키 준지''' || '''110,390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2.84%'''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야마오 시오리]] || 92,398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추천] || 35.86% || 낙선 || ||<|2> [[일본 미래당|[[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width=50]]]] || 마사키 히로미 || 39,141표 || 3위 || || [include(틀:일본 미래당)][* [include(틀:신당대지)] 추천] || 15.19%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고우콘 오사무 || 15,732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6.1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65,059표 ||<|2> '''투표율'''[br]62.31% || || 선거인 수 || 426,435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6><#DA2128> '''{{{+1 {{{#fff 아이치현 제7구}}}}}}'''[br]{{{#fff 세토시 일부(짓켄가 투표소에 속한 지역을 제외한 전역), 오부시, 오와리아사히시, 토요아케시, 닛신시, 나가쿠테시, 아이치군}}} || || 이름 || 소속정당 || 득표수[br](득표율) || 순위 || 당선 여부 || 비고 || ||<#DA2128> '''{{{#fff [[야마오 시오리|{{{#fff 야마오 시오리}}}]][br](山尾志桜里)}}}''' || '''[[민주당(일본 1998년)|{{{#DA2128 민주당}}}]]''' || '''113,474[br](46.6%)''' || '''1위''' || '''당선''' || || ||<#3CA324> {{{#fff 스즈키 준지[br](鈴木淳司)}}} || [[자유민주당(일본)|{{{#3CA324 자유민주당}}}]] || 108,151[br](44.4%) || 2위 ||<#00ff00> ~~낙선~~[br]'''당선(석패율제)''' || [[공명당]] 추천 || ||<#DB001C> {{{#fff 고우콘 오사무[br](郷右近修)}}} || [[일본 공산당|{{{#DB001C 일본 공산당}}}]] || 21,872[br](9.0%) || 3위 || 낙선 || || ||<|2> 계 || 유효표 수 || 243,498 ||<|2><-3> 투표율 57.75% || || 유권자 수 || 432,249 || 선거 결과 민주당 야마오 시오리가 2.2%p차로 자민당 스즈키 준지 의원을 꺾고 당선되면서 2년 만에 지역구를 탈환했다. || [youtube(YP2KMoxDYJc)] || || 당선 확정 후 연설하는 야마오 시오리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6><#808080> '''{{{+1 {{{#fff 아이치현 제7구}}}}}}'''[br]{{{#fff 세토시 일부(짓켄가 투표소에 속한 지역을 제외한 전역), 오부시, 오와리아사히시, 토요아케시, 닛신시, 나가쿠테시, 아이치군}}} || || 이름 || 소속정당 || 득표수[br](득표율) || 순위 || 당선 여부 || 비고 || ||<#808080> '''{{{#fff [[야마오 시오리|{{{#fff 야마오 시오리}}}]][br](山尾志桜里)}}}''' || '''무소속''' || '''128,163[br](50.2%)''' || '''1위''' || '''당선''' || || ||<#d7003a> {{{#fff 스즈키 준지[br](鈴木淳司)}}} || [[자유민주당(일본)|{{{#E50038 자유민주당}}}]] || 127,329[br](49.8%) || 2위 ||<#00ff00> ~~낙선~~[br]'''당선(석패율제)''' || [[공명당]] 추천 || ||<|4> 계 || 유효표 수 || 255,492 ||<|4><-3> 투표율 59.55% || || 무효표 수 || 11,291 || || 투표 수 || 266,783 || || 유권자 수 || 448,044 || 직전 선거에서 다시 당선되어 지역구를 탈환했던 [[야마오 시오리]] 의원은 [[민진당(일본)|민진당]] 간사장에 내정되는 등 야당의 유력 여성 정치인으로 승승장구 하는 듯 했으나 연하의 변호사와의 불륜 논란으로 인해 자의반 타의반 당을 탈당하는 등 정치 인생의 큰 위기를 맞게 되었다. 그러다가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가 열리게 되자 야마오는 무소속 출마를 선언했는데, 이에 [[일본 공산당]] 측에서 아이치 7구에 후보를 내지 않겠다고 발표하고, 민진당에서도 후보를 내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한편 그와중에 [[희망의 당(2017년)|희망의 당]] 창당을 주도한 [[겐바 고이치로]]가 아이치현 제12구에서 [[중의원]]을 역임했던 나카네 야스히로를 아이치 7구의 희망의 당 소속 후보로 내겠다고 했으나, 당사자인 나카네가 불출마를 선언했다. 이렇게 야권의 정당들이 후보자를 내지 않으면서 야마오가 아이치 7구의 야권 단일 후보가 되었다. 한편 자민당에서는 직전 선거에서 아이치 7구에 출마했던 스즈키 준지 의원을 다시 공천했다. || [youtube(uR_W5Job5OM)] || || 당선 확정 후 연설하는 야마오 시오리 || 선거 결과 무소속의 야마오 시오리가 '''834표차'''로 당선되면서 힘겹게 지역구를 수성했다. 야마오가 불륜 논란으로 이미지가 실추되긴 했으나 야마오 이외의 야권 후보가 없어 지역 내 야권 지지층의 표가 야마오에게 결집된 듯 하다. 또한 야마오가 불륜 논란이 터지기 전까지 보육원 부족으로 인한 대기아동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한 것이 득표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만약 희망의 당 등에서 후보를 냈다면 야권 표 분산으로 자민당이 어부지리로 승리했을 지도 모를 결과였다. 