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히로시마 도요 카프/간략(포수))] ||
'''{{{#ffffff 아이자와 츠바사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2015 WBSC 프리미어 12|[[파일:WBSC 프리미어 12 엠블럼.svg|width=auto&height=70]]]][br] '''2015 프리미어 12''' '''{{{#c63 '''동메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BC002D)" {{{#FFFFFF '''2015'''}}}}}} || ---- ||
[[2019 WBSC 프리미어 12|[[파일:WBSC 프리미어 12 엠블럼.svg|width=auto&height=70]]]][br] '''{{{#0066b3,#92abe1 2019 WBSC Premier 12™}}}''' '''{{{#c7bc69 '''우승반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BC002D)" {{{#FFFFFF '''2019'''}}}}}}|| ---- ||<-5>
[[센트럴 리그|[[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width=30]]]] '''[[베스트나인#s-2.2.1.2|{{{#ffffff 2017~2019 센트럴리그 포수 부문 베스트나인}}}]]''' || || [[이시하라 요시유키]][br]([[히로시마 도요 카프]]) || → || '''[[아이자와 츠바사]][br]([[히로시마 도요 카프]])''' || → || [[오시로 타쿠미]][br]([[요미우리 자이언츠]]) || ---- [include(틀:노동조합 일본프로야구선수회 역대 회장)] ---- ||<-5>
'''{{{#ffffff [[히로시마 도요 카프|'''{{{#ffffff 히로시마 도요 카프}}}''']] 등번호 64번}}}''' || || [[이오 타카미츠]] [br] (1999-2006) || {{{+1 →}}} || '''{{{#d9d9d9 아이자와 츠바사[br](2007-2014)}}}''' || {{{+1 →}}} || 타다 다이스케 [br] (2015-2017) || ||<-5> '''{{{#ffffff [[히로시마 도요 카프|'''{{{#ffffff 히로시마 도요 카프}}}''']] 등번호 27번}}}''' || || [[우에무라 카즈히로]] [br] (2008-2014) || {{{+1 →}}} || '''{{{#d9d9d9 아이자와 츠바사[br](2015~)}}}''' || {{{+1 →}}} || 현역 || }}} || ---- ||<-2> '''제10대 노동조합 일본프로야구선수회 회장''' || ||<-2>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츠바사.webp|width=100%]]}}} || ||<-2> '''히로시마 도요 카프 No.27''' || ||<-2> '''{{{#FFFFFF {{{+2 아이자와 츠바사}}}[br]會澤翼 / Tsubasa Aizawa}}}''' || || '''생년월일''' ||[[1988년]] [[4월 13일]] ([age(1988-04-13)]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출신지''' ||[[이바라키현]] [[히타치시]] || || '''신체조건''' ||177cm / 91kg / A형 || || '''포지션''' ||[[포수]] || || '''투타''' ||[[우투우타]] || || '''출신교''' ||미토케이메이 고등학교(水戸啓明高等学校) || || '''프로입단''' ||[[일본프로야구/2006년/신인선수 선택회의|2006 드래프트]] 4위 ([[히로시마 도요 카프|広島]]) || || '''소속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2007~)''' || || '''연봉''' ||2024년 / ¥ || || '''응원가''' ||자작곡[*가사 '''いざ大空へ翔ばたけ 熱い想い乗せ[br]이자오-조라에하바타케 아츠이오모이노세[br]자, 넓은 하늘로 날아올라라 뜨거운 마음을 실어서[br][br]勝利へ導く一打 決めろよ翼[br]쇼-리에미치비쿠이치다 키메로요츠바사[br]승리로 이끄는 한 방 결정지어라 츠바사'''] || [목차] [clearfix] == 개요 ==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공격형 포수이다. 2017년부터 100경기 이상출장, 2018년부터 10개 이상의 홈런을 쳐내고 있다. [[2019 프리미어 12]]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2020 도쿄 올림픽]] 대표팀에도 뽑혔었지만 부상으로 로스터 발표 이틀만에 하차하고 [[우메노 류타로]]로 대체되었다. == 선수 경력 == === 프로 입단 전 === 초등학교 3학년 때 야구를 시작하였고, 포수를 하게 된 이유는 아무도 안하려고 해서라고 한다. 