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도카이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아이치현 제10구}}}}}}'''[br]{{{-1 {{{#ffffff 愛知県第10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Aichi10.svg|width=100%]][br]}}}|| ||<-2><:>'''선거인 수'''||<-2><:>436,560명 (2021)|| ||<-2><:>'''상위 도도부현'''||<-2><:>[[아이치현]]|| ||<-2><:>'''하위 행정구역'''||<-2><:>[[이치노미야시]], [[이와쿠라시]]|| ||<-2><:>'''국회의원'''||<:>[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에사키 데쓰마]]|| [목차] [clearfix] == 개요 == [[아이치현]]의 [[이치노미야시]], [[이와쿠라시]]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소속 [[에사키 데쓰마]]. == 상세 == [[기후현]]과 맞닿은 [[나고야시]]의 교외 지역을 관할하고 있다. 80년대까지는 섬유업 공장들이 많이 위치한 공업지역이었으며, 섬유업이 쇠퇴하면서 나고야시에 출퇴근하는 사람들이 많이 사는 베드타운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노동자 층의 영향이 강하지만, 중대선거구 시절부터 자민당이 [[가이후 도시키]] 전 총리와 에사키 마스미 전 의원등 거물들을 줄곳 출마시키며 높은 득표를 거두었다. 에사키 마스미가 은퇴를 하자 지역구 기반을 물려받은 에사키 데쓰마 의원은 정작 첫 총선에서 자민당이 아닌 [[신생당]] 후보로 출마해서 당선되었지만, 이후 [[신진당]], [[보수신당]]등을 거쳐 자민당으로 복당했다. 최근에는 에사키 의원이 4번 연속 당선되었지만, 절대득표율이 높지는 않아서 자민당 근소우세 선거구로 분류된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아이치현 제10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 [[에사키 데쓰마]] || [include(틀:신진당)]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 사토 간쥬 ||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2> 에사키 데쓰마 || [include(틀:보수신당)]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스기모토 가즈미 ||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4> 에사키 데쓰마 ||<|4>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아이치현 제10구|{{{#fff 아이치현 제10구}}}]]}}}'''[br]{{{#fff 이치노미야시, 이누야마시, 코난시, 니와군, 하구리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cf0a2c> [[신진당|[[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width=50]]]] || '''[[에사키 데쓰마]]''' || '''110,820표''' || '''1위''' || || [include(틀:신진당)] || '''46.44%''' || '''당선'''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모리 하루오 || 72,178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0.24%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기시노 토모코 || 29,003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2.15% || 낙선 || ||<|2> [[민주당(일본 1996년)|[[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width=50]]]] || 나가나와 사치코 || 20,575표 || 4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1996년))] || 8.62% || 낙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시미즈 센야 || 5,103표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2.14% || 낙선 || ||<|2><#808080> {{{+2 {{{#fff 国民}}}}}} || 다카하시 신스케 || 683표 || 6위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808080,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국민당)] || 0.29% || 낙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아토지 토요지 || 284표 || 7위 || || [include(틀:무소속)] || 0.1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57,363 ||<|2> '''투표율'''[br] || || 유권자 수 ||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이치현 제10구}}}}}}'''[br]{{{#fff 이치노미야시, 이누야마시, 코난시, 니와군, 하구리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사토 칸쥬''' || '''99,970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6.53%''' || '''당선''' || ||<|2> [[보수당(일본)|[[파일:보수당 로고1.png|width=50]]]] || [[에사키 데쓰마]] || 86,416표 || 2위 || || [include(틀:보수당(일본))] || 31.58% || 낙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스즈키 마사히로 || 57,047표 || 3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20.85%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이시다 타모츠 || 27,324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9.99% || 낙선 || ||<|2><#ffdf00> [[파일:덕주회.png|width=50]] || 이시카와 하치로 || 2,881표 || 5위 || || [include(틀:자유연합)] || 1.0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49,909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아이치현 