특히나 야마오는 무소속 신분이기 때문에 2위를 기록했다면 그대로 낙선이었다. ||<-4><#808080> '''{{{#fff 제48대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808080> '''{{{#fff 아이치현 제7구}}}''' || || '''정당''' ||<#d7003a>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808080> [include(틀:무소속)] || 격차 || || '''후보''' ||<#E50038> {{{#fff 스즈키 준지}}} ||<#808080> '''{{{#fff 야마오 시오리}}}''' || (1위/2위) || || '''득표수[br](득표율)''' || '''127,329[br](49.8%)''' ||<#808080> '''{{{#fff 128,163[br](50.2%)}}}''' || '''-834[br](4.42)''' || || '''세토시''' || '''{{{#d7003a 51.58%}}}''' || 48.42% || 3.16 || || '''오부시''' || {{{#d7003a 50.57%}}} || 49.43% || 1.14 || || '''오와리아사히시''' || 46.68% || '''{{{#808080 53.32%}}}''' || 6.64 || || '''토요아케시''' || 49.15% || {{{#808080 50.85%}}} || 1.7 || || '''닛신시''' || {{{#d7003a 50.22%}}} || 49.78% || 0.44 || || '''나가쿠테시''' || 49.80% || {{{#808080 50.20%}}} || 0.4 || || '''아이치군''' || 49.44% || {{{#808080 50.56%}}} || 1.12 || 개표 결과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야마오는 오와리아사히시에서 2,525표 차, 토요아케시에서 525표 차, 나가쿠테시에서 97표 차, 아이치군에서 221표 차로 승리했으며, 스즈키는 세토시에서 1,878표 차, [[오부시]] 472표 차, [[닛신시]]에서 184표 차로 승리했다. 오와리아사히시에서의 야마오 우세가 스즈키가 승리한 지역에서의 표차를 거의 다 상쇄하는 양상이었다. [[http://flowpepole.blog.jp/archives/4626176.html|#]] 결과만 놓고 보면 오와리아사히시가 야마오의 승리를 견인한 셈이다. || [youtube(kcJ-W6SDSSI)] || || 선거 결과와 관련된 뉴스 영상 || 여담으로 선거 당시 무효표가 무려 1만 표 이상 나왔다고 한다. 백지는 기본이고 후보자 이름을 섞어서 쓴 것[* 후보자 이름인 야마오 시오리, 스즈키 준지를 ‘스즈키 시오리’, ‘야마오 준지’로 쓴 것이다.]은 물론, ‘뽑을 사람이 없다’, ‘불륜’(...)이라고 적힌 표도 있었다고 한다. 그만큼 선거가 치열했다는 것을 ~~혹은 뽑을 사람이 없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할 것이다.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아이치현 제7구|{{{#fff 아이치현 제7구}}}]]}}}'''[br]{{{#fff 세토시 일부, 오부시, 오와리아사히시, 토요아케시, 닛신시,[br]나가쿠테시, 아이치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e50038>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스즈키 준지''' || '''144,725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54.7%''' || '''당선'''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40]]]] || 모리모토 가즈요시 || 88,914표 || 2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33.6%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야스마 하쓰미 || 30,956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1.7%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64,595표 ||<|2> '''투표율'''[br]59.54% || || 선거인 수 || 455,656인 || 현역인 [[야마오 시오리]] 의원이 국민민주당 잔류 이후 차기 선거에서 아이치현 제7구에 불출마하고 도쿄 권역 비례대표로 자리를 옮기기로 결정했다.[[https://news.yahoo.co.jp/articles/8d5013431035703bf212137a35d6fca5c0ea33d6|#]]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에서는 모리모토 카즈요시 전 의원이 공천을 받았다.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제45회 총선]] 당시 [[아이치현 제15구]]에 출마해 당선되었으며, 지난 총선에서는 [[희망의 당(2017년)|희망의 당]]후보로 [[아이치현 제6구]]에 출마해 차점낙선했다. 7구가 본인의 3번째 지역구이다. 자민당은 지난 총선에서 834표차이로 지역구에서 패하고 비례대표로 당선된 현역 스즈키 준지 의원을 재공천했다. [[일본공산당|공산당]]은 스야마 하츠미 후보를 공천했다. 지난 총선에서 자민당이 이긴 [[아이치현 제1구|1구]]나 [[아이치현 제4구|4구]], [[아이치현 제8구|8구]]가 야권단일화로 인해 야당이 빼앗을 가능성이 높다면, 반대로 이 선거구는 야마오 시오리 의원의 구설수와 야권의 후보교체, 야권 후보의 경쟁력에 대한 의문등의[* 선거구를 2번이나 옮겼다.] 이유때문에 자민당이 탈환할 가능성이 높은 선거구로 꼽히고 있다. 투표 결과, 자민당 스즈키 준지 후보가 압승했다.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아이치현의 중의원 선거구가 1석 늘어나면서 관할 구역이 조정되었는데, [[세토시]]가 6구로 이동하면서 시 경계 분할이 해소되었다.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에서는 고향인 세토시 전역이 6구로 이관되었음에도 스즈키 준지 의원이 재출마할것으로 보인다. [[일본 유신회(2016년)|일본유신회]]에서는 스미 요스케 후보를 공천했다. [[일본공산당|공산당]]에서는 스즈키 고이치 후보를 공천했다. [[국민민주당(2020년)|국민민주당]]에서는 사단법인 대표이사 출신의 히노 사리아(日野紗里亜)를 공천했다.[[https://news.yahoo.co.jp/articles/cbbff46ac1feb434bc254d8895525e93305dd248|#]]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아이치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