고등학교 1학년 때부터 일찍이 주전을 차지하였고, 3학년 봄에는 '''손수건 왕자''' [[사이토 유키(1988)|사이토 유키]]를 만나 2루타 포함 2안타를 기록하기도 했다. 고시엔 출장도 없는 약소교지만, 고교 통산 35홈런으로 포수치고는 장타력까지 겸비한 선수로 프로구단 스카우터들로부터 주목받았다. 2006년 일본프로야구 신인선수 선택회의에 참가하여 [[히로시마 도요 카프]]에 3순위로 지명되어, 계약금 4000만엔과 연봉 500만엔에 사인하며 입단하였다. === [[히로시마 도요 카프]] === ==== 2007년 ==== 춘계 캠프 때부터 부상을 입었고 5월 2일에서야 2군 리그에 데뷔했지만, 대타로 나선 첫 타석부터 빈볼을 맞고 병원에 실려가는 일이 벌어졌다.[* 아이자와를 맞춘 콘도 카즈키(近藤一樹)는 아이자와를 9회 2사 27번째 타자로 상대하다 퇴장당했다. 즉, 아이자와만 범타 처리했으면 [[퍼펙트 게임]]이었다.] 복귀 이후에는 포수로서 출장하면서 장타율도 4할을 기록하는 등 좋은 모습을 보여줬다. ==== 2008년 ==== 1군에 데뷔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쉽게 가는 법은 없는지 춘계 캠프 막판에 왼쪽 어깨가 탈구되는 부상을 입어 2008년에는 재활에 힘썼다. ==== 2009년 ==== 춘계 캠프에서는 1군에 처음 합류하여 훈련받았고, 개막은 2군에서 보냈지만 5월 25일에 콜업되어 이틀 뒤인 [[치바 롯데 마린즈]]전 대타로 1군 무대에 데뷔하였다. 7월 15일 요코하마전 홈경기에서 첫 선발 라인업에 포함되어 출장하였고, 2군 프레시 올스타전에도 뽑혀서 활약했다. 1군에서는 15경기 출장에 그쳤지만, 그 중 9경기를 선발 포수 마스크를 쓰며 기회를 받았다. 2군에서도 53경기 타율 .337, 출루율 .409, 장타율 '''.580''', OPS .989, 수비율 '''.996'''의 포수로서 더할나위 없는 활약으로 웨스턴리그 MVP에 선정되었다. ==== 2010-2013 ==== 2년동안 대부분 2군 생활을 보냈고, 2010년 9월 5일 프로 데뷔 첫 홈런을 기록하였다. 2012년을 앞두고는 장타력을 살리기 위해, 포수 대신 외야 수비 훈련에도 참가하였다. 8월 2일, 요코하마전 9회초 대타로 출장하였지만, [[야마구치 슌]]에게 왼쪽 눈을 직격당하고 혼절했다. 급하게 후송되어 받은 진단은 코뼈 골절. 헬맷 챙부분이 깨질 정도의 위험한 공이었고, 야마구치는 즉각 퇴장조치되었다. 그 날로, 로스터에서 말소되며 시즌을 마감하였다. ==== 2014년 ==== 2군에서 시간을 보내다 [[이시하라 요시유키]]의 부진으로 5월에 재콜업되었다. 다시 한번 기회를 잡은 아이자와는 그동안 보여주지 못한 재능이 만개하며 7월 중순 이후로는 3할을 유지하며 주전 포수에 자리잡았다. 8월 1일, 주니치전에서 근육 파열로 또 말소되었지만 9월 29일 야쿠르트전에 복귀하자마자 시즌 10호를 쓰리런으로 장식하며, 카프 구단 사상 네 번째로 두자릿수 홈런을 기록한 포수가 되었다. 1군 65경기 출장하여 .307의 타율과 '''.892'''의 OPS를 찍으며 7년만에 공격형 포수의 진가를 보여주었다. ==== 2015년 ==== 작년같은 활약으로, Global Baseball Match 2015 일본 대표로 처음으로 선출되어 유럽 대표와 경기를 치렀다. [[2015 WBSC 프리미어 12]]에도 후보 선수로 차출되었다. 시즌을 앞두고 [[야마모토 코지]]도 한 때 사용했었던 27번으로 변경하였다. 데뷔 첫 개막전 스타멘으로 출전하였고, 지난 해에 이어 좋은 기량을 유지하며 생애 첫 센트럴 리그 올스타전에 출전하였다. 올스타전에서도 2차전에서 홈런을 기록하는 등의 활약으로 카프 포수로서는 첫 올스타전 MVP를 수상하는 기록을 남겼다. 다만, 후반전에 페이스가 떨어지며 이시하라와 출전 기회를 나눠가지게 되었고, 출장 경기는 늘었는데 홈런은 작년보다 줄은 6개에 불과했다. ==== 2016-2018 : 리그 3연패 ==== 2016년에는 이시하라와 반반 나눠 출장하였고, 4월 5일 야쿠르트전에서 데뷔 첫 만루홈런을 터뜨렸다. 그럭저럭 활약으로 팀의 25년만의 센트럴 리그 우승에 공헌하였다. 2017년에도 초반에 이시하라와 나란히 출전하다가 전통적으로 교류전 때 빌빌거리던 카프인데도, 교류전에서 .311의 타율을 기록하는 활약으로 다시 주전 포수를 차지하였다. 