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023 오버워치 월드컵 미국 대표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ydron_TOR_2023.png|width=100%]]}}} || ||<-2> '''{{{+1 Hydron}}}''' || ||<-2> {{{#fff '''아이제이아 로드리게즈 (Isaiah Rodriguez)'''}}} || || '''출생''' ||[[2004년]] [[2월 27일]] ([age(2004-02-27)]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include(틀:국기, 국명=도미니카 공화국)]|[include(틀:국기, 국명=브라질)]|| || '''ID''' ||'''Hydron''' KingHydron|| || '''포지션'''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width=25]] DAMAGE|| || '''주 영웅''' ||[[위도우메이커|[[파일:위도우메이커 초상화.png|width=30]]]] [[트레이서|[[파일:트레이서 초상화.png|width=30]]]] [[애쉬(오버워치)|[[파일:애쉬 초상화.png|width=30]]]] [[캐서디|[[파일:맥크리 초상화.png|width=30]]]] [[한조(오버워치)|[[파일:한조 초상화.png|width=30]]]]|| || '''소속''' ||[[파일:600px-Wavecheck.png|height=20]] Wave Check (2019.03.14 ~ 2019.08.21) [[Triumph/오버워치|[[파일:Triumph logo.png|width=15]] Triumph]] (2020.01.07 ~ 2020.08.14) T2DAN (2020.08.14 ~ 2020.10.25) [[파일:American Tornado.png|height=20]] American Tornado (2020.10.25 ~ 2021.07.21) [[파일:Redbird_Esports_logo_allmode.png|height=20]] Redbird Esports (2021.07.23 ~ 2021.11.01) [[플로리다 메이헴|[[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3.svg|height=25]] 플로리다 메이헴]][br](2021.11.01 ~ 2022.11.13) [[토론토 디파이언트|[[파일:토론토 디파이언트 로고 1.svg|width=20]] 토론토 디파이언트]][br](2023.01.25 ~ 2023.10.16) || || '''국가대표'''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2023 오버워치 월드컵|2023]]) || ||<-2><#fff,#191919>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ingHydron, 크기=18)] || [목차][clearfix] == 개요 == [[미국]], [[도미니카 공화국]], [[브라질]]의 [[다중국적]] [[프로게이머]]. 현 [[토론토 디파이언트]] 소속 메인 딜러. === 플레이 스타일 === 엄청나게 훌륭한 에임을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클러치 능력이 매우 뛰어나다. 2022시즌 오버워치2 특성상 솔저의 중요도가 올라갔는데, 에임이 상위권이라 불리기에는 아쉬운 감이 있지만 그럼에도 결정타를 잘 올려주고 특히 나선 로켓을 사용한 킬의 비율이 높다. 또한 중요한 순간 마다 킬을 올려주며 순도 높은 활약을 해주고 있다. 다만 위도우는 경기내에서도 기복이 심한 모습을 보여주며 연달아 3킬씩 낼때도 있는 반면 아예 존재감이 사라지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후반기에 들어서 리그 탑티어급의 소전 폼을 보여주고 있다. 플레이오프에서도 [[서울 다이너스티]]의 [[Fits]]의 소전에 전혀 꿀리지 않는 모습을 보였으며 전반기 서부의 소전 탑티어급의 활약을 선보이던 [[애틀란타 레인]]의 [[카이 콜린스|Kai]]와의 소전 대결에서 압승을 거두었다. 현재 서부 소전 세 손가락안에 들 수 있는 폼. == 기타 == [[분류:프로게이머/오버워치]][[분류:미국의 인물]][[분류:브라질의 인물]][[분류:도미니카 공화국의 인물]][[분류:2004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