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도카이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아이치현 제3구}}}}}}'''[br]{{{-1 {{{#ffffff 愛知県第3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Aichi3.svg|width=100%]][br]}}}|| ||<-2><:>'''선거인 수'''||<-2><:>417,728명 (2021)|| ||<-2><:>'''상위 도도부현'''||<-2><:>[[아이치현]]|| ||<-2><:>'''하위 행정구역'''||<-2><:>[[나고야시]] [[쇼와구]]/[[미도리구(나고야)|미도리구]]/[[텐파쿠구]]|| ||<-2><:>'''국회의원'''||<:>[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곤도 쇼이치]]|| [목차] [clearfix] == 개요 == [[아이치현]] [[나고야시]] [[쇼와구]], [[미도리구(나고야)|미도리구]], [[텐파쿠구]]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 소속 [[곤도 쇼이치]]. == 상세 == 나고야시 남동부 지역을 관할하며, 선거구 내에 신흥 주택지들이 많다. 그리고 [[난잔대학]], 메이조대학, 추쿄대학 등의 사립대학 캠퍼스들이 위치해 있는 지역이다. 사실 일본에서는 오히려 10대 후반과 20대의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지지율이 전체 자민당 지지율보다 높기 때문에 꼭 "대학가=야당 지지"라고 볼수는 없지만, 이 지역구는 자민당이 딱 한 번밖에 이기지 못할 정도로 민주당 등 야당 지지세가 강하다. 언론에서도 한때 ‘민주왕국’이라고 이 지역구을 불렸을 정도다. 자민당은 역대급 압승을 거둔 [[2012년]]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제46회 총선]]에서만 1.8% 차이로 자당 소속 후보(이케다 요시타카)가 승리를 거두었고, 이후 3번의 선거에서는 다시 야당이 이 선거구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아이치현 제3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 요시다 유키히로 || [include(틀:신진당)]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4> [[곤도 쇼이치]] ||<|4>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 이케다 요시타카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3> 곤도 쇼이치 ||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include(틀:입헌민주당(2017년))]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아이치현 제3구|{{{#fff 아이치현 제3구}}}]]}}}'''[br]{{{#fff 나고야시 쇼와구, 미도리구, 텐파쿠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cf0a2c> [[신진당|[[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width=50]]]] || '''요시다 유키히로''' || '''52,478표''' || '''1위''' || || [include(틀:신진당)] || '''32.26%''' || '''당선'''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가타오카 타케시 || 43,884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26.98% || 낙선 || ||<|2> [[민주당(일본 1996년)|[[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width=50]]]] || [[곤도 쇼이치]] || 38,351표 || 3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1996년))] || 23.57% || 비례당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야나기다 사에코 || 26,225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6.12% || 낙선 || ||<|2><#808080> {{{+2 {{{#fff 国民}}}}}} || 나카노 요코 || 773표 || 5위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808080,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국민당)] || 0.48% || 낙선 || ||<|2><#808080> [[무소속|{{{+3 {{{#fff 文化}}}}}}]] || 오가와 오사무 || 722표 || 6위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808080,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문화포럼)] || 0.44% || 낙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아토츠 마사오 || 246표 || 7위 || || [include(틀:무소속)] || 0.1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57,363 ||<|2> '''투표율'''[br] || || 유권자 수 ||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이치현 제3구}}}}}}'''[br]{{{#fff 나고야시 쇼와구, 미도리구, 텐파쿠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곤도 쇼이치]]''' || '''95,533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9.52%'''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가타오카 타케시 || 62,242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2.26%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니시다 가즈히로 || 31,875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6.52% || 낙선 || ||<|2><#ffdf00> [[파일:덕주회.png|width=50]] || 나라 타케시 || 3,282표 || 4위 || || [include(틀:자유연합)] || 1.70%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49,909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이치현 제3구}}}}}}'''[br]{{{#fff 나고야시 쇼와구, 미도리구, 텐파쿠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곤도 쇼이치]]''' || '''105,017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53.65%'''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요시다 유키히로 || 72,035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6.85%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이시카와 히사시 || 18,678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9.54%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49,909표 ||<|2> '''투표율'''[br]55.36% || || 선거인 수 || 361,875인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이치현 제3구}}}}}}'''[br]{{{#fff 나고야시 쇼와구, 미도리구, 텐파쿠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곤도 쇼이치]]''' || '''110,799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8.99%'''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마와타리 타츠하루 || 86,426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8.22% || 비례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이시카와 히사시 || 20,425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9.03% || 낙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후지모토 사카에 || 8,500표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3.7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49,909표 ||<|2> '''투표율'''[br]62.75% || || 선거인 수 || 367,839인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이치현 제3구}}}}}}'''[br]{{{#fff 나고야시 쇼와구, 미도리구, 텐파쿠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곤도 쇼이치]]''' || '''153,735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62.18%''' || '''당선'''[*B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추천]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마와타리 타츠하루 || 68,636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27.76% || 낙선[* [include(틀:공명당 주황색)] 추천]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기무라 노부코 || 21,611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8.74% || 낙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50]]]] || 핫토리 테루시게 || 3,277표 || 4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1.33%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49,909표 ||<|2> '''투표율'''[br]66% || || 선거인 수 || 381,361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이치현 제3구}}}}}}'''[br]{{{#fff 나고야시 쇼와구, 미도리구, 텐파쿠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이케다 요시타카''' || '''77,700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6.67%''' || '''당선'''[* [include(틀:공명당)] 추천]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곤도 쇼이치]] || 73,927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4.89% || 비례당선[*B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추천] || ||<|2> [[일본 미래당|[[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width=50]]]] || 이소우라 아즈마 || 39,861표 || 3위 || || [include(틀:일본 미래당)] || 18.81% || 낙선[* [include(틀:신당대지)] 추천]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이시카와 히사시 || 20,421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9.64%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74,668표 ||<|2> '''투표율'''[br]56.81% || || 선거인 수 || 387,281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이치현 제3구}}}}}}'''[br]{{{#fff 나고야시 쇼와구, 미도리구, 텐파쿠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곤도 쇼이치]]''' || '''82,422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1.45%''' || '''당선'''[* [[녹색당 그린스 재팬|[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5dbd3f,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녹색당 그린스 재팬)]]] 추천]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이케다 요시타카 || 72,353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6.39% || 비례당선[* [include(틀:공명당)], [include(틀:신당 개혁)] 추천]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이시카와 히사시 || 22,676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1.49% || 낙선 || ||<|2> [[감세일본|[[파일:감세일본.svg|width=50]]]] || 마스다 나리미 || 14,416표 || 4위 || || [[감세일본|[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6e6edc,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감세일본)]]] || 7.25% || 낙선 || ||<|2><#0091d6> [[일본의 마음|[[파일:차세대당_투명.png|width=50]]]] || 이게타 마코토 || 6,984표 || 5위 || || [include(틀:차세대당)] || 3.5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49,909표 ||<|2> '''투표율'''[br]52.08% || || 선거인 수 || 393,338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6><#00469C> '''{{{+1 {{{#fff 아이치현 제3구}}}}}}'''[br]{{{#fff 나고야시 쇼와구, 미도리구, 텐파쿠구}}} || || 이름 || 소속정당 || 득표수[br](득표율) || 순위 || 당선 여부 || 비고 || ||<#00468C> '''{{{#fff [[곤도 쇼이치|{{{#fff 곤도 쇼이치}}}]][br](近藤昭一)}}}''' || '''[[입헌민주당(2017년)|{{{#00469C 입헌민주당}}}]]''' || '''98,595[br](46.9%)''' || '''1위''' || '''당선''' || [[녹색당 그린스 재팬]] 추천 || ||<#D7003A> {{{#fff 이케다 요시타카[br](池田佳隆)}}} || [[자유민주당(일본)|{{{#D7003A 자유민주당}}}]] || 76,220[br](36.2%) || 2위 ||<#00ff00> ~~낙선~~[br]'''당선(석패율제)''' || [[공명당]] 추천 || ||<#046240> {{{#fff 요고 사야카[br](余語冴耶香)}}} || [[희망의 당(2017년)|{{{#046240 희망의 당}}}]] || 35,611[br](16.9%) || 3위 || 낙선 || 감세일본 추천 || ||<|2> 계 || 유효표 수 || 210,426 ||<|2><-3> 투표율 52.31% || || 유권자 수 || 410,812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아이치현 제3구|{{{#fff 아이치현 제3구}}}]]}}}'''[br]{{{#fff 나고야시 쇼와구, 미도리구, 텐파쿠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40]]]] || '''곤도 쇼이치''' || '''121,400표''' || '''1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55.0%''' || '''당선'''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이케다 요시타카 || 99,489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45.0% || 비례당선 || ||<|2> '''계''' || 유효표 수 || 220,889표 ||<|2> '''투표율'''[br]54.22% || || 선거인 수 || 417,728인 || 현역 입헌민주당 곤도 쇼이치 의원과 자민당 이케다 요시타카 의원이 재대결한다. 자민당과 입헌민주당 이외의 정당은 후보를 공천않아, 두 현역 의원이 1대1 대결로 선거전이 치러진다. 개표 결과 입헌민주당 곤도 쇼이치 후보가 무난하게 당선되었다. 자민당 이케다 후보 또한 석패율 구제로 당선되었다. 그리고 공교롭게도 입헌민주당이 도카이 권역에서 참패하는 바람에, 곤도 후보는 나고야시를 관할하는 선거구들 중 유일한 입헌민주당 당선자가 되었다.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에서는 곤도 쇼이치 의원이 재도전하며,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에서도 이케다 요시타카 의원이 다시 출마하며 리턴매치가 펼쳐진다. [[일본 유신회(2016년)|일본유신회]]에서는 미나가와 마사카즈 아이치현련 사무국원이 출마한다. [[참정당]]에서는 자영건축내장업에 종사하는 스기모토 쥰코 후보가 출마한다.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아이치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