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도카이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아이치현 제1구}}}}}}'''[br]{{{-1 {{{#ffffff 愛知県第1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Aichi1.svg|width=100%]][br]}}}|| ||<-2><:>'''선거인 수'''||<-2><:>400,338명 (2021)|| ||<-2><:>'''상위 도도부현'''||<-2><:>[[아이치현]]|| ||<-2><:>'''하위 행정구역'''||<-2><:>[[나고야시]] [[히가시구(나고야)|히가시구]]/[[키타구(나고야)|키타구]]/[[니시구(나고야)|니시구]]/[[나카구(나고야)|나카구]]|| ||<-2><:>'''국회의원'''||<:>[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구마다 히로미치]]|| [목차] [clearfix] == 개요 == [[아이치현]] [[나고야시]] [[히가시구(나고야)|히가시구]], [[키타구(나고야)|키타구]], [[니시구(나고야)|니시구]], [[나카구(나고야)|나카구]]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소속 구마다 히로미치. == 상세 == 아이치현청과 나고야시청이 위치하며, 나고야의 랜드마크인 [[나고야 성]], 번화가인 [[사카에역(아이치)|사카에역]]과 [[카나야마역(아이치)|카나야마역]], [[오스]] 등이 위치하는 등 나고야시의 시내 중심지를 관할하는 선거구다. 과거에는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이 강세를 보였던 곳이었으나, 현재는 자민당이 근소한 우세를 보이는 경합 지역이다. 당시 민주당 소속 의원이었던 [[카와무라 타카시]] 현 나고야 시장이 의원직에서 물러나면서 민주당과 거리를 두는 바람에, 비 자민 표심이 분열되었다. 사실 카와무라 타카시는 민주당은 물론이고 자민당 강경파 의원들도 뺨치는 극우적 망언들을 내뱉는등 독고다이 스타일의 정치인이고, 의원 시절에도 민주당의 당론과 종종 충돌했다. 실제로 카와무라 시장이 이끄는 [[감세일본]] 후보가 제3후보로 직접 출마한 적도 있다. 제48회 총선에서도 자민당 구마다 의원의 득표율은 41%대에 머물렀지만, 두 민주계 후보의 득표율 총계는 약 59%에 달했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아이치현 제1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4> [[카와무라 타카시]] || [include(틀:신진당)]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4>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사토 유코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4> 구마다 히로미치 ||<|4>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아이치현 제1구|{{{#fff 아이치현 제1구}}}]]}}}'''[br]{{{#fff 나고야시 히가시구, 키타구, 니시구, 나카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cf0a2c> [[신진당|[[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width=50]]]] || '''[[카와무라 타카시]]''' || '''66,876표''' || '''1위''' || || [include(틀:신진당)] || '''40.03%''' || '''당선'''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이마에타 노리오 || 42,969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25.72% || 낙선 || ||<|2> [[민주당(일본 1996년)|[[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width=50]]]] || 사토 타이스케 || 33,503표 || 3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1996년))] || 20.06%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이와나카 미호코 || 22,209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3.29% || 낙선 || ||<|2><#808080> [[무소속|{{{+3 {{{#fff 文化}}}}}}]] || 이토 마사코 || 616표 || 5위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808080,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문화포럼)] || 0.37% || 낙선 || ||<|2><#808080> {{{+2 {{{#fff 国民}}}}}} || 야마다 히로시 || 566표 || 6위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808080,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국민당)] || 0.34% || 낙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아사노 미츠유키 || 312표 || 7위 || || [include(틀:무소속)] || 0.19%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57,363 ||<|2> '''투표율'''[br] || || 유권자 수 ||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이치현 제1구}}}}}}'''[br]{{{#fff 나고야시 히가시구, 키타구, 니시구, 나카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fff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카와무라 타카시]]''' || '''79,817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2.08%''' || '''당선''' || ||<|2><#F67E27> [[공명당|[[파일:공명당 로고만 하얀색.svg|width=50]]]] || 히라타 요네오 || 53,841표 || 2위 || || [include(틀:공명당 주황색)] || 28.39% || 낙선[*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보수당(일본))] 추천]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미야타 마사유키 || 27,689표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4.60%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아라타니 유키코 || 24,523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2.93% || 낙선 || ||<|2><#808080> [[무소속|{{{+3 {{{#fff 自由}}}}}}]] || 이시카와 아키히코 || 2,036표 || 5위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808080,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당)] || 