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도카이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아이치현 제5구}}}}}}'''[br]{{{-1 {{{#ffffff 愛知県第5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Aichi5.svg|width=100%]][br]}}}|| ||<-2><:>'''선거인 수'''||<-2><:>432,024명 (2021)|| ||<-2><:>'''상위 도도부현'''||<-2><:>[[아이치현]]|| ||<-2><:>'''하위 행정구역'''||<-2><:>[[나고야시]] [[나카무라구]]/[[나카가와구]], [[키요스시]]|| ||<-2><:>'''국회의원'''||<:>[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간다 겐지|| [목차] [clearfix] == 개요 == [[아이치현]]의 [[나고야시]] [[나카무라구]]/[[나카가와구]], [[키요스시]]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소속 간다 겐지. == 상세 == [[나고야역]]이 위치한 선거구다. 나고야시 선거구들 중 유일하게 나고야시 이외의 지역들과 같은 선거구를 이룬 곳인데, 해당 지역이 나고야로 출퇴근하는 노동자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이라 진보 성향이 매우 강한 선거구다. 게다가 아카마츠 히로타카 의원은, 부친인 [[일본사회당(1945년)|일본사회당]] 아카마츠 이사무 의원이 같은 동네에서 중대선거구 시절 11선 의원을 지냈기에 지역 기반도 매우 탄탄했다. 자민당이 압승했던 44회, 46회 총선 때도 민주당의 아카마츠 히로타카 의원이 불과 수 천표 차이로 2위를 기록해 석패율제 비례대표로 구제되어 당선됐을 정도이며, 역시 자민당이 압승한 47회 총선 때는 아예 1위로 당선되어 지역구를 되찾았다. 아카마츠 히로타카는 중의원 부의장으로 재직한 뒤, [[2021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를 앞두고 총선 불출마 및 정계 은퇴를 발표했다. 49회 총선에서는 자민당 간다 겐지 의원이 선거구를 탈환했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아이치현 제5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3> [[아카마츠 히로타카]] || [include(틀:민주당(일본 1996년))]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2>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기무라 다카히데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아카마츠 히로타카 ||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 간다 겐지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2> 아카마츠 히로타카 ||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include(틀:입헌민주당(2017년))]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간다 겐지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아이치현 제5구|{{{#fff 아이치현 제5구}}}]]}}}'''[br]{{{#fff 나고야시 나카무라구, 아츠타구, 나카가와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ffffff> [[민주당(일본 1996년)|[[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width=40]]]] || '''[[아카마츠 히로타카]]''' || '''48,648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1996년))] || '''30.91%''' || '''당선'''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기무라 타카히데 || 46,485표 || 2위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 || 29.53% || 비례당선 || ||<|2><#cf0a2c> [[신진당|[[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width=45]]]] || 반노 유타카 || 43,028표 || 3위 || || [include(틀:신진당)] || 27.34%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나가사카 타다히로 || 17,670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1.23% || 낙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스즈키 츠토무 || 768표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0.49% || 낙선 || ||<|2><#808080> {{{+2 {{{#fff 国民}}}}}} || 이치카와 미노루 || 470표 || 7위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808080,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국민당)] || 0.30% || 낙선 || ||<|2><#808080> [[무소속|{{{+3 {{{#fff 文化}}}}}}]] || 우치야마 타카오 || 335표 || 5위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808080,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문화포럼)] || 0.2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87,209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이치현 제5구}}}}}}'''[br]{{{#fff 나고야시 나카무라구, 아츠타구, 나카가와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아카마츠 히로타카]]''' || '''82,943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8.31%'''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기무라 타카히데 || 64,970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7.84% || 비례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고타마 아사코 || 21,516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2.53% || 낙선 || ||<|2><#ffdf00> [[파일:덕주회.png|width=50]] || 이토 케이요시 || 2,274표 || 4위 || || [include(틀:자유연합)] || 1.3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49,909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이치현 제5구}}}}}}'''[br]{{{#fff 나고야시 나카무라구, 나카가와구, 니시카스가이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아카마츠 히로타카]]''' || '''104,346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9.39%'''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기무라 타카히데 || 90,668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2.92%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에가미 히로유키 || 16,255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69%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49,909표 ||<|2> '''투표율'''[br]54.69% || || 선거인 수 || 396,959인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이치현 제5구}}}}}}'''[br]{{{#fff 나고야시 나카무라구, 나카가와구, 니시카스가이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기무라 타카히데''' || '''117,017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8.32%'''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아카마츠 히로타카]] || 107,645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4.45% || 비례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가와에 아키미 || 17,523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24%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74,668표 ||<|2> '''투표율'''[br]61.60% || || 선거인 수 || 400,727인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아이치 제5구|{{{#fff 아이치현 제5구}}}]]}}}'''[br]{{{#fff 나고야시 나카무라구, 나카가와구, 니시카스가이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아카마츠 