시즌 타율도 .275에 .729의 OPS로 포수로서는 준수한 성적으로 37년만의 리그 연패를 달성하는 감격을 누렸고, 첫 센트럴 리그 포수 부문 베스트나인에도 선정되었다. 2018년에는 선수회장을 맡았다. 규정 타석을 채우지 못했지만, 하위타선에서도 시즌 타율이 3할이 넘으면서, [[타나카 코스케]]-[[키쿠치 료스케]]-[[마루 요시히로]]-[[스즈키 세이야]]-[[마츠야마 류헤이]]/[[하비에르 바티스타]]로 이어지는 공포의 상위타선을 뒷받침해주며 리그 3연패의 영광과 함께 2년 연속 베스트나인에 선정되었다. ==== 2019년 ==== 완전한 주전 포수로 자리잡았고, [[이시하라 요시유키]]와 [[이소무라 요시타카]]가 백업을 이루는 체제가 되었다. 규정타석을 넘겨 .277의 타율로 활약했고, 특히 득점권 타율이 .351로 리그 1위를 기록했다. 생애 첫 FA자격을 얻었지만, 팀과 연장 계약에 사인하였다. 3년 연속 베스트나인에 선정되며, 카프 포수가 3년 연속 수상한 것은 [[타츠카와 미츠오]] 이후 처음이다. 시즌 종료 이후 개최된 [[2019 WBSC 프리미어 12]] 일본 대표로 차출되었다. 소프트뱅크의 [[카이 타쿠야]]와 쿄진의 [[고바야시 세이지(1989)|코바야시 세이지]]와 경쟁하게 되었지만, 뛰어난 리드 능력으로 정포수가 되었다. 결승전에서도 선발 출장하여 일본대표의 첫 우승에 공헌하였다. 이후, [[치바 롯데 마린즈]]의 레전드 포수 [[사토자키 토모야]]의 유튜브 채널에서, 공수에서 활약한 포수를 표창하는 사토자키상의 초대 수상자가 되었다. ==== 2020년 ==== 코로나19 판데믹으로 개막이 늦어졌고, 컨디션도 나쁜 상태라서, [[사카쿠라 쇼고]]에게 기회를 많이 내줬고, 9월에는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 ==== 2021년 ==== 여전히 주전 마스크를 쓰고 있지만, 6월 15일 세이부전에서 수비 도중 왼발을 부상당하며 걸을 수도 없는 상태가 되며 그대로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 같은 날 [[2020 도쿄 올림픽]] 국가대표로 지명되었지만, 하필 이런 날에 부상당하면서 출전을 사퇴해야만 했다. ==== 2022년 ==== 주전 마스크를 쓰고는 있지만 자랑이던 공격력은 온데간데 없어졌고, 수비 역시 UZR -4.8, 도루 저지율은 .184로 자동문에 가까운 수준에 뇌절 플레이까지 자행하고 있다. 하지만 거액 계약을 먹어 주전자리가 굳건한 덕분에, 사카쿠라는 뛰어난 활약에도 3루수에서 뛰고 있다. 결국, 2/2/2의 슬래시라인을 기록하고 FA자격을 취득했다. 도루 저지, 수비, 타격 모두 안되는 한물간 포수를 그것도 A랭크인데 데려갈 팀이 있을 지는 미지수다. ==== 2023년 ==== [[아라이 타카히로]] 신임 감독이 [[사카쿠라 쇼고]]를 주전 포수로 내세우면서 교대로 출장하게 되었다. 시즌 최종 성적은 54경기 116타수 20안타 1홈런 10타점 6득점 10볼넷 26삼진 .172/.260/.233의 슬래시라인과 '''OPS .492, wRC+ 44 WAR -0.3''' 등 절망적인 타격 지표를 남겼다. 바빕도 .211에 불과하여 아예 타격 자체가 안되는 수준으로 전락한 것이 아닐까 하는 우려도 있다. 출장 경기가 줄어서 수비 부담이 덜어져서 그런지 수비는 최악이었던 작년에 비하면 UZR -0.2로 개선(?)되었다. [[사카쿠라 쇼고]]가 주전, [[이소무라 요시타카]]가 백업포수를 볼 것이 유력한데다 포수 유망주 자체도 많기 때문에 많은 돈을 주고 써드 포수로 써먹을 이유가 전혀 없기 때문에 잔류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보인다. == 플레이 스타일 == 강한 어깨의 소유자로, 롱토스 110m에 2루 송구는 1.8초대를 기록한다. 초등학교 6학년 때 소프트볼 멀리던지기 대회에서 우승하거나, 중학교 때는 단 하나의 도루도 허용하지 않았다고 할 정도. 하지만 나이가 나이인 만큼 현재는 자동문에 가까운 수준이 되었다. 가장 큰 장점은 뛰어난 출루능력과 장타력. 카프 전성기에는 쟁쟁한 상위타선에 밀려 주로 6~8번 타순에서 하위타선의 지뢰 역할을 수행했다. 그래도 베스트나인을 수상할 정도로 포지션에서 뛰어난 타격능력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2020년대에 들어서자 노쇠화로 기량이 떨어지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오오시로 타쿠미]]나 [[주니치 드래곤즈]]의 [[키노시타 타쿠야]]에게 세리그 대표 공격형 포수의 입지를 빼앗기고 있다. 전성기에도 수비에서 좋은 소리를 못 들었던 아이자와와는 달리 위 둘은 프레이밍 등 수비에서도 뛰어난 평가를 받는다. == 기타 == * 별명은 아츠(アツ). 