1.07% || 낙선 || ||<|2><#ffdf00> [[파일:덕주회.png|width=50]] || 이토 마사코 || 1,770표 || 6위 || || [include(틀:자유연합)] || 0.93%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74,095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이치현 제1구}}}}}}'''[br]{{{#fff 나고야시 히가시구, 키타구, 니시구, 나카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카와무라 타카시]]''' || '''97,617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54.20%'''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타니다 타케히코 || 64,968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6.07%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기무라 에미 || 17,510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9.7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49,909표 ||<|2> '''투표율'''[br]52.00% || || 선거인 수 || 355,527인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이치현 제1구}}}}}}'''[br]{{{#fff 나고야시 히가시구, 키타구, 니시구, 나카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카와무라 타카시]]''' || '''105,449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9.96%'''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시노다 요스케 || 82,486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9.08% || 비례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기무라 에미 || 15,585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38% || 낙선 || ||<|2><#01a8ec>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40]]]] || 고바야시 마사카즈 || 6,082표 || 4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2.70%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49,909표 ||<|2> '''투표율'''[br]59.69% || || 선거인 수 || 360,700인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이치현 제1구}}}}}}'''[br]{{{#fff 나고야시 히가시구, 키타구, 니시구, 나카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사토 유코''' || '''122,348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54.39%'''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시노다 요스케 || 78,691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4.98%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기무라 에미 || 14,485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6.44% || 낙선 || ||<|2><#01a8ec>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40]]]] || 히라야마 료헤이 || 6,082표 || 4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2.70% || 낙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50]]]] || 카와다 세이지 || 3,352표 || 5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1.49%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49,909표 ||<|2> '''투표율'''[br]62.00% || || 선거인 수 || 389,526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이치현 제1구}}}}}}'''[br]{{{#fff 나고야시 히가시구, 키타구, 니시구, 나카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구마다 히로미치''' || '''77,215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0.73%''' || '''당선'''[* [include(틀:공명당)] 추천] || ||<|2> [[일본 미래당|[[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width=50]]]] || 사토 유코 || 60,293표 || 2위 || || [include(틀:일본 미래당)] || 31.80% || 낙선[* [include(틀:신당대지)] 추천]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요시다 츠네히코 || 36,578표 || 3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19.29% || 비례당선[*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추천]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오노 히로미츠 || 15,512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8.18%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74,668표 ||<|2> '''투표율'''[br]52.69% || || 선거인 수 || 373,297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아이치현 제1구}}}}}}'''[br]{{{#fff 나고야시 히가시구, 키타구, 니시구, 나카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구마다 히로미치''' || '''73,003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include(틀:신당 개혁)] 추천] || '''42.39%'''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요시다 츠네히코 || 49,230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8.59%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오노 히로미츠 || 20,143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1.70% || 낙선 || ||<|2> [[감세일본|[[파일:감세일본.svg|width=50]]]] || 히로사와 이치로 || 18,343표 || 4위 || || [[감세일본|[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6e6edc,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감세일본)]]] || 10.65% || 낙선 || ||<|2><#0091d6> [[일본의 마음|[[파일:차세대당_투명.png|width=50]]]] || 미타마야마 소자부로 || 6,422표 || 5위 || || [include(틀:차세대당)] || 3.73% || 낙선 || ||<|2><#01a8ec>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40]]]] || 히라야마 료헤이 || 5,076표 || 6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2.9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87,698표 ||<|2> '''투표율'''[br]47.21% || || 선거인 수 || 377,177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6><#D7003A> '''{{{+1 {{{#fff 아이치현 제1구}}}}}}'''[br]{{{#fff 나고야시 히가시구, 키타구, 니시구, 나카구}}} || || 이름 || 소속정당 || 득표수[br](득표율) || 순위 || 당선 여부 || 비고 || ||<#D7003A> '''{{{#fff 구마다 히로미치[br](熊田裕通)}}}''' || '''[[자유민주당(일본)|{{{#D7003A 자유민주당}}}]]''' || '''74,298[br](41.1%)''' || '''1위''' || '''당선''' || [[공명당]] 추천 || ||<#00469C> {{{#fff 요시다 츠네히코[br](吉田統彦)}}} || [[입헌민주당(2017년)|{{{#00469C 입헌민주당}}}]] || 57,780[br](32.0%) || 2위 ||<#00ff00> ~~낙선~~[br]'''당선(석패율제)''' || || ||<#046240> {{{#fff 사토 유코[br](佐藤夕子)}}} || [[희망의 당(2017년)|{{{#046240 희망의 당}}}]] || 48,633[br](26.9%) || 3위 || 낙선 || 감세일본 추천 || ||<|2> 계 || 유효표 수 || 180,711 ||<|2><-3> 투표율 47.45% || || 유권자 수 || 388,992 || 야권분열로 자민당 구마다 히로미치 후보가 손쉬운 승리를 거두었다.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아이치현 제1구|{{{#fff 아이치현 제1구}}}]]}}}'''[br]{{{#fff 나고야시 히가시구, 키타구, 니시구, 나카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구마다 히로미치[br](熊田裕通)''' || '''94,107'''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48.81%''' || '''당선'''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40]]]] || 요시다 쓰네히코[br](吉田統彦) || 91,707 || 2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47.57% || 비례당선 || ||<|2><#ffee02> [[NHK당|[[파일:NHK수신료를 지불하지 않는 방법을 알리는 당 로고.svg|width=50]]]] || 카도타 세쓰요[br](門田節代) || 6,988 || 3위 || || [include(틀:NHK당)] || 3.6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92,282 ||<|2> '''투표율'''[br]49.49% || || 선거인 수 || 400,338 || ||<-10> {{{#ffffff '''49회 중원선 아이치현 제1구 개표 결과'''}}} || || '''정당''' ||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40]]]] ||<#ffee02> [[NHK당|[[파일:NHK수신료를 지불하지 않는 방법을 알리는 당 로고.svg|width=50]]]]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ffffff 구마다 히로미치}}}''' || '''{{{#ffffff 요시다 쓰네히코}}}''' || '''{{{#00aaee 카도타 세쓰요}}}'''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94,107 [br] (48.8%)}}}''' || '''{{{#ffffff 91,707 [br] (47.6%)}}}''' || '''{{{#00aaee 6,988 [br] (3.6%)}}}''' || '''+ 2,400 [br] (△1.2)''' || '''192,282 [br] (49.49%)''' || || '''히가시구''' || 46.8% || {{{#00469c 49.5%}}} || 3.7% || ▼2.7 || 52.14 || || '''기타구''' || 46.7% || {{{#00469c '''49.7%'''}}} || 3.6% || ▼3.0 || 49.79 || || '''니시구''' || {{{#e50038 '''52.0%'''}}} || 44.6% || 3.4% || △7.4 || 51.09 || || '''나카구''' || {{{#e50038 49.2%}}} || 46.6% || '''4.2%''' || △2.6 || 43.86 || || [youtube(sh45gOD5OuY)] || || 선거 당시 아이치 1구 관련 뉴스 영상 || 현역 자민당 구마다 히로미치 의원과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 요시다 츠네히코 의원이 재대결한다. 자민당과 입헌민주당 이외의 정당은 후보를 공천하지 않았다. 큰 틀에서 자민과 입헌의 1:1 대결 구도로 선거전이 진행되는 와중에, [[NHK당]]도 [[미에현 선거구]]에 출마했던 카도타 세츠요 후보를 공천해 총 3명의 후보가 출마한다. 개표 결과, 자민당 구마다 히로미치 후보가 접전 끝에 지역구에서 당선되었고, 입헌민주당 요시다 츠네히코 후보는 석패율제를 통해 비례대표로 구제되었다. 지난 몇 번의 총선과 달리 야권이 단일화를 했음에도 자민당으로부터 지역구를 탈환하는데 실패했다. 나고야등 아이치현 도시들은 노조의 영향력이 강한데, 원래 야권성향이 강한 노조들이 이번 선거에서 공산당과 지나치게 유착한 입헌민주당에 대해 호의적이지 않았다.[* 특히 11구의 경우, 노조 출신인 야권 성향 현역 무소속 [[후루모토 신이치로]] 의원을 불출마시키면서까지 자민당을 밀어주었다.] 따라서 이곳에서도 입헌민주당 요시다 후보가 야권단일화에도 불구하고, 지난 총선에서 희망의 당을 찍은 유권자 표심까지 다 결집시키지 못하면서 근소한 표차로 자민당 후보에게 밀렸다.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에서는 구마다 히로미치 의원이 재출마할 것으로 보인다.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에서도 요시다 쓰네히코 의원이 다시 공천을 받으며 재도전한다. [[일본 유신회(2016년)|일본유신회]]에서는 교사 출신 야마모토 고이치 후보가 출마한다.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아이치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