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도카이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아이치현 제12구}}}}}}'''[br]{{{-1 {{{#ffffff 愛知県第12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Aichi12.svg|width=100%]][br]}}}|| ||<-2><:>'''선거인 수'''||<-2><:>444,780명 (2021)|| ||<-2><:>'''상위 도도부현'''||<-2><:>[[아이치현]]|| ||<-2><:>'''하위 행정구역'''||<-2><:>[[오카자키시]], [[니시오시]]|| ||<-2><:>'''국회의원'''||<:>[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시게토쿠 가즈히코]]|| [목차] [clearfix] == 개요 == [[아이치현]]의 남부 지역 중 [[오카자키시]], [[니시오시]]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 소속 [[시게토쿠 가즈히코]]. == 상세 == 원래는 구도심의 보수세를 바탕으로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이 차지해왔으나, 자동차 관련 산업의 발전으로 [[나고야시]]와 [[토요타시]]의 베드타운화가 진행되어 야권 세력의 지지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스기우라 세이켄 전 법무대신이 정계 은퇴를 하자 출마하게 된 자민당 아오야마 슈헤이 의원의 지역기반이 전임자의 기반보다는 미약하다는 평가가 있다. 이 선거구에서 당선되었던 나카네 야스히로 전 의원은 현재 오카자키시 시장으로 재직중이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아이치현 제12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4> 스기우라 세이켄 ||<|4>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나카네 야스히로 ||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 아오야마 슈헤이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3> [[시게토쿠 가즈히코]] || [include(틀:유신당)]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include(틀:무소속)]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이치현 제12구}}}}}}'''[br]{{{#fff 오카자키시, 니시오시, 하즈군, 누카다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스기우라 세이켄''' || '''133,257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5.16%''' || '''당선''' || ||<|2><#cf0a2c> [[신진당|[[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width=50]]]] || 가와시마 미노루 || 79,950표 || 2위 || || [include(틀:신진당)] || 33.10%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니시다 마코토 || 28,358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1.74%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83,244표 ||<|2> '''투표율''' || || 선거인 수 ||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이치현 제12구}}}}}}'''[br]{{{#fff 오카자키시, 니시오시, 하즈군, 누카다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스기우라 세이켄''' || '''117,475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5.56%'''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나카네 야스히로 || 81,826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1.73% || 낙선 || ||<|2><#ffffff> [[자유당(일본 1998년)|[[파일:자유당.gif|width=50]]]] || 츠즈키 유즈루 || 33,052표 || 3위 || || [include(틀:자유당(일본 1998))] || 12.82% || 비례당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노무라 노리코 || 21,581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8.37% || 낙선 || ||<|2><#ffdf00> [[파일:덕주회.png|width=50]] || 가와시마 타카시 || 2,517표 || 5위 || || [include(틀:자유연합)] || 0.98% || 낙선 || ||<|2><#808080> {{{+3 {{{#fff 無}}}}}} || 후쿠다 아키라 || 1,422표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0.5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91,845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이치현 제12구}}}}}}'''[br]{{{#fff 오카자키시, 니시오시, 하즈군, 누카다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스기우라 세이켄''' || '''135,622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0.38%'''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나카네 야스히로 || 117,411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3.61% || 비례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노무라 노리코 || 16,191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6.0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32,764표 ||<|2> '''투표율'''[br]64.64% || || 선거인 수 || 424,973인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이치현 제12구}}}}}}'''[br]{{{#fff 오카자키시, 니시오시, 하즈군, 누카다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스기우라 세이켄''' || '''159,256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2.62%'''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나카네 야스히로 || 128,681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2.52%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하기와라 노보루 || 14,708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4.86%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32,764표 ||<|2> '''투표율'''[br]71.08% || || 선거인 수 || 432,843인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이치현 제12구}}}}}}'''[br]{{{#fff 오카자키시, 니시오시, 하즈군, 누카다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나카네 야스히로''' || '''180,972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55.36%'''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스기우라 세이켄 || 