성과 이름의 첫 글자를 땄는데, 입단 당시 팀 내에 아이자와 토시아키(相澤寿聡)와 나카타니 츠바사(中谷翼)와 각각 성과 이름이 같은 탓에 헷갈릴 여지가 있어서 별명으로 자주 불렸다. 또한, 투수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한 포수인 만큼, 이 쪽이 용병 투수들이 부르기도 편했다고. * 2011년 12월 1일, 고등학교 시절부터 사귀던 여자친구와 결혼하였다. == 연도별 성적 == ||<-17><#ff0000> [[파일:NPB 로고.svg|width=30]] '''{{{#ffffff NPB 통산 기록}}}''' || || 연도 || 소속 || 경기 || 타석 || 타점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도루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2009 ||<|15> [[히로시마 도요 카프|広[br]島]] || 15 || 31 || 1 || 3 || 6 || 1 || 0 || 0 || 0 || 3 || 8 || .214 || .290 || .250 || .540 || || 2010 || 32 || 56 || 5 || 4 || 9 || 1 || 0 || 1 || 0 || 2 || 16 || .170 || .200 || .245 || .445 || || 2011 || 19 || 29 || 1 || 0 || 5 || 1 || 0 || 0 || 0 || 0 || 9 || .179 || .207 || .214 || .421 || || 2012 || 28 || 70 || 2 || 4 || 13 || 3 || 0 || 0 || 0 || 2 || 7 || .197 || .243 || .242 || .485 || || 2013 || 31 || 68 || 6 || 6 || 12 || 1 || 0 || 3 || 0 || 4 || 18 || .188 || .235 || .344 || .579 || || 2014 || 65 || 200 || 30 || 25 || 55 || 9 || 0 || 10 || 0 || 16 || 28 || .307 || .367 || .525 || .892 || || 2015 || 93 || 290 || 30 || 23 || 62 || 7 || 3 || 6 || 0 || 26 || 49 || .246 || .330 || .369 || .699 || || 2016 || 83 || 220 || 26 || 18 || 47 || 7 || 0 || 7 || 1 || 14 || 42 || .239 || .301 || .381 || .682 || || 2017 || 106 || 329 || 35 || 35 || 79 || 15 || 0 || 6 || 0 || 22 || 45 || .275 || .339 || .390 || .729 || || 2018 || 106 || 377 || 42 || 42 || 96 || 18 || 1 || 13 || 0 || 39 || 56 || .305 || .401 || .492 || .893 || || 2019 || 126 || 447 || 63 || 38 || 104 || 21 || 2 || 12 || 2 || 58 || 81 || .277 || .387 || .439 || .826 || || 2020 || 79 || 263 || 36 || 25 || 61 || 13 || 0 || 7 || 2 || 22 || 51 || .266 || .359 || .415 || .774 || || 2021 || 70 || 204 || 22 || 18 || 46 || 10 || 0 || 3 || 0 || 16 || 33 || .256 || .325 || .361 || .686 || || 2022 || 98 || 325 || 33 || 18 || 60 || 10 || 0 || 3 || 0 || 23 || 49 || .207 || .276 || .272 || .548 || || 2023 || 54 || 133 || 10 || 6 || 20 || 4 || 0 || 1 || 0 || 10 || 26 || .172 || .260 || .233 || .492 || ||<-2> '''[[일본프로야구|NPB]] 통산''' [br] (15시즌) || 1005 || 3042 || 342 || 265 || 675 || 121 || 6 || 72 || 5 || 257 || 518 || .254 || .334 || .385 || .719 || [[분류:일본의 야구 선수]][[분류:1988년 출생]][[분류:히타치시 출신 인물]][[분류:2007년 데뷔]][[분류:포수]][[분류:우투우타]][[분류:2015 WBSC 프리미어 12 참가 선수]][[분류:히로시마 도요 카프/현역]]