히로타카]]''' || '''158,235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61.99%''' || '''당선'''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테라니시 히로시 || 88,964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4.85% || 낙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45]]]] || 요시다 토모코 || 8,042표 || 3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3.1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23,204표 ||<|2> '''투표율'''[br]63.60% || || 선거인 수 || 411,827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이치현 제5구}}}}}}'''[br]{{{#fff 나고야시 나카무라구, 나카가와구, 니시카스가이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간다 겐지''' || '''67,218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1.97%''' || '''당선'''[* [include(틀:공명당)] 추천]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아카마츠 히로타카]] || 65,423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1.11% || 비례당선[*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추천] || ||<|2> [[일본 유신회(2012년)|[[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width=50]]]] || 오야마 겐이치 || 37,806표 || 3위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2년))] || 17.98% || 낙선[* [include(틀:모두의 당)] 추천] || ||<|2> [[일본 미래당|[[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width=50]]]] || 마에다 유키치 || 23,609표 || 4위 || || [include(틀:일본 미래당)] || 11.23% || 낙선[* [include(틀:신당대지)] 추천]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후지이 히로키 || 16,206표 || 5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7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74,668표 ||<|2> '''투표율'''[br]52.69% || || 선거인 수 || 413,966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이치현 제5구}}}}}}'''[br]{{{#fff 나고야시 나카무라구, 나카가와구, 키요스시, 키타나고야시, 니시카스가이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아카마츠 히로타카]]''' || '''84,226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4.53%'''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간다 겐지 || 71,616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7.86% || 비례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후지이 히로키 || 23,069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2.20% || 낙선 || ||<|2><#0091d6> [[일본의 마음|[[파일:차세대당_투명.png|width=50]]]] || 야스다 쇼이치 || 10,231표 || 4위 || || [include(틀:차세대당)] || 5.4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49,909표 ||<|2> '''투표율'''[br]47.28% || || 선거인 수 || 415,845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6><#00469C> '''{{{+1 {{{#fff 아이치현 제5구}}}}}}'''[br]{{{#fff 나고야시 나카무라구, 나카가와구, 키요스시, 키타나고야시, 니시카스가이군}}} || || 이름 || 소속정당 || 득표수[br](득표율) || 순위 || 당선 여부 || 비고 || ||<#00468C> '''{{{#fff [[아카마츠 히로타카|{{{#fff 아카마츠 히로타카}}}]][br](赤松広隆)}}}''' || '''[[입헌민주당(2017년)|{{{#00469C 입헌민주당}}}]]''' || '''91,081[br](46.5%)''' || '''1위''' || '''당선''' || [[일본 공산당]] 아이치현위원회 추천 || ||<#E50038> {{{#fff 간다 겐지[br](神田憲次)}}} || [[자유민주당(일본)|{{{#E50038 자유민주당}}}]] || 72,651[br](37.1%) || 2위 ||<#00ff00> ~~낙선~~[br]'''당선(석패율제)''' || [[공명당]] 추천 || ||<#046240> {{{#fff 노노베 나오아키[br](野々部尚昭)}}} || [[희망의 당(2017년)|{{{#046240 희망의 당}}}]] || 32,179[br](16.4%) || 3위 || 낙선 || [[감세일본]] 추천 || ||<|2> 계 || 유효표 수 || 195,911 ||<|2><-3> 투표율 46.88% || || 유권자 수 || 429,573 || || [youtube(6u6bRECowAg)] || || 당선 후 소감을 밝히는 [[아카마츠 히로타카]]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아이치현 제5구|{{{#fff 아이치현 제5구}}}]]}}}'''[br]{{{#fff 나고야시 나카무라구, 나카가와구, 키요스시, 키타나고야시,[br]니시카스가이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e50038>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간다 겐지''' || '''84,320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41.2%''' || '''당선'''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40]]]] || 니시카와 아쓰시 || 74,995표 || 2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36.6% || 낙선 || ||<|2><#1dac42> [[일본 유신회(2016년)|[[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width=40]]]] || 미사키 마키 || 45,540표 || 3위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6년))] || 22.2% || 비례당선 || ||<|2> '''계''' || 유효표 수 || 204,855표 ||<|2> '''투표율'''[br]48.63% || || 선거인 수 || 432,024인 || 현역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 [[아카마츠 히로타카]] 의원이 차기 총선 불출마 및 정계 은퇴를 발표했다. 이후 입헌민주당은 니시카와 아츠시 현 아이치현의회 의원(5선)을 공천했다. 이 지역구의 또 다른 현역인 자민당 간다 겐지 의원은 재출마한다. [[일본 유신회(2016년)|일본 유신회]]는 미사키 마키 후보를 공천했다. 입헌민주당-자민당-유신회의 3파전 구도로 선거가 치러진다. 자민당의 경우, 공산당과의 연대에 극도로 부정적인 현내 여러 노조의 입장과, 야권 선거구인 [[아이치현 제7구|7구]] 및 [[아이치현 제11구|11구]]에서의 유리해진 정세를 몰아, 신인 후보가 출마한 이곳에서도 승리를 노리고 있고 실제로도 박빙인 여론조사가 나왔다. 투표 결과, 자민당 간다 겐지 후보가 당선되었다. 자민당 열세지역에서 이뤄낸 값진 성과이다. 입헌민주당 니시카와 아츠시 후보는 지역구 수성에 실패했다. 게다가 도카이 지역에서 접전패한 입헌민주당 후보가 너무 많아서 석패율제를 통한 비례대표 부활에도 실패했다. 오히려 유신회 미사키 마키 후보가 유신회의 높은 비례득표율 덕분에 석패율제를 통해 부활, 초선 의원이 되었다.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아이치현의 중의원 선거구가 1석 늘어나면서 키타나고야시와 니시카스가이군이 신설되는 16구로 넘어갔다.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에서는 간다 겐지 의원이 재출마한다. 하지만 세금 체납으로 인한 압류 문제로 인해 재무부대신을 사임하였고 이후 자민당 나고야시의단이 자민당 아이치현련에 엄정 처분을 요구해 후보가 교체될 수 있다[[https://www.yomiuri.co.jp/politics/20231127-OYT1T50099/|#]]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에서도 저번에 낙선한 니시카와 아쓰시 후보가 다시 공천받으며 재도전한다. [[일본 유신회(2016년)|일본유신회]]에서도 석패율 당선된 미사키 마키 의원이 재도전한다. [[일본공산당|공산당]]에서는 에가미 히로유키 전 나고야시의원이 공천받았다. [[참정당]]에서는 건강 사업을 운영 중인 곤다 아카네 후보가 공천받았다.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아이치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