122,198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7.38%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핫타 히로코 || 20,551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6.29% || 낙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50]]]] || 고칸 요시키 || 3,171표 || 4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0.97%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49,909표 ||<|2> '''투표율'''[br]74.07% || || 선거인 수 || 448,205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이치현 제12구}}}}}}'''[br]{{{#fff 오카자키시, 니시오시, 누카다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아오야마 슈헤이''' || '''91,816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2.34%''' || '''당선'''[* [include(틀:공명당)] 추천]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나카네 야스히로 || 82,363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9.01% || 비례당선[*B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추천] || ||<|2> [[일본 유신회(2012년)|[[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width=50]]]] || [[시게토쿠 가즈히코]] || 69,198표 || 3위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2년))] || 24.37% || 비례당선[* [include(틀:모두의 당)] 추천] || ||<|2> [[일본 미래당|[[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width=50]]]] || 츠즈키 유즈루 || 30,850표 || 4위 || || [include(틀:일본 미래당)] || 10.87% || 낙선[* [include(틀:신당대지)] 추천]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와카야마 하루시 || 9,687표 || 5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3.4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74,668표 ||<|2> '''투표율'''[br]63.85% || || 선거인 수 || 454,656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이치현 제12구}}}}}}'''[br]{{{#fff 오카자키시, 니시오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유신당|[[파일:유신당 로고.png|width=50]]]] || '''[[시게토쿠 가즈히코]]''' || '''131,618표''' || '''1위''' || || [include(틀:유신당)] || '''48.49%'''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아오야마 슈헤이 || 118,165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3.54% || 비례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마키노 지로 || 21,637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97%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32,848표 ||<|2> '''투표율'''[br]60.90% || || 선거인 수 || 458,221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6><#808080> '''{{{+1 {{{#fff 아이치현 제12구}}}}}}'''[br]{{{#fff 오카자키시, 니시오시}}} || || 이름 || 소속정당 || 득표수[br](득표율) || 순위 || 당선 여부 || 비고 || ||<#808080> '''[[시게토쿠 가즈히코|{{{#fff 시게토쿠 카즈히코[br](重徳和彦)}}}]]''' || '''무소속''' || '''149,587[br](55.7%)''' || '''1위''' || '''{{{#1f2023 당선}}}''' || || ||<#D7003A> {{{#fff 아오야마 슈헤이[br](青山周平)}}} || [[자유민주당(일본)|{{{#D7003A 자유민주당}}}]] || 104,811[br](39.0%) || 2위 || 낙선 || [[공명당]] 추천 || ||<#DB001C> {{{#fff 미야치 이사오[br](宮地勲)}}} || [[일본 공산당|{{{#DB001C 일본 공산당}}}]] || 14,378[br](5.3%) || 3위 || 낙선 || || ||<|2> 계 || 유효표 수 || 268,776 ||<|2><-3> 투표율 61.72% || || 유권자 수 || 444,298 || 야권이 분열되자 무소속으로 출마한 시게토구 카즈히코 의원이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확실히 이 선거구가 야당 우세지역으로 탈바꿈했음을 보여주는 결과였다. 자민당 아오야아 슈헤이 의원은 석패율제도를 통한 비례대표 의원으로 부활도 못하고 낙선했다. 하지만 인접 [[아이치현 제13구]] 출신 비례대표 의원인 오미 세이가 [[안조]]시장 출마를 위해 중의원의원직을 사퇴하는 덕분에, [[2019년]] 2월에 의원직을 승계받았다.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아이치현 제12구|{{{#fff 아이치현 제12구}}}]]}}}'''[br]{{{#fff 오카자키시, 니시오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40]]]] || '''[[시게토쿠 가즈히코]]''' || '''142,536표''' || '''1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52.7%''' || '''당선'''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아오야마 슈헤이 || 128,083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47.3% || 비례당선 || ||<|3> '''계''' || 유효표 수 || 270,619표 ||<|3> '''투표율'''[br]61.97% || || 선거인 수 || 444,780인 || 현역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 시게토쿠 카즈히코 의원과 자민당 아오야마 슈헤이 의원이 재대결한다. 시게토쿠 의원의 경우, 당선 후 무소속으로 한동안 있다가, [[2020년]] 야권단일화 과정에서 입헌민주당에 입당했다. 자민당과 입헌민주당 이외의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가 출마하지 않아, 시게토쿠 의원과 아오야마 의원의 1대1 대결이 성사되었다. 투표 결과, 입헌민주당 시게토쿠 카즈히코 후보가 승리했다. 하지만 자민당 아오야마 슈헤이 후보도 득표율을 상당히 끌어올렸다. 도요타 노련등 아이치현의 노조들이 입헌민주당에 비판적인 스탠스를 보였기에, 입헌민주당이 예상보다 크게 이기지 못했다. 자민당 아오야마 후보는 석패율제를 통해 비례대표로 생환했다.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에서는 현직인 [[시게토쿠 가즈히코]] 의원의 재출마가 유력하다. 하지만 차 안에서 여성을 성추행했다는 [[주간문춘]]의 폭로가 나오면서 후보가 교체될 수 있다[[https://bunshun.jp/articles/-/67405|#]]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에서는 석패율 당선된 아오야마 슈헤이 의원의 재출마가 유력하다. [[일본 유신회(2016년)|일본유신회]]에서는 비정부기관 임원을 역임한 나카가와 히로토 후보가 출마한다.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아이치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