제10구|{{{#fff 아이치현 제10구}}}]]}}}'''[br]{{{#fff 이치노미야시, 코난시, 니와군, 하구리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보수신당|[[파일:보수신당 로고.png|width=50]]]] || '''[[에사키 데쓰마]]''' || '''107,369표''' || '''1위''' || || [include(틀:보수신당)][*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주황색)] 추천] || '''45.63%'''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사토 칸쥬 || 106,599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5.30% || 비례당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기시노 토모코 || 21,350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9.07%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89,204 ||<|2> '''투표율'''[br]59.56% || || 유권자 수 || 404,493인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이치현 제10구}}}}}}'''[br]{{{#fff 이치노미야시, 코난시, 니와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에사키 데쓰마]]''' || '''140,622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2.71%'''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스기모토 가즈미 || 104,827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9.29%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이시다 타모츠 || 21,350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8.00%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48,367표 ||<|2> '''투표율'''[br]66.68% || || 선거인 수 || 408,424인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이치현 제10구}}}}}}'''[br]{{{#fff 이치노미야시, 코난시, 니와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스기모토 가즈미''' || '''172,401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추천] || '''60.71%'''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에사키 데쓰마]] || 103,704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주황색)] 추천] || 36.52% || 낙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50]]]] || 나카무라 치카노리 || 7,861표 || 3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2.77%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49,909표 ||<|2> '''투표율'''[br]69.60% || || 선거인 수 || 417,772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이치현 제10구}}}}}}'''[br]{{{#fff 이치노미야시, 코난시, 니와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에사키 데쓰마]]''' || '''96,548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1.44%''' || '''당선''' || ||<|2> [[모두의 당|[[파일:다함께당 로고.png|width=50]]]] || 스기모토 가즈미 || 60,563표 || 2위 || || [include(틀:모두의 당)][*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2년))], [include(틀:신당 개혁)] 추천] || 25.99% || 비례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마츠오 가즈야 || 33,459표 || 3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추천] || 14.36% || 낙선 || ||<|2> [[일본 미래당|[[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width=50]]]] || 다카하시 이치 || 25,671표 || 4위 || || [include(틀:일본 미래당)][* [include(틀:신당대지)] 추천] || 11.02%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이타쿠라 마사후미 || 16,751표 || 5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19%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48,367표 ||<|2> '''투표율'''[br]57.20% || || 선거인 수 || 420,971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이치현 제10구}}}}}}'''[br]{{{#fff 이치노미야시 일부(옛 비사이시 지역을 제외한 전역), 코난시, 이와쿠라시, 니와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에사키 데쓰마]]''' || '''91,978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4.49%''' || '''당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스기모토 카즈미 || 45,702표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22.21% || 낙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고바야시 히로코 || 85,967표 || 3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1.22%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사카쿠라 마사후미 || 25,376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2.28%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48,367표 ||<|2> '''투표율'''[br]50.69% || || 선거인 수 || 422,754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6><#E50038> '''{{{+1 {{{#fff 아이치현 제10구}}}}}}'''[br]{{{#fff 이치노미야시 일부(옛 비사이시 지역을 제외한 전역), 코난시, 이와쿠라시, 니와군}}} || || 이름 || 소속정당 || 득표수[br](득표율) || 순위 || 당선 여부 || 비고 || ||<#E50038> '''{{{#fff [[에사키 데쓰마|{{{#fff 에사키 데쓰마}}}]][br](江崎鉄磨)}}}''' || '''[[자유민주당(일본)|{{{#E50038 자유민주당}}}]]''' || '''88,171[br](39.0%)''' || '''1위''' || '''당선''' || [[공명당]] 추천 || ||<#046240> {{{#fff 야스이 미사코[br](安井美沙子)}}} || [[희망의 당(2017년)|{{{#046240 희망의 당}}}]] || 66,560[br](29.4%) || 2위 || 낙선 || || ||<#1DAC42> {{{#fff 스기모토 가즈미[br](杉本和巳)}}} || [[일본 유신회(2016년)|{{{#1DAC42 일본 유신회}}}]] || 44,258[br](17.0%) || 3위 ||<#00ff00> ~~낙선~~[br]'''당선(석패율제)''' || || ||<#DB001C> {{{#fff 이타쿠라 마사후미[br](板倉正文)}}} || [[일본 공산당|{{{#DB001C 일본 공산당}}}]] || 27,044[br](12.0%) || 4위 || 낙선 || || ||<|2> 계 || 유효표 수 || 226,033 ||<|2><-3> 투표율 53.37% || || 유권자 수 || 436,482 || || [youtube(CQRtiu1hZnw)] || || 당선 후 연설하는 [[에사키 데쓰마]]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아이치현 제10구|{{{#fff 아이치현 제10구}}}]]}}}'''[br]{{{#fff 이치노미야시 일부, 코난시, 이와쿠라시, 니와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e50038>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에사키 데쓰마]]''' || '''81,107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35.0%''' || '''당선''' || ||<|2><#1dac42> [[일본 유신회(2016년)|[[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width=40]]]] || 스기모토 가즈미 || 62,601표 || 2위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6년))] || 27.0% || 비례당선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40]]]] || 후지와하 노리마사 || 53,375표 || 3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23.0% || 낙선 || ||<|2><#ED008C> [[레이와 신센구미|[[파일:레이와 신센구미 흰색 로고.svg|height=30]]]] || 야스이 미사코 || 20,989표 || 4위 || || [include(틀:레이와 신센구미)] || 9.1%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이타쿠라 마사후미 || 13,605표 || 5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5.9% || 낙선 || ||<|3> '''계''' || 유효표 수 || 231,677표 ||<|3> '''투표율'''[br]54.49% || || 선거인 수 || 436,560인 || 현역 자민당 에사키 데쓰마 의원이 만 78세의 고령인데다가, 국회의원 임기 도중 뇌경색으로 입원하고 겸임하던 장관직도 사임했다. 이후 건강을 어느정도 회복해 다시 공개적으로 정치활동을 하고 있으며, 이번 총선에도 재출마한다. 지난 총선 차점 낙선자인 야스이 미사코 전 참의원의원이 [[레이와 신센구미]]에 입당하면서 야권 후보자 교통정리가 애매해졌다.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은 후지와라 노리마사 변호사를 공천했고, [[일본공산당|공산당]]도 지난 총선에 출마한 이타쿠라 마사후미 전 [[이치노미야시]]의회 의원을 다시 공천했다. 레이와 신센구미가 야권단일화에 동참하겠다고 선언했지만, 결국 이곳만큼은 야권단일화 없이 3개 정당이 모두 후보를 내보냈다. 지난 총선에서 3위로 선거구에서는 패배했지만 석패율제를 통해 당선된 스기모토 가즈미 의원도 [[일본 유신회(2016년)|일본 유신회]] 공천을 다시 받았다. 보수 성향인 무소속 이마무라 히로후미 전 의원도 출마를 선언했다. 그러나 10월 15일, 자민당 소속으로 [[도쿄 15구]]에 출마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지역구에는 무소속이었으나 지난 총리 선출당시 기시다 총리에 투표한 카키자와 의원도 자민당 공천으로 출마를 희망하는 곳이다. 결국 두 후보간의 조정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자민당은 두 후보 모두에게 공천을 주지 않는 대신 추천만 하기로 했다. 자세한 내용은 [[도쿄 15구]] 문서에서 확인. 투표 결과, 자민당 에사키 데쓰마 후보가 35%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유신회 스기모토 가즈미 후보는 소속 정당의 인기 상승에 힘입어 2위로 올라갔고, 석패율 제도를 통해 구제받는데에도 성공했다. 레이와 신센구미 야스이 미사코 후보는 소속 정당이 도카이 블록 비례대표 의석을 1석 얻었지만, 비례대표 당선에 필요한 최소 지역구 득표율 10%를 0.9% 차이로 넘기지 못하는 바람에 낙선했다. 5.9%를 득표한 공산당 이타쿠라 마사후미 후보가 출마하지 않았으면 10%를 넘길 수도 있었다. 결국 레이와 신센구미의 1석은 공명당에게 돌아갔다.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0증10감 선거구 개편으로 인해 [[이치노미야시]]는 분할이 해소되었고, [[코난시(아이치)|코난시]]와 [[니와군]]은 신설되는 [[아이치현 제16구]]로 옮겨졌다.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에서는 신 아이치 10구의 지부장으로 [[에사키 데쓰마]]가 취임했다.[[https://mainichi.jp/articles/20221223/k00/00m/010/149000c|#]] 후지와라 노리마사 입헌민주당 지부장이 공산당 후보와 같이 가두연설하다가 경고받은 일이 있었다.[[https://www3.nhk.or.jp/news/html/20231121/k10014264941000.html|